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유식론술기 ()

출판
문헌
당대, 규기가 유식학의 논서인 『성유식론』을 풀이한 불교 주석서.
이칭
이칭
유식론술기(唯識論述記), 유식론소(唯識論疏)
약칭
유식술기(唯識述記), 술기(述記)
문헌/고서
편찬 시기
7세기경
간행 시기
15세기 추정
저자
규기(窺基)
권책수
2권 1책(권5~6)
권수제
성유식론술기
판본
목판본
소장처
전라도 순천 송광사
내용 요약

『성유식론술기(成唯識論述記)』는 규기가 성유식론을 주석한 책이다. 본서는 권6의 상하 1권이 송광사에 소장되어 있다. 편찬 경위는 미상이며 간기가 없지만, 고려 금산사 광교원에서 조조하여 간행하였고 이후 조선 간경도감에서 중수하여 간행한 것으로 추정된다. 본서의 내용은 『성유식론술기』 10권 중에서 1권 전반부에 앞의 4문이 설해져 있고, 1권 전반부 이후부터 마지막까지 제5문의 내용이 전개되며, 인명의 방법론에 의거하여 『성유식론』 본문의 문구를 해석하고 있다.

정의
당대, 규기가 유식학의 논서인 『성유식론』을 풀이한 불교 주석서.
저자 및 편자

규기(窺基, 632~682)는 당의 장안(長安) 출신으로 속성은 위지(尉知)이고, 자는 홍도(洪道)이다. 17세에 출가하여 현장의 제자가 되었다. 23세에 자은사(慈恩寺)로 옮겨 현장에게서 범어와 불교 경론을 배웠다. 25세 이후에 역경 사업에 참여하였다. 659년 현장이 유식학의 논서들을 한역할 때, 규기는 신방(神昉) · 가상(嘉尙) · 보광(普光) 등의 세 사람과 함께 검문(檢文) · 찬의(纂義) 등의 역할을 맡았지만, 『성유식론』의 한역 과정에 있어서는 규기 한 사람만 참여하였다. 이후 현장이 『변중변론(辯中邊論)』 · 『이십유식론(二十唯識論)』 등을 한역할 때도 규기가 필수의 일을 맡았고, 이후 그에 대한 주석서도 지었다. 51세를 일기로 자은사의 번경원(飜經院)에서 입적하였다. 규기는 중국 법상종의 초조로 불리고, 백본(百本)의 소주(疏主)로 불릴 만큼 다양한 경론에 대한 주석서를 작성하였다.

서지사항

『성유식론술기』는 주1 상하 1권 1책(권6 상, 하)으로 송광사에 소장되어 있다. 2004년 송광사 사천왕상에서 수습된 복장 전적의 일부이다. 『교장총록』에는 20권이고 혹 10권이라 하였다. 서지적으로는 상하 10권이고, 물리적으로는 권자본 20권으로 추정된다. 이 판본은 원래 주2 형식으로 판각되었지만 후대에 좌우단변을 판각하여 선장본 형태로 주3 것으로 보인다. 지질은 고정지가 섞인 저지이다. 목판본이며, 책 크기는 38.5✕24.8㎝이다. 판식은 사주단변, 무계, 반곽 22.3✕18.5㎝, 행자수 22행 21~22자(혹 23자), 판수제는 ‘술기(述記)’이다. 고려시대 원간기나 조선시대의 중수 기록은 확인되지 않는다. 본서의 국내외 유통본으로는 『조성금장』 입장본이 중국 국가도서관에 소장되어 있고, 기타 일본 경응의예대도서관(慶應義塾大學圖書館)에 소장된 평안말기(平安末期, 794~1185) 추정 간본 등 다수의 전본이 있다.

편찬 및 간행 경위

규기의 편찬 경위는 미상이다. 의천『신편제종교장총록』에 기록되어 있지만, 고려시대 원간기나 조선시대 중수기도 보이지 않는다. 판면의 행관이 일부 금산사 광교원본과 같이 23행이고, 지질은 조선 간경도감본과 같이 짚이 섞인 저지인 특징이 보인다. 이로 보아 고려시대 금산사 광교원에서 조조하여 간행하였고, 이후 조선시대 간경도감에서 중수하여 간행한 것으로 추정된다.

