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 ()

사례편람 / 자최
사례편람 / 자최
의생활
의복
조선시대 이래, 상례 때 입었던 전통 상복의 아래옷.
이칭
이칭
상복(喪服) 하의(下衣)
의복
재질
삼베
제작 시기
1970년
관련 의례
상례
소장처
경기여자고등학교 경운박물관
내용 요약

최상은 조선시대 이래 상례 때 입었던 전통 상복의 아래옷이다. 1970년 5월 이해상이 영친왕 이은의 장례 때 착용했던 최상이 가장 대표적이다. 이해상은 고종 황제의 사촌인 완순군 이재완의 아들인 이달용의 3남으로, 영친왕과는 재종질 관계의 인물이다. 이해상과 신계완의 딸이자 경기 여자 고등학교 졸업생인 이남주가 경기여자고등학교 경운박물관에 이해상 내외 상복 일습을 기증하였는데, 여기에 최상이 포함되어 있으며 현존하는 희귀한 전통 상복 유물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가치가 있다.

정의
조선시대 이래, 상례 때 입었던 전통 상복의 아래옷.
연원

최상(衰裳)은 남자 상복(喪服)의 아래옷이다. 『가례(家禮)』에서는 주5이라고만 하였으나 『사례편람(四禮便覽)』에서 최의(衰衣)와 최상으로 구분하여 남자 상복이 상의(上衣)와 하의(下衣)로 구성됨을 분명히 하였다.

최상은 1970년 5월 1일 주6에서 거행된 영친왕(英親王) 이은(李垠, 1899~1970)의 장례 때 이달용(李達鎔, 1883~1948)의 아들 이해상(1913~1985)이 입었던 것이 가장 대표적이다. 최상을 포함한 이해상 내외 상복 주14은 2013년 국가 등록 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이 상복은 총 9점으로, 굴건(屈巾), 건(巾), 수질(首絰), 최의, 상(裳), 요질(腰絰), 중단(中單), 대수장군(大袖長裙), 행전(行纏)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해상은 고종(高宗) 황제의 사촌인 완순군(完順君) 이재완(李載完, 1855~1922)의 아들인 이달용의 3남으로, 영친왕과는 주1 관계의 인물이다. 이 상복은 경기여자고등학교 경운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이해상과 신계완의 딸이자 경기여자고등학교 졸업생인 이남주가 박물관에 기증한 것이다.

형태 및 용도

최상은 말 그대로 상복의 아랫도리라는 말이다. 이 옷을 만드는 방법은 『가례』를 기본으로 하여 우리나라의 예서(禮書)에서 약간의 변형을 가한 것이다. ‘최(衰)’란 ‘꺾다’, ‘부러뜨리다’, ‘억압하다’, ‘억누르다’는 최(摧)의 의미로 슬픔의 주7를 나타내는 말이다.

최상의 옷감은 오복(五服) 제도에 따라 베의 굵기에 차이가 있으며, 이는 참최(斬衰), 재최(齊衰), 시마(枲麻), 대공(大功), 소공(小功)순이다. 주8 않은, 굵고 거친 주2부터 아주 곱게 주9 베를 사용하여 최상을 만든다.

최상은 조복(朝服)과 제복(祭服) 등의 예복(禮服)에 착용하는 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앞 3폭, 뒤 4폭 총 7폭으로 구성된다. 앞은 양(陽)을 의미하고, 뒤의 4폭은 음(陰)을 뜻하여 앞뒤에 음양이 조화되게 한다. 각 폭마다 3개의 주름을 잡는다고 되어 있는데 실제로는 가운데를 비우고 안쪽으로 마주보는 맞주름 2개를 잡아 3개의 주름처럼 보이게 제작한다. 최상의 길이는 입는 사람에 따라서 적당한 차이를 두며 최의의 옷감과 동일한 것을 사용한다. 주10마다 좌우에 각 1치씩 주11을 제하여 꿰매지 않고, 각 폭마다 3개의 주름을 잡는다. 4~5치 되는 베를 세로로 접어 앞뒤에 늘어뜨린 일곱 자락을 붙이고, 전후가 서로 맞닿는 곳은 조금 포갠 상태로 끼워서 꿰매어 허리를 둘러 묶어서 여밀 수 있도록 하는데, 양 끝에 작은 띠를 붙인다. 뒤쪽 띠는 짧고, 앞의 띠는 길어 두 번 돌려서 앞에서 묶도록 한다.

