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1년 전라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방형축대 위에 2중기단을 쌓고 1층탑신을 올린 화강석제 석탑으로, 석탑이 있는 곳은 내후사동이라는 마을이름이 말하듯 원래 사지(寺址)였다. 장대석(長臺石) 4개로 축대를 쌓고 이를 지대석으로 하고 역시 1개의 장대석을 2단으로 보이게 새겨서 하대중석을 구성하고 그 위에 하대갑석을 덮었다.
하대갑석은 판석 2매를 조합시켰는데, 윗면에는 약간의 경사가 있고 중앙에는 3단굄이 있어 상층중대를 받치고 있다. 상층중대는 우주(隅柱 : 모서리기둥)와 중간탱주(撑柱 : 받침기둥)를 새긴 면석을 전후에 세우고, 좌우 측면은 중간탱주를 모각한 면석을 사이에 세워 전후면석 측면을 우주로 삼고 있다.
그 위의 상대갑석은 방형 1매판석인데, 하면에 1단의 받침이 있고, 상면은 3단받침을 새겼다. 제1옥신은 1석에 얕은 우주를 모각하였다. 옥개석은 추녀가 얇고 모퉁이에서 약간의 반전이 있을 뿐 수평이며, 낙수면의 경사 · 반전도 심하지 않아 매우 경쾌한 느낌을 주고 있다.
지붕 상면에는 1단의 받침이 있어 제2옥신을 받고 있다. 제2옥신부터는 높이가 급격히 줄어들었으나 폭의 체감률은 완만하고 얕은 우주형을 새기는 등 수법은 동일하다. 3층옥개석 정부(頂部)에는 구형의 보주(寶珠) 1석을 얹었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