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의 ()

사례편람 / 참최복
사례편람 / 참최복
의생활
의복
조선시대 이래, 상례 때 입었던 전통 상복의 윗옷.
이칭
이칭
상복 상의(喪服上衣), 최복(衰服)
의복
재질
삼베
제작 시기
1970년
관련 의례
상례
소장처
서울시 강남구 경기여자고등학교 경운박물관
내용 요약

최의는 조선시대 이래 상례 때 입었던 전통 상복의 윗옷이다. 1970년 5월 이해상이 영친왕 이은의 장례 때 착용했던 최의가 가장 대표적이다. 이해상과 신계완의 딸이자 경기여자고등학교 졸업생인 이남주가 경기여자고등학교 경운박물관에 이해상 내외의 상복 일습을 기증하였는데, 여기에 최의가 포함되어 있으며 현존하는 희귀한 전통 상복 유물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가치가 있다.

정의
조선시대 이래, 상례 때 입었던 전통 상복의 윗옷.
연원

최의(衰衣)는 남자 상복(喪服)의 상의(上衣)로, 상장례(喪葬禮) 복제(服制) 중 표현성이 가장 큰 구조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가례(家禮)』에서는 최복(衰服)이라고만 하였으나 『사례편람(四禮便覽)』에서 최의와 최상(衰裳)으로 구분하여 상의와 하의(下衣)로 구성됨을 분명히 한 바 있다.

최의는 1970년 5월 1일 주1에서 거행된 주2 이은(李垠, 1899~1970)의 장례 때 이달용(李達鎔, 1883∼1948)의 아들 이해상(1913~1985)이 입었던 것이 가장 대표적이다. 최의를 포함한 이해상 내외 상복 주3은 2013년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상복은 총 9점으로, 굴건(屈巾), 건(巾), 수질(首絰), 최의, 상(裳), 요질(腰絰), 중단(中單), 대수장군(大袖長裙), 행전(行纏) 등이다. 이해상은 고종(高宗) 황제의 사촌인 완순군(完順君) 이재완(李載完, 1855~1922)의 아들인 이달용의 3남으로, 영친왕과는 주4 관계의 인물이다. 상복은 서울시 강남구 경기여자고등학교 경운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이해상과 신계완의 딸이자 경기여자고등학교 졸업생인 이남주가 박물관에 기증한 것이다.

형태 및 용도

최의는 망자(亡者)에 대한 슬픔을 상징하는 적(適, 辟領), 최(衰), 부판(負板)의 세 가지 상징물이 부착된다. 적은 어깨에 달린 것으로 어깨를 짓누르는 슬픔을 상징한다. 최는 애최(哀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최복의 명칭은 여기서 온 것이다. 이는 눈물받이를 상징하며 심장이 위치한 왼쪽 가슴에 부착하였다. 부판은 등에 짊어진 슬픔을 상징한다. 이와 같은 세 가지 상징물은 참최(斬衰)재최(齊衰)에만 부착하였고 대공(大功), 소공(小功), 시마(緦麻)에는 부착하지 않는다.

이외에 가령(加領), 겁(袷), 임(袵), 대하척(帶下尺) 등이 부착된다. 가령은 최의의 깃으로 활옷의 깃과 그 구성 형태가 유사하다. T자 모양이며 가운데를 접어 좌우 양쪽은 앞길의 좌우에 붙이고 뒷부분은 활중이라고 하는 사각형으로 파여진 목둘레의 뒷부분에 부착한다. 겁은 가령 속에 들어가는 속깃으로 가령과 활중의 크기가 같아 봉제하기 어려우므로 덧대는 것이다. 임(袵)은 제비꼬리 형상으로 양쪽 겨드랑이 밑에 부착되는데 최상의 벌어진 옆을 가리는 역할을 한다. 대하척은 몸판의 길이가 짧아 몸판 아래 부착하는 것이다.

