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몽렴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계축옥사 중심세력의 처벌을 주장하다 관직에서 추방당한 후 인조반정으로 등용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으며, 이괄의 난 때는 반란자 토벌을 모의하는 등 낙향하여 성리학적 윤리를 실천했던 문신.
이칭
사영(士泳)
은수당(隱睡堂)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82년(선조 15)
사망 연도
1651년(효종 2)
본관
함종(咸從: 지금의 평안남도 강서)
관련 사건
인조반정|이괄의 난
정의
조선 후기에, 계축옥사 중심세력의 처벌을 주장하다 관직에서 추방당한 후 인조반정으로 등용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으며, 이괄의 난 때는 반란자 토벌을 모의하는 등 낙향하여 성리학적 윤리를 실천했던 문신.
개설

본관은 함종(咸從). 자는 사영(士泳), 호는 은수당(隱睡堂). 할아버지는 좌참찬 어계선(魚季瑄)이고, 아버지는 사평(司評) 어운택(魚雲澤)이며, 어머니는 종실(宗室) 풍성군(豊城君) 이전(李銓)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장단에 우거하다가 나중에 광양의 금련촌(金蓮村)으로 낙향하였다. 어릴 때부터 자질이 영오(潁悟)하여 경사(經史)에 능하였다.

1612년(광해군 4)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이듬해 계축옥사 때 이이첨(李爾瞻)·정인홍(鄭仁弘)의 사주로 이위경(李偉卿)·성하연(成夏衍) 등이 폐모를 주장하는 소를 올리자, 여러 유생들과 함께 그들의 이름을 유적(儒籍: 유생들의 가계·학통·학업 등을 기혹한)에서 삭제하고 처벌을 주장하였다.

또한 8도의 유림에 통문(通文: 여러 사람이 돌려 보는 통지문)을 보내 이이첨 등의 처벌을 건의함으로써, 대북파의 미움을 받아 1618년 추방되었다. 1623년 인조반정으로 의금부도사에 등용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이괄(李适)의 반란 때는 격문을 띄워 군사를 불러 모아, 반란자들을 토벌할 것을 모의하였다가 난이 평정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중지하였다.

대륙의 정세가 심상치 않자 솔선 낙향하였고, 병자호란 후에는 세상을 등지고 두문불출하였다. 뜻과 신념이 탁위(卓偉: 뛰어나게 위대함)하고 언론이 준결(峻潔: 빼어나고 깨끗하여)하여, 한때를 격양(激揚: 격동하여 발분함)하였고 광양의 재지사족(在地士族: 지방에 토착하여 그곳에서 행세를 하는 선비가문)으로서 성리학적 윤리를 실천하였다.

참고문헌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인조실록(仁祖實錄)』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집필자
이수건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