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장산 ()

자연지리
지명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주천면 · 정천면 · 부귀면과 완주군 동상면에 걸쳐 있는 산.
이칭
이칭
주줄산(株崒山)
지명/자연지명
높이
1,126m
소재지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주천면·정천면·부귀면, 완주군 동상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운장산은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주천면·정천면·부귀면과 완주군 동상면에 걸쳐 있는 산이다. 운장산은 한국의 대표 고원 지대인 진안고원 서북쪽에 위치하며, 화산암류 지역에서 관찰할 수 있는 전형적인 급애들을 볼 수 있다. 산지 지형은 운장산과 능선 사면부를 중심으로 급애와 절리가 나타나며, 하천 지형은 주자천, 정자천, 황금천을 중심으로 곡저 평야, 빙기단구, 기반암 하상이 나타난다. 인근에는 산림청 관리하에 운장산자연휴양림이 운영 중이며, 마이산 도립공원, 반일암, 천황사 등 주변 관광지와 연계한 여러 체험이 가능하여 방문객이 많다.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주천면 · 정천면 · 부귀면과 완주군 동상면에 걸쳐 있는 산.
개설

운장산(雲長山)은 높이 1,126m로, 전북특별자치도 동북부에 위치한 진안군에 있다. 노령산맥 동쪽 사면과 소백산맥 서쪽 사면 사이에 위치한 산간 고원 지대로, 80%가 산악 지대이다. 진안군은 전반적으로 서쪽은 낮고 동쪽이 높은 계단식 지형이다. 진안고원을 중심으로 중앙부에는 노령산맥의 줄기가 북동에서 남서로 뻗어 형성된 백운산 · 대덕산 등 1,000m 이상의 산이 줄지어 솟아 있다. 또한 서북쪽에 여러 하천으로 산맥이 분리된 운장산 · 부귀산(806m)을 형성하는 사방 약 20㎞의 운장산지괴가 있다. 운장산은 진안군 정천면 · 주천면 · 부귀면의 경계에 위치하며, 주화산에서 시작하여 대둔산으로 이어지는 금남정맥에 있다.

명칭 유래

운장산은 『신증동국여지승람』 · 『산경표』 · 『택리지』 등에서 주줄산(株崒山)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1911년, 일본에서 1:50,000 주1의 지도를 만들면서 운장산과 주줄산을 병행하여 표기하다가, 1918년 지도부터는 운장산으로만 표시하고 있다. 이것은 ‘주줄산(株崒山)’의 한자가 어렵기 때문에 지도 제작 과정에서 한자가 쉬운 ‘운장산(雲長山)’으로 바뀐 것일 가능성이 높다.

운장산이라는 이름이 등장하게 된 것은 조선시대 정여립 사건과 관련이 있는 송익필가 운장(雲長)이었던 데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높다. 송익필에 관련된 전설은 독제봉(운장산 서봉)과 오성대 등에서 발견할 수 있다. 송익필은 정여립을 체포할 당시 진안 현감민인백과 같은 서인 계열이었다. 『진안지』에 따르면 산이 높아 항상 구름이 덮여 있다는 의미에서 운장산(雲藏山)이라고 한다는 기록도 있다.

자연환경

진안군 북쪽에 위치한 운장산은 한국의 대표 고원 지대인 진안고원 서북쪽의 1,000m가 넘는 산으로, 화산암류 지역에서 관찰할 수 있는 전형적인 형태의 주2들을 볼 수 있다. 운장산 지대에는 3개의 봉우리가 있는데, 서쪽의 서봉(1,110m), 중앙의 운장산(1,126m), 동쪽의 동봉(1,120m)이 이에 해당한다. 이는 주화산연석산운장산 서봉피암목재장군봉~대둔산으로 이어지는 금남정맥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이다. 그중, 서봉은 칠성대라고도 불리우며, 정상부에 큰 규모의 급애가 위치하고 있다. 주로 N-S 방향과 NE-SW 방향의 주3이 교차하며 산지를 형성하고 있다. 노령산맥의 주능선을 이루는 고봉은 완주군과 진안군의 접경과 금강만경강의 분수령을 이룬다. 산지의 주4는 U자형에 가까운 형태를 띠고 있는데 이는 기반암의 특성이 지형에 반영된 것이다.

