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주 ()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시대 왕비, 왕의 후궁, 공주 등을 책봉하던 별칭의 하나로, 궁궐의 주인을 의미하는 단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궁주는 고려시대 왕비, 왕의 후궁, 공주 등을 책봉하던 별칭으로 궁궐의 주인을 의미한다. 고려의 여성 작호로 내명부(內命婦)와 외명부(外命婦)에게 책봉해주던 별칭이다. 원주(院主)·전주(殿主)·택주(宅主) 등도 있었다. 내명부의 책봉명은 비(妃)와 주(主)로 구분되는데 궁주는 ‘주’ 계열의 작호이다. 고려 현종대 이후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하였는데 고려후기에는 원 공주나 원 공주의 소생에게 한정적으로 사용하는 작호가 되었다. 고려 후비의 소생은 옹주와 원주로 호칭되었다. 궁주는 궁원전(宮院田)이라는 토지를 지급받아 경제적 혜택을 입었다.

정의
고려시대 왕비, 왕의 후궁, 공주 등을 책봉하던 별칭의 하나로, 궁궐의 주인을 의미하는 단어.
개설

궁주는 왕족의 거주공간인 ‘궁’의 주인을 의미하는 고려의 여성 작호 중 하나이다. 내명부(內命婦)왕비와 왕의 후궁뿐만 아니라 외명부(外命婦)공주나 종실의 아내 등에게 책봉해주던 별칭이다. 유사한 작호로 궁주 이외에 원주(院主) · 전주(殿主) · 택주(宅主) 등이 있는데, 모두 해당 거주공간의 주인을 뜻한다.

처음 후궁으로 납비(納妃)되면 대개 궁인(宮人)에서 시작하여 원주를 거쳐 궁주로 책봉되었으며, 신료의 아내들에게는 주로 택호를 주었던 것으로 보아 원주보다는 궁주가, 택주보다는 원주가 상위의 작호라고 할 수 있다.

내용

고려시대 내명부(內命婦)의 책봉명은 비(妃)와 주(主) 계열로 양분되는데, 궁주 · 원주 · 전주 등이 ‘주’계열의 작호이다. ‘비’계열로는 왕후 · 왕비 및 귀비(貴妃) · 숙비(淑妃) · 덕비(德妃) · 현비(賢妃) 등의 제비(諸妃)가 있는데, 『고려사』에 따르면 전자는 적처(嫡妻)의 작호인데 반해 후자는 첩칭(妾稱)이라고 한다.

내명부만을 책봉 대상으로 삼는 ‘비’ 계열과 달리 외명부까지도 포괄하는 작호라는 점에서 궁주는 ‘비’계열과는 성격을 달리하는 봉작명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고려의 여인들 중에는 두 계열의 작호를 중첩적으로 가진 경우가 많았다.

예를 들어, 고려의 후비들 중에는 ‘경흥원주 · 귀비(慶興院主 · 貴妃 ; 현종 제8비)'나 ‘왕비 · 연덕궁주(王妃 · 延德宮主 ; 예종 제2비)'처럼 아예 두 계열의 작호가 연칭(連稱)되어 기록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숙종의 맏딸처럼 대녕공주(大寧公主)로 불리는 동시에 대녕궁주(大寧宮主)로도 호칭되는 사례가 많았다.

변천과 현황

궁 · 원주는 고려초 궁 · 원부인에서 유래하였다. 고려 초기에는 아직 체계화된 내명부가 마련되지 않아, 후비 이하는 대개 부인(夫人)이라 호칭되었다. 대명궁부인(大明宮夫人) · 대량원부인(大良院夫人)처럼 거주공간의 이름에 부인(夫人)을 덧붙인 형태였던 OO궁 · 원부인이 궁 · 원주의 주계열 작호로 변경된 시기에 대해서는 약간의 견해 차이가 있다.

『고려사』에 따르면 정종대(靖宗代)에 궁 · 원부인이 궁 · 원주로 변경되었다고 하나 실제의 사례는 현종대부터 찾아지기 때문이다. 이후 궁주와 원주는 왕후 · 왕비 · 제비뿐만 아니라 공주나 종실의 아내에게 주어지는 별칭으로 지속적으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궁주 호칭에 변화가 생긴 것은 고려후기에 원나라 공주가 고려에 시집온 이후부터이다. 『고려사』는 당시의 변화를 충선왕대 이후 궁주를 바꿔 옹주(翁主)로 삼았다고 기재하고 있으나, 그것은 정확한 설명이 아니다.

원 공주의 이강(釐降) 이후 기존의 적칭(嫡稱)이었던 왕후와 궁주가 원 공주의 전유물로 되어버리자, 고려 출신 후비들은 제비(諸妃)와 함께 원주(院主)만을 호칭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한 변화는 왕녀(王女)의 호칭 사용에도 영향을 주었다. 원 공주의 소생인 공주는 기존 그대로 ‘공주’와 ‘궁주’ 작호를 병행하여 사용하였으나, 고려 후비의 소생인 왕녀들은 ‘옹주’와 ‘원주’로만 호칭되었던 것이다.

한마디로 고려 후기의 궁주는 원 공주나 원 공주의 소생에 한정하여 사용하는 작호로 되었던 것이다. 고려 출신의 후비나 왕녀가 다시 궁주로 봉작되었던 것은 고려의 마지막 왕인 공양왕대가 되어서야 가능하였다.

의의와 평가

궁주는 고려시대에 주로 사용되었던 여성 작호로서 고려 왕실의 독특성을 잘 보여주는 지표 중의 하나이다. 사실 궁주는 단순한 작호에 불과하지 않았다. 궁주나 원주의 거주공간인 궁이나 원에는 궁원전(宮院田)이라는 이름으로 많은 면적의 토지가 딸려 있었다.

따라서 후비나 공주가 특정 궁궐을 하사받아 궁주가 된다면, 해당 궁궐에 딸린 방대한 면적의 궁원전 수입을 얻게 됨을 의미하였다. 당시 궁원전이 촌락을 지급 단위로 할 정도로 방대한 규모였다는 점에서 궁주 칭호는 고려 왕실이 누렸던 경제적 기반의 광대성을 보여주는 지표인 셈이다.

참고문헌

『고려전기의 재정구조』(안병우, 서울대출판부, 2002)
『고려시대의 후비(后妃)』(정용숙, 민음사, 1992)
「고려 후비의 호칭에 관한 고찰」(이정란, 『전농사론(典農史論)』 2, 서울시립대 국사학과, 199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