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암세보 사성강목 ( )

목차
가족
문헌
조선시대 문신 이노가 부모의 내외양계 4성의 직계와 방계를 강 · 목으로 설정하여 편찬한 족보.
목차
정의
조선시대 문신 이노가 부모의 내외양계 4성의 직계와 방계를 강 · 목으로 설정하여 편찬한 족보.
내용

불분권 1책(71장 142쪽). 필사원본이며, 크기는 가로 25㎝×세로 24㎝이다. 무계(無界), 항자수는 일정하지 않으나 1쪽 15행(行) 일행 25자가 가장 많으며, 행서체, 주는 쌍행이고. 가철(假綴). 저지(楮紙)이다.

책의 목차는 권두에 이노의 서문이 있고 그 다음 “송암세보사성강목”으로 표제한 뒤 목록과 기법(記法 : 범례) 27조 및 부모 양계의 내외 4성에 연접된 41개 성관(姓貫)을 나열하고 고려시대 관사 관직인 전조관호품질(前朝官號品秩)을 기재한 다음 송암세보사성강목 건부상(乾部上) 후손송암만회이노근찬(後孫松巖晩悔李魯謹撰)이라 쓴 다음 부계(父系)의 부계인 고성이씨(固城李氏)부터 모(母)의 모계(母系)인 안악이씨(安岳李氏)까지 2부(건곤 : 乾坤) 4편(부모의 내외양계)으로 나누고 각 4편마다 직계(直系)를 강(綱), 방계를 목(目) 기타 연접되는 계파를 부록으로 서술하였다. 그 원본은 현재 경상남도 의령군 이노의 종가에 소장되어 있다.

편찬자 이노(1544∼1598)의 자는 여유(汝唯), 호는 송암, 본은 고성, 경상도 의령 출신이며 정황(丁熿)·최영경(崔永慶)·조식(曺植)을 차례로 사사하였다.

1564년 진사, 1590년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직장·참봉·전적·좌랑·현감·정언·도사 등 내외관직을 역임하였고 임진왜란때는 경상도초유사 김성일의 막료와 도체찰사 이원익의 종사관이 되어 모병·모량과 관·의병의 조제·화합에 많은 공적을 남겼고 사후에는 이조판서에 추증되었고 유고로는 ≪용사일기 龍蛇日記:文殊志≫와 본서 및 시문집인 ≪송암집 松巖集≫을 남겼다.

이 족보의 편찬동기는 서문과 범례에 잘 나타나 있듯이 찬자의 부의 내외양계(고성이씨와 창녕성씨)와 모의 내외양계(남평문씨와 안악이씨) 4성의 직계를 강, 방계를 목으로 설정하고 종적인 세계(世系)와 횡적인 족파(族派)를 횡간으로 둔 보도(譜圖)가 아닌 서술형식으로 기술하되 사성의 직계조상은 명자성관(名字姓貫)과 생몰년월일·직역·처계(妻系)·묘소까지 상세히 적었고 명조·현조에 대해서는 간단한 전기[略傳]까지 첨가하였다.

이 족보에는 장재(張載)의 서명(西銘 : 乾稱父, 坤稱母, 民吾同胞, 物吾與也)의 취지와 정자(程子)의 이일만수(理一萬殊)의 원리 및 주자(朱子)의 일통만수(一統萬殊)라는 성리학적 존조(尊祖)·수족(收族)의 원리를 적극 반영한 것이다.

이 족보는 1577년부터 1597년까지 근 20년 동안 자료를 널리 수집하고 탐방하여 많은 노력 끝에 초안한 것이며 그 안에는 16세기 후반을 기준으로 진주·합천·성주 등 경상우도 남명학파(南冥學派)에 속했던 인사들의 가계가 거의 망라되다시피 하였다.

참고문헌

『송암집(松巖集)』
『용사일기(龍蛇日記)』(이로)
「조선전기 성관(姓貫)체계와 족보의 편찬체제」(이수건, 『수촌박영석교수화갑기념한국사학논총』 상, 1992)
집필자
이수건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