운장산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산지 지형은 급애이다. 운장산의 산지 및 능선 사면부에는 주5의 노출이 거의 없을 정도로 식생이 우점하고 있어 특별한 산지 지형은 나타나지 않는다. 그나마 급애는 절리와 함께 서봉 등산로 및 정상부에 주로 나타난다. 이러한 급애는 기반암의 기계적 풍화에 의한 지형 형성 과정을 학습하기에 좋다. 특히 칠성대 정상의 급애는 학술적 가치뿐만 아니라 문화적 · 심미적 가치가 매우 높다.

주요 하천 지형으로는 곡저 주6, 빙기단구, 기반암 하상 등이 있다. 운장산에는 주자천, 정자천, 황금천 등이 주7 흐르며, 이들 하천들은 골짜기 내부를 주8 하고 계곡을 주9 하여 곡저 평야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곡저 평야는 대부분 농경지 및 주10로 이용되고 있어 산간 지방의 주요 생활무대 역할을 한다. 빙기단구는 하천이 흐르는 골짜기에 소규모로 나타나며, 빙기와 간빙기의 교대에 의해 형성되었다. 빙기에는 산지 지역에서 기계적 풍화 작용이 활발하기 때문에 사면 운반 작용에 의해 다량의 주11주12으로 공급되고 강수량이 적어 두꺼운 주13이 형성된다. 반면 주14에는 기온이 상승하고 식생 주15이 양호해져 퇴적물이 감소하고 강수량이 증가하여, 충적층이 하각되고 남겨진 단구의 형태로 남게 된다. 이러한 단구 지형들은 하천의 성장, 쇠퇴의 기록이므로 지형 발달을 연구하는 데 좋은 예가 될 수 있다. 이밖에 주16에는 주변 산지에서 공급된 거력들이 주로 쌓여 기반암 하상을 이루고 있다.

운장산의 하천 중, 주자천은 운장산 계곡에서 발원하여 용담호를 거쳐 금강으로 들어가는 하천으로, 명덕봉과 명도봉 사이를 주17 운일암 계곡을 이룬다. 주자천의 유로 주18은 17.22㎞, 유역 면적은 72.81㎢로 진안군 주천면 운장산 계곡에서 발원하여 주19 주천면 삼거마을 대불삼거리에서 무릉천이 합류한다. 이후 동류하다가 주천면 주양리 성암교 부근에서 용덕천과 합류한 후 주20 용담호에 진입하며, 영강교변에서 안정천과 합류한다. 이후 주양리 금강 합류점에서 금강과 합류한다. 또한, 정자천은 금강수계 지방 하천으로 진안군 운장산 자락에서 발원하여 남류하며 곡저 평야를 이룬다. 황금천 등 소하천과 합류하여 용담호로 흘러들어가며 유로 연장은 20㎞, 유역 면적은 144.14㎢ 이다. 이 밖에 황금천은 운장산 남쪽에서 발원하여 두남리 부근에서 정자천에 합류하는 지방 하천으로 유로 연장은 20㎞, 유역 면적은 144.14㎢이다.

지질의 경우, 운장산은 화산암체로서 주21의 거대한 화산-심성복합체를 형성하고 있다. 그 규모는 주22 25㎞, 주23 21㎞ 정도로 타원상에 가깝다. 이들은 대부분 용결응회암으로 구성되며, 알칼리화강암이 주24를 형성하고 있다. 이 지역에서 주25 중기, 말기와 주26 초기, 중기의 지질 현상은 알려지지 않으며, 주27 백악기의 퇴적암화산암주28옥천계주29으로 덮고 있다고 해석된다. 백악기의 암층은 사암, 흑색 주30로 구성된 퇴적암층, 이를 주31 화산암(용결응회암, 안산암), 다시 이들을 관입한 알칼리화강암과 이들 모두를 관입한 산성암맥 등이다. 제4기의 주32은 현재의 지형 분포에 따라 계곡 저지대에 부정합으로 피복하고 있다.

