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관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이조판서, 좌찬성, 좌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관지(灌之)
송암(松庵)
시호
충숙(忠肅)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484년(성종 15)
사망 연도
1545년(인종 1)
본관
문화(文化)
주요 관직
정언|사헌부집의|통정대부|우부승지|이조판서|좌찬성|좌의정
관련 사건
기묘사화
정의
조선 전기에, 이조판서, 좌찬성, 좌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관지(灌之), 호는 송암(松庵). 유상영(柳尙榮)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유주(柳霔)이다. 아버지는 장령(掌令) 유정수(柳廷秀)이며, 어머니는 박윤손(朴潤孫)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07년(중종 2) 생원시에 합격하고, 같은 해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2년 뒤에 정언(正言)이 되었고, 1513년에 지평(持平)으로 일시 경기도도사에 임명되어 진상(進上)의 전결분정(田結分定)에 따른 폐단의 개선을 건의하였다.

그 뒤 장령을 거쳐 1519년 7월에 승정원동부승지에 임명되었으나, 이 때 조광조(趙光祖)를 중심으로 하는 사림파 대간의 강력한 반발을 받았다. 이를 계기로 같은 해 11월에 기묘사화가 발생했을 때, 사헌부집의로서 조광조 일파가 득세할 때 심히 교만하고 방종했다고 비난하고, 현량과(賢良科)의 폐지와 그 급제자의 파방(罷榜)을 주장하는 등 적극적으로 조광조 일파를 공격하였다.

그 뒤 동부승지 · 참찬관 · 강원도관찰사 · 대사간 · 이조참의 등을 거쳐 1525년 12월에는 특별히 통정대부에 승진하면서 전라도관찰사에 임명되어 외직에 나갔다. 이어서 우부승지 · 병조참판 및 동지성균관사(同知成均館事)를 겸하고, 예조판서 · 우참찬 · 대사헌 · 이조판서 등을 차례로 역임하였다.

이조판서 재직 시에는 간신인 병조판서 이기(李芑)의 비행을 공격했는데, 이것이 후일 이기의 모함을 받는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이어서 우찬성 · 좌찬성에 올랐고 1541년 11월에는 평안도관찰사에 임명되었다. 이 임명은 중원(中原)에서 오랑캐〔㺚子〕의 침입과 같은 심상치 않은 일이 일어나자, 중신을 파견해 축성(築城) · 입거(入居) 문제의 처리와 사신 왕래에 따른 폐단 제거 등을 해결하고자 하는 왕의 배려에 의한 것이었다.

그 뒤 인종이 즉위하자 우의정을 거쳐 좌의정에 승진하였다. 명종이 즉위하면서 윤원형(尹元衡) · 이기 등의 모함으로 일어난 을사사화에서 윤임(尹任) · 유인숙(柳仁淑) 등과 함께 삼흉(三兇)으로 몰려, 종사(宗社)를 모위(謀危)했다는 죄목으로 처벌받았다. 처음에는 절도유배형(絶島流配刑)에 처해져 서천으로 귀양갔지만, 온양에 이르러 사사(賜死)되었다. 1570년(선조 3) 신원되었으며, 1577년 복작(復爵)되었다. 시호는 충숙(忠肅)이다.

참고문헌

『중종실록(中宗實錄)』
『인종실록(仁宗實錄)』
『명종실록(明宗實錄)』
『선조실록(宣祖實錄)』
『선조수정실록(宣祖修正實錄)』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해동잡록(海東雜錄)』
『을사전문록(乙巳傳聞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충재집(沖齋集)』
『대동야승(大東野乘)』
집필자
장동익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