최의의 특징은 오복제도(五服制度)에 따라 차이가 있다. 참최에는 누이지 않은 매우 거친 생포(生布)를 쓰는데, 흉하고 칙칙한 빛깔이 참최복(斬衰服)을 입는 사람의 얼굴 역시 비통하여 그런 빛을 띠기 때문이라고 한다. 재최에는 모시풀[枲]처럼 의혹의 빛이 돌기에 그 다음으로 거친 시마(枲麻)를 사용한다. 대공은 애통하여 기쁜 빛이 없으므로 조금 거친 누인 베를 쓴다. 소공은 풀이 죽은 것 같기에 조금 고운 누인 베를 쓴다. 시마는 애통의 용모만 있으면 되므로 아주 고운 누인 베를 쓰도록 규정하고 있다. 모양 역시 대공복(大功服) 이하의 최의에는 적, 부판, 벽령(辟領)을 부착하지 않는다. 솔기를 꿰매는 방법 역시 참최복의 최의는 솔기를 밖으로 내어 꿰매지만, 재최 이하의 최의는 솔기를 안으로 접어 꿰맨다.

이 최복의 길이는 109㎝, 화장은 80㎝이다. 눈물받이인 최(衰)는 부상(父喪)에 해당되어 왼쪽 가슴에 붙어 있고 크기는 가로가 12㎝, 세로가 17㎝이다. 지극한 애도를 등에 짊어진다는 의미를 지닌 부판은 뒷길에 부착되어야 하지만 탈락된 것으로 보인다. 솔기는 바느질하지 않고 그대로 두었다.

의의 및 평가

1969년 「가정의례준칙(家庭儀禮準則)」 시행 이후, 상복을 간소화하고 노제(路祭)와 삼우제(三虞祭) 등을 없애기로 하였기 때문에 전통적인 상례복이 남아 있기 어렵다. 특히 상복은 탈상(脫喪) 이후 태우는 것이 통례이기 때문에, 현재 남아 있는 전통 상복을 찾아보기 어렵다. 대한제국 마지막 왕으로 칭해졌던 영친왕의 상례 착용일에 왕실 종친인 이해상과 부인 신계완이 착용한 남녀 전통 상복 일습은 착용자가 명확하다는 측면에서 가치가 있다. 또한 이 상복은 후손들이 잘 보존하여 일습의 형태로 박물관에 기증되어 후학들에게 연구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원전

『사례편람(四禮便覽)』
『증보사례편람(增補四禮便覽)』

논문

이영주, 『조선시대 국상 복제 연구』(동덕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조우현, 『조선시대 상복에 관한 연구』(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9)
조우현·김혜경·동준희·박민재, 「『사례편람』에 기초한 남자 상복의 고증 제작에 관한 연구」(『복식』 66-8, 한국복식학회, 2016)

인터넷 자료

문화재청(http://www.heritage.go.kr)
국립민속박물관(https://www.nfm.go.kr)
‘영친왕 서거’(『대한뉴스』 제776호, 1970.05.09.)(http://www.ehistory.go.kr/page/pop/movie_pop.jsp?srcgbn=KV&mediaid=1011&mediadtl=6285)

기타 자료

『경향신문』(1970.05.09.)
주석
주1

조선 헌종 13년(1847)에 지은 전각. 후궁 김씨를 위해서 지었다 하며 이방자(李方子) 여사가 거처한 곳이기도 하다. 창덕궁과 창경궁 경계에 위치한다. 우리말샘

주2

대한 제국의 마지막 황태자(1897~1970). 이름은 은(垠). 광무 4년(1900)에 영왕에 봉해지고 융희 1년(1907)에 황태자에 책립되었으나, 이토 히로부미에 의하여 강제로 일본에 끌려가 일본 황족 이방자 여사와 정략결혼을 하였다. 1963년에 귀국하였다. 우리말샘

주3

옷, 그릇, 기구 따위의 한 벌. 또는 그 전부. 우리말샘

주4

육촌 형제의 아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