운장산 지역은 산성화산암류만이 분포하고 있다. 산성화산암류는 주로 용결응회암으로 구성되어 있고 변질된 주33등이 곳곳에서 발견된다. 이 암층은 고온 점성의 화산회들이 퇴적 · 압축되고 파편끼리 용결된 것으로서 풍화에 강한 특징을 보이며 운장산의 높은 봉우리들을 이루고 있다. 전반적으로 주34을 띠는 주35주36로서 소량의 장석반정을 함유하며, 부분적으로는 석영과 장석반정을 함께 갖고 있어 화강반암의 주37을 보이기도 한다.

현황

운장산을 올라가는 길은 다양한데, 북쪽 주천면에서 올라가는 길과 남쪽 궁항리에서 올라가는 길이 있다. 북쪽 주천면 방면에서 올라가는 길은 내처사동 마을을 경유하는 노선, 독자동 마을을 경유하는 노선, 국가 지원 지방도 55호선이 통과하는 피암목재에 주차하고 올라가는 노선, 완주군의 검태 계곡에서 올라가는 노선 등이 있다. 그외에 진안군 정천면의 가리점이나 학동에서 올라가는 등산로와 황금리의 봉곡 마을에서 올라가는 길, 궁항리 정수암에서 올라가는 길 등이 있다.

한편, 진안군 정천면 갈거계곡에는 산림청에서 관리하고 있는 운장산 자연 주38이 있다. 약 7㎞에 달하는 운장산 계곡은 원시림과 양산 유곡의 옥류가 한 해 동안 흐르며, ‘마당바위’, ‘학의소’ 등이 자연 수목과 조화를 이루어 멋진 주39을 연출하고 있다. 더불어 마이산 도립공원, 용담댐, 운일암반일암, 천황사, 죽도 등 주변 관광지와 연계한 여러 관광 체험이 가능하여 이곳으로 휴양을 즐기러 오는 방문객이 많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정환, 이인기, 『1:50,000 지질도폭 설명서: 용담』 (국립지질광물연구소, 1973)
원종관, 『한반도의 형성과 화성활동』 (동보사, 2001)
환경부, 국립생태원, 『2014 생태·경관우수지역 발굴조사』 (환경부, 2014)

인터넷 자료

디지털 진안 문화대전(http://www.grandculture.net/jinan/toc/GC05800068)
대한민국 구석구석(https://korean.visitkorea.or.kr/main/main.do)
진안군 문화관광(https://www.jinan.go.kr/tour/sub_1/?p=4&n=2)
주석
주1

지도에서의 거리와 지표에서의 실제 거리와의 비율. 몇천분의 일, 몇만분의 일 따위로 표시한다. 우리말샘

주2

산 사면이 수직에 가까운 급경사를 이룬 지형. 우리말샘

주3

풍수지리에서, 땅속의 정기가 순환한다는 줄. 우리말샘

주4

산과 산 사이에 움푹 패어 들어간 곳. 우리말샘

주5

겉흙의 아래에 놓여 있는 굳은 암석. 우리말샘

주6

골짜기 밑에 발달한 평야. 골짜기 안을 흐르는 하천의 침식 또는 퇴적 작용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우리말샘

주7

흐르는 물줄기가 처음 생기다. 우리말샘

주8

원래의 지형면이 하천의 침식 작용으로 골짜기가 형성되면서 새로운 지형으로 바뀌는 일. 우리말샘

주9

바닷가나 강가를 메워서 뭍으로 만드는 일. 우리말샘

주10

인간의 생활 근거지인, 사람들이 모여 사는 곳. 우리말샘

주11

풍화 작용으로 파괴되어 생긴 바위 부스러기. 우리말샘

주12

하천이 흐르는 골짜기. 우리말샘

주13

비교적 최근에 하천의 활동에 의하여 자갈, 모래, 진흙 따위가 쌓여 이루어진, 아직 굳지 아니한 퇴적층. 우리말샘

주14

빙하 시대에, 저위도 지방에 있던 빙하는 녹아 없어지고, 고위도 지방에만 빙하가 존재하였던 시기. 빙기(氷期)와 빙기 사이의 시기로 비교적 기후가 따뜻했다. 우리말샘

주15

‘해양 오염 퇴적물 조사 및 정화ㆍ복원 범위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해양 오염 퇴적물이 해양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차단하거나 줄이기 위하여 오염 퇴적물을 청정 물질로 덮는 일. 우리말샘