구성과 내용

『성유식론술기』는 『성유식론』의 주석서이다. 유식(唯識)이란 ‘세상의 모든 것은 아뢰야식이 변하는 바일 뿐, 어떠한 외경(外境)의 존재도 없고 오직 내식(內識)만이 있을 뿐’이라고 설명한다. 동시에 『술기』는 인명학(因明學)의 도움을 빌려 소승과 불교 이외의 각 철학 유파에 대한 반박도 하였다. 『술기』는 유식학과 대승불교의 토대가 되는 사상이며, 규기에 의해 시작된 법상종(法相宗)의 소의 논서이기도 하다.

본서는 전체가 다섯 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문은 변교시기(辨敎時機)로서, 교가 설해진 시간과 이 교를 받아들일 수 있는 근기의 두 가지를 설명하고 있다. 두 번째 문은 명논종체(明論宗體)로서, 우선 이 논의 종지는 유식에 있음을 밝혔고, 이 논의 체(體)는 섭상귀성(攝相歸性) 등의 네 가지로 설명하고 있다. 세 번째 문은 장승소섭(藏乘所攝)으로, 승(乘)을 기준으로 분류하면 이 논은 일승에 속하고, 장(藏)을 기준으로 분류하면 이 논은 삼장 중 보살장(菩薩藏)에 속한다는 점을 설명하고 있다. 네 번째 문은 교흥연주(敎興年主)로서, 유식의 교가 흥기한 시기와 이를 흥기시킨 논주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논주에 대한 설명에서는 『유식삼십송』을 지은 세친 및 인도의 십대논사들의 연대를 함께 언급하고 있다. 다섯 번째 문은 본문판석(本文判釋)으로, 본문을 따라가며 그 의미를 해석하는 부분이다.

분량으로 보면 『성유식론술기』 10권 중에서 1권 전반부에 앞의 4문이 설해져 있고, 1권 전반부 이후부터 마지막까지 제5문의 내용이 전개된다. 이 책은 인명의 방법론에 의거하여 『성유식론』 본문의 문구를 해석하고, 또한 이에 근거하여 외도 및 소승의 주장을 논파한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의의 및 평가

『성유식론술기』는 고려 전기 의천의 『교장총록』에 수록되어 있지만 산일하여 10권 전체가 전하지 않고, 고려시대 유통본인 본서를 통하여 그 일단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불교문헌학적 의의가 있다. 원간기는 없지만 유식 관련 장소이므로 유가유식종의 금산사 간행을 추정할 수 있다. 의천의 외숙 혜덕왕사 소현(韶顯)은 고려 교장(敎藏) 조성의 국가적 사업에 조력하기 위해 금산사 광교원에서 1083년부터 유식 및 유가 관련 장소를 간행하였고, 그 일환으로 볼 수 있다. 향후 간행에 대해서는 추가 검토가 필요하다.

본서의 지질, 판식 및 특징들을 비교해 보면, 고려시대 간행 이후 조선시대 간경도감에서 중수한 것으로 추정된다. 본서를 통해 고려 및 조선시대 불전의 수용과 유통이라는 관점에서 동아시아 한문불교문화권의 교류사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小野玄妙 編, 『仏書解説大辞典』(大東出版社, 1935)
고려대장경연구소 편, 『新編諸宗敎藏總錄: 收錄文獻 總覽』(고려대장경연구소, 2019)
남권희, 『高麗時代 記錄文化 硏究』(청주고인쇄박물관, 2002)
천혜봉, 『고려대장경과 교장 연구』(범우, 2012)

논문

강순애, 「순천 송광사 사천왕상의 복장 전적고」(『서지학연구』 27, 한국서지학회, 2004)
박용진, 「고려 敎藏의 고려 및 조선시대 유통과 전승」(『서지학연구』 83, 한국서지학회, 2020)
최애리, 『『신편제종교장총록』 수록 교장 현존본 연구』(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최종남, 「1010部의 諸宗敎藏 중에서 국내 유일본 瑜伽行派 章疏들에 대한 서지적 연구」(『서지학연구』 83, 한국서지학회, 2020)

인터넷 자료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https://kabc.dongguk.edu)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http://www.heritage.go.kr)
주석
주1

한 질을 이루는 여러 권의 책 중에서 빠진 권이 있음. 또는 그런 책. 우리말샘

주2

두루마리로 된 책자. 또는 그렇게 책의 겉모양을 꾸미는 방법. 우리말샘

주3

낱장으로 되어 있는 원고나 화고(畫稿), 인쇄물, 백지 따위를 차례에 따라 실이나 철사로 매고 표지를 붙여 한 권의 책으로 꾸미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