이해상 내외 상복 (이해상 )

증보사례편람 / 남자 상복
증보사례편람 / 남자 상복
의생활
의복
국가유산
1970년 5월, 이해상 내외가 영친왕 이은의 장례 때 착용했던 상복 일습.
이칭
이칭
참최복(斬衰服)
의복
재질
삼베
제작 시기
1970년
관련 의례
상례
소장처
경기여자고등학교 경운박물관
국가등록문화재
지정 명칭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소재지
서울특별시 강남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이해상 내외 상복은 1970년 5월 이해상 내외가 영친왕 이은의 장례 때 착용했던 상복 일습이다. 굴건(屈巾), 건(巾), 수질(首絰), 최의(衰衣), 상(裳), 요질(腰紩), 중단(中單), 대수장군(大袖長裙), 행전(行纏)의 총 9점이다. 이해상은 고종의 사촌인 완순군 이재완의 아들인 이달용의 3남으로, 영왕과는 재종질 관계이다. 이해상과 신계완의 딸인 이남주가 경기여자고등학교 경운박물관에 기증한 것으로 현재 남아있는 전통 상복 중 착용자가 명확한 남녀 상복 일습이라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가치가 있다.

정의
1970년 5월, 이해상 내외가 영친왕 이은의 장례 때 착용했던 상복 일습.
연원

이해상(19131985)은 고종(高宗) 황제의 사촌인 완순군(完順君) 이재완(李載完, 18551922)의 아들인 이달용(李達鎔, 18831948)의 3남으로, 영친왕(英親王)과는 재종질(再從姪) 관계의 인물이다. 이해상 내외 상복은 1970년 5월 낙선재(樂善齋)에서 거행된 영친왕 이은(李垠, 18991970)의 장례 때 이달용의 아들 이해상과 며느리인 신계완이 입었던 옷으로 2013년 국가등록문화재(현, 국가등록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이 상복굴건(屈巾), 건(巾), 수질(首絰), 최의(衰衣), 상(裳), 요질(腰絰), 중단(中單), 대수장군(大袖長裙), 행전(行纏) 등 총 9점이다. 상복 일습 가운데 지팡이와 짚신만 누락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복을 굴건제복(屈巾祭服)이라 부르기도 한다. 이해상과 신계완의 딸이자 경기여자고등학교 졸업생인 이남주가 경기여자고등학교 경운박물관에 기증한 것이다.

형태 및 용도

이해상 내외 상복은 1970년 5월 1일에 사망하고 국가에서 9일장으로 장례를 치른 영친왕 이은의 장례 때에 재종질인 이해상과 그의 부인이 착용한 남녀 상복 일습이다. 이해상은 가계로 보아서도 상복을 입어야 하는 유복친(有服親)이지만 조선시대의 경우로 비추어 볼 때 영친왕의 상(喪)을 국상(國喪)으로 보아 참최복(斬衰服)을 착용하였다. 『국조상례보편(國朝喪禮補編)』에 따르면 국상 때 종친(宗親)과 문무백관(文武百官)은 모두 참최복을 착용하여야 한다. 영친왕 장례식 당시 상주(喪主)인 이구(李玖)와 함께 참최복을 착용한 유족들을 촬영한 사진이 『동아일보』 1970년 5월 9일자 지면에 실려 있다. 이 상복은 낙선재에서 거행되었던 영친왕의 장례에 입었던 것이고, 특히 이해상은 영친왕의 명정(銘旌)을 쓴 인물이라고 한다.

이해상이 입었던 남자 상복은 최복(衰服), 굴건, 행전, 상, 중단, 요질이다. 최복의 길이는 109㎝, 화장은 80㎝이다. 굴건의 높이는 36㎝, 너비는 17㎝이고, 행전의 길이는 24.5㎝, 너비는 20㎝이다. 예서(禮書)의 기록에는 최복을 구성할 때는 허리 부분을 따로 마름질하여 붙이는데 이 상복은 그 부분은 생략되었고, 허리 아래에 임(衽)이라고 하는 자락과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다. 최상(衰裳)은 전 3폭, 후 4폭의 구성으로 한 폭의 너비는 16㎝ 정도이고, 폭을 연결한 후 맞주름을 잡아 허리에 연결하였다. 눈물받이인 최(衰)는, 부상(父喪)에 해당되어 왼쪽 가슴에 붙어 있고 크기는 가로가 12㎝, 세로가 17㎝이다. 지극한 애도를 등에 짊어진다는 의미를 지닌 부판(負板)은 뒷길에 부착되어야 하지만 탈락된 것으로 보인다.

이해상의 부인이 착용한 여자 상복은 대수장군, 중단, 요질이다. 대수장군의 저고리 길이는 42㎝, 치마 길이는 73㎝ 이며, 총 길이는 115㎝이다. 화장은 78㎝, 뒷품은 60㎝, 치마폭은 188㎝이다. 하상(下裳)에 맞주름을 잡아서 상의와 연결하였다. 앞가슴에, 눈물받이인 최는 부착되어 있지 않고, 뒷길에 부판이 달려 있다. 대대가 부판 아래를 지나 앞길 중심에서 매듭지어진다.

의의 및 평가

1969년 「가정의례준칙(家庭儀禮準則)」 시행 이후, 상복을 간소화하고 노제(路祭)와 삼우제(三虞祭) 등을 없애기로 하였기 때문에 전통적인 상례복이 남아 있기 어렵다. 특히 상복은 탈상(脫喪) 이후 태우는 것이 통례이기 때문에, 현재 남아 있는 전통 상복을 찾아보기 어렵다. 대한제국의 마지막 왕으로 칭해졌던 영친왕의 상례 착용일에 왕실의 종친인 이해상과, 부인 신계완이 착용한, 착용자가 명확한 남녀 상복 일습이라는 측면에서 가치가 있다. 또한 이 상복은 후손들이 잘 보존하여 일습의 형태로 박물관에 기증되어 후학들에게 연구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원전

『사례편람(四禮便覽)』
『증보사례편람(增補四禮便覽)』

논문

조우현, 『조선시대 상복에 관한 연구』(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9)
조우현·김혜경·동준희·박민재, 「『사례편람』에 기초한 남자 상복의 고증 제작에 관한 연구」(『복식』 66-8, 한국복식학회, 2016)

인터넷 자료

국가유산청(www.khs.go.kr)
‘영친왕 서거’(『대한뉴스』 제776호, 1970.05.09.)(http://www.ehistory.go.kr/page/pop/movie_pop.jsp?srcgbn=KV&mediaid=1011&mediadtl=6285)

기타 자료

『경향신문』(1970.05.09.)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