주16

강과 시내의 가장자리에 잇닿아 있는 땅. 또는 그 부근. 우리말샘

주17

강물이나 냇물이 동쪽으로 흐르다. 우리말샘

주18

유역 출구에서부터 본류 하천을 따라 지도에 표시된 하천 발원지까지 이르는 하천 궤적의 실제 거리. 우리말샘

주19

강물이나 냇물이 북쪽으로 흐르다. 우리말샘

주20

강물이나 냇물이 남쪽으로 흐르다. 우리말샘

주21

중생대를 3기로 나누었을 때 마지막 지질 시대. 약 1억 4,500만 년 전부터 6,500만 년 전까지의 시대를 말한다. 우리말샘

주22

사방 정계에서, 좌우 축을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23

사방 정계(斜方晶系) 및 삼사 정계(三斜晶系)에 속하는 결정의 짧은 축. 우리말샘

주24

지대가 낮은 땅. 우리말샘

주25

지질 시대의 구분에서 원생대와 중생대 사이의 시기. 지금부터 약 5억 7000만 년 전부터 2억 4000만 년 전까지를 이른다. 시간적 순서에 따라 캄브리아기, 오르도비스기, 실루리아기, 데본기, 석탄기, 페름기로 세분한다. 우리말샘

주26

지질 시대의 구분에서 고생대와 신생대 사이의 시기. 지금부터 약 2억 4500만 년 전부터 약 6,500만 년 전까지이다. 겉씨식물이 번성하였고, 공룡과 같은 거대한 파충류를 비롯하여 양서류ㆍ암모나이트 따위가 번성하였다. 트라이아스기, 쥐라기, 백악기로 다시 나뉜다. 우리말샘

주27

지질 시대의 구분에서 고생대와 신생대 사이의 시기. 지금부터 약 2억 4500만 년 전부터 약 6,500만 년 전까지이다. 겉씨식물이 번성하였고, 공룡과 같은 거대한 파충류를 비롯하여 양서류ㆍ암모나이트 따위가 번성하였다. 트라이아스기, 쥐라기, 백악기로 다시 나뉜다. 우리말샘

주28

캄브리아기 이전의 지질 시대. 약 46억 년 전부터 약 5억 7000만 년 전까지의 시대를 말하며, 시생대와 원생대로 나눈다. 우리말샘

주29

새로운 지층이 낡은 지층 위에 겹치는 현상. 두 지층의 형성 시기 사이에 커다란 시간 간격이 있을 때 나타나는 것으로, 지각의 일부가 융기하여 그 이전에 형성된 암석의 일부가 침식되고, 이것이 다시 침강한 후 새로운 지층이 퇴적함으로써 발생한다. 우리말샘

주30

점토(粘土)가 굳어져 이루어진 수성암(水成巖). 회색이나 검은 갈색을 띠며, 흔히 얇은 층(層)으로 되어 잘 벗겨지는 성질이 있다. 우리말샘

주31

꿰뚫어 들어가다. 우리말샘

주32

비교적 최근에 하천의 활동에 의하여 자갈, 모래, 진흙 따위가 쌓여 이루어진, 아직 굳지 아니한 퇴적층. 우리말샘

주33

사장석, 각섬석, 흑운모, 휘석 따위로 이루어진 화성암. 검은 회색을 띠며, 단단하고 견디는 힘이 강하여 건축이나 토목에 쓰인다. 우리말샘

주34

엷은 자주색. 우리말샘

주35

주로 장석(長石)과 석영(石英)으로 이루어진 화성암. 밝은색의 가는 입자로 되어 있으며, 풍화하여 고령토로 되기 쉽다. 우리말샘

주36

매우 작은 알갱이로 이루어진 물질. 우리말샘

주37

밖에서 빛이 들어오지 못하게 만든, 사진기의 렌즈와 감광판이 붙은 상자. 주름상자식과 고정식이 있다. 우리말샘

주38

산림욕, 등산, 하이킹 따위를 할 수 있도록 국가에서 조성한 숲. 이용객의 편의를 위하여 주차장, 야영장, 산림욕장 따위의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자연환경이 훼손되지 않도록 관리한다. 우리말샘

주39

산이나 들, 강, 바다 따위의 자연이나 지역의 모습.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장동호(공주대학교 지리학과)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