여자의 최상은 베 6폭을 어긋나게 잘라 12폭을 만들고, 심의(深衣)의 치마처럼 만들어 최의에 꿰매어 붙인다. 그러므로 여자의 최의에는 대하척(帶下尺)과 임(袵)이 없다. 이 최상의 길이는 한 폭의 너비가 16㎝ 정도이고 길이는 60.5㎝이다. 전 3폭의 하단폭은 49㎝이며, 우 4폭의 하단폭은 66.5㎝이다. 폭을 연결한 후 맞주름을 잡아 허리에서 연결하였다.

의의 및 평가

1969년 「가정의례준칙(家庭儀禮準則)」 시행 이후, 상복을 간소화하고 주3주4 등을 없애기로 하였기 때문에 전통적인 상례복이 남아 있기 어렵다. 특히 상복은 주12 이후 태우는 것이 주13이기 때문에, 현재 남아 있는 전통 상복을 찾아보기 어렵다. 이해상 내외 상복 일습은, 대한제국의 마지막 왕으로 칭해졌던 영친왕의 상례 착용일에 왕실 종친인 이해상과 부인 신계완이 착용한 남녀 전통 상복 일습이면서도 착용자가 명확하다는 측면에서 가치가 크다. 또한 이 상복은 후손들이 잘 보존하여 일습의 형태로 박물관에 기증되어 상복 일습에 포함된 최상이 후학들에게 연구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원전

『사례편람(四禮便覽)』
『증보사례편람(增補四禮便覽)』

논문

이영주, 『조선시대 국상 복제 연구』(동덕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조우현, 『조선시대 상복에 관한 연구』(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9)
조우현·김혜경·동준희·박민재, 「『사례편람』에 기초한 남자 상복의 고증 제작에 관한 연구」(『복식』 66-8, 한국복식학회, 2016)

인터넷 자료

문화재청(http://www.heritage.go.kr)
국립민속박물관(https://www.nfm.go.kr)
‘영친왕 서거’(『대한뉴스』 제776호, 1970.05.09.)(http://www.ehistory.go.kr/page/pop/movie_pop.jsp?srcgbn=KV&mediaid=1011&mediadtl=6285)

기타 자료

『경향신문』(1970.05.09.)
주석
주1

육촌 형제의 아들. 우리말샘

주2

삼실로 짠 천. 우리말샘

주3

발인할 때에, 문 앞에서 지내는 제사. 우리말샘

주4

장사를 지낸 후 세 번째 지내는 제사. 흔히 가족들이 성묘를 한다. 우리말샘

주5

아들이 부모, 조부모, 증조부모, 고조부모의 상중에 입는 상복. 우리말샘

주6

조선 헌종 13년(1847)에 지은 전각. 후궁 김씨를 위해서 지었다 하며 이방자(李方子) 여사가 거처한 곳이기도 하다. 창덕궁과 창경궁 경계에 위치한다. 우리말샘

주7

도달할 수 있는 최고의 정취나 경지. 우리말샘

주8

갓 짠 천을 삶거나 빨아 볕에 바래다. 우리말샘

주9

무명이나 모시, 명주 따위를 잿물에 삶아 희고 부드럽게 하다. ‘눕다’의 사동사. 우리말샘

주10

옷이나 이부자리 따위를 지을 때 두 폭을 맞대고 꿰맨 줄. 우리말샘

주11

옷 솔기 가운데 접혀서 속으로 들어간 부분. 우리말샘

주12

어버이의 삼년상을 마침. 우리말샘

주13

일반적으로 통하여 쓰는 전례. 우리말샘

주14

옷, 그릇, 기구 따위의 한 벌. 또는 그 전부.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