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산격동 유적 ( )

목차
선사문화
유적
대구광역시 북구 연암산(燕巖山)에 있는 청동기시대 민무늬토기 관련 유물산포지. 민무늬토기유적.
이칭
이칭
연암산(燕巖山)유적
목차
정의
대구광역시 북구 연암산(燕巖山)에 있는 청동기시대 민무늬토기 관련 유물산포지. 민무늬토기유적.
내용

‘연암산유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연암산은 금호강변의 구릉으로서 유적은 구릉의 완만한 경사면에 있다.

1962년 처음 발견되었고 그 뒤 여러 번 지표조사가 있었으나 유구는 찾지 못하였고 많은 석기와 토기조각이 발견되었을 뿐이다.

석기는 돌검·화살촉·돌칼·대팻날·끌·도끼·자귀·숫돌·칼자루끝장식[劍把頭飾] 등이 채집되었는데, 특히 홈자귀[有溝石斧]는 완성품과 함께 원석(原石) 및 미완성품 조각을 합치면 수백개가 넘는 많은 양이 발견되어 이곳이 홈자귀의 제조장이었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토기는 적갈색민무늬토기·붉은간토기·검은간토기 등이 발견되었다. 민무늬토기는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며 굽다리접시[高杯]·덧띠아가리토기[粘土帶土器]·쇠뿔잡이항아리[牛角形把手附壺]·시루 등이 있다. 붉은간토기에는 굽다리접시·목단지[長頸壺]·굽사발 등의 기형이 보이고, 검은간토기에도 위의 기형과 함께 쇠뿔잡이항아리가 발견되고 있다.

이 밖에 그물추·가락바퀴 등의 토제품도 발견되었다. 연암산유적은 주위에서 청동도끼와 동과가 채집되고 있고 대구 대봉동 고인돌과도 인접하고 있어 금호강 선사유적의 중심지의 성격을 띤 중요한 유적이며, 채집된 토기의 기형과 칼자루끝장식·홈자귀 등으로 보아 민무늬토기문화의 후기에 해당되는 유적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금호강유역(琴湖江流域)의 선사유적연구(先史遺蹟硏究)」(윤용진,『고문화(古文化)』5·6합집, 1968)
집필자
윤용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