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시한 ()

우담문집
우담문집
유교
인물
조선 후기에, 「임오록」, 「만록」, 「산중 일기」 등을 저술한 학자.
이칭
군익(君翊)
우담(愚潭)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25년(인조 3)
사망 연도
1707년(숙종 33)
본관
나주
출생지
서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정시한은 조선 후기 「임오록」, 「만록」, 「산중일기」 등을 저술한 학자이다. 1625년(인조 3) 출생하여 1707년(숙종 33) 사망하였다. 자는 군익, 호는 우담이다. 정시한은 이기론과 사단칠정론을 정밀하게 분석한 이기사칠설(理氣四七說)을 전개하여 이황의 도통을 계승하였다. 정시한은 「사칠변증(四七辨證)」을 통해 이이의 성리설을 41조에 걸쳐 조목별로 비판함으로써 퇴계학파의 형성에 중요한 기여를 하였다. 그의 문하에서 이식, 황수일, 이만부, 권두경 등이 배출되었다. 저서로는 『우담집』이 있다.

정의
조선 후기에, 「임오록」, 「만록」, 「산중 일기」 등을 저술한 학자.
개설

서울 출신.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군익(君翊), 호는 우담(愚潭). 대사헌 정윤복(丁胤福)의 증손이고, 아버지는 관찰사 정언황(丁彦璜)이며, 어머니는 횡성조씨(橫城趙氏)로 직제학 조정립(趙正立)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강원도 원주 법천(法泉)으로 낙향하여 평생 벼슬길을 멀리하였다. 오직 이현일(李玄逸) · 이유장(李惟樟) 등과 교유하면서 학문에 힘쓰고 후진 양성에 전념하였다.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사헌부집의 · 성균관사업의 벼슬이 내려졌으나, 모두 사양하고 나아가지 않았다.

1690년(숙종 16) 「만언소(萬言疏)」를 올려, ‘왕의 마음을 바로잡을 것’, ‘집안 다스리기를 엄격히 할 것’, ‘나라의 근본을 배양할 것’, ‘조정을 바르게 할 것’, ‘인재를 쓰고 버림에 신중히 할 것’, ‘언로를 열 것’의 6조를 제시하였다. 이 상소의 구절에 왕이 분노하여 관직을 삭탈하도록 명하였다. 그 뒤 세자시강원진선으로 나아갔다.

1691년 서인을 몰아내고 남인이 집권한 기사환국이 일어나자, 정시한은 남인에 속하면서도 인현왕후를 폐위시킨 일은 잘못이라고 소를 올렸다가 삭탈관직 당하였다. 이 해에 다시 기용되었으나 사퇴하고 벼슬길에서 물러났다.

1694년 서인들의 인현왕후 복위 운동으로 갑술옥사가 일어나 인현왕후가 복위되어 서인이 집권하고 남인이 실세하자, 1696년 희빈장씨(禧嬪張氏)를 정비에서 희빈으로 강등하는 것에 대해 반대하는 소를 올렸다. 이처럼 정시한은 당파적 입장을 떠나 일관된 의리론적 입장을 지켰다.

정시한의 생애와 인품에 대해 『숙종실록』에서는 “일찍부터 과거 공부를 버리고 편안하게 고향에서 지냈다. 어버이를 섬겨 효도했으며, 성품이 공손하고 조심스러워 남과 비교될 바가 아니었다. 가정은 가난하지 않았으나 검약을 법도로 삼았다. 그의 어머니가 천수(千壽)를 다하고 그의 나이 이미 60인데도 능히 상제(喪制)대로 다했으므로, 사람들이 모두 이를 칭송하였다.”라고 하였다.

학문세계와 저서

정시한은 성리설에서는 이(理)기(氣)의 관계를 현상적으로 주인과 보좌의 역할에 상응시킨 이주기보설(理主氣輔說)에 따라 이기사칠설(理氣四七說)을 전개하였다. 정시한은 기를 이의 보조자로 규정하고, 이를 주재하고 명령하는 자로 일관되게 주장하였다.

또한 이를 본원(本原)과 산수(散殊) 양면적으로 인식할 것을 요구하고, 이 · 기의 관계에서도 혼륜(混倫)과 분개(分開)의 두 형식을 동시에 인정함으로써 일원론이나 이원론으로 극단화하기를 거부하였으며, 현상적으로는 이 · 기의 혼융무간(混融無間)함을 인정하지만, 수양을 위해서는 이가 기를 조종하는 것이 필수적임을 강조하였다.

정시한의 학문적 업적은 성리설의 이기론과 사단칠정론을 정밀하게 분석하여 이황(李滉)의 입장을 명석하게 해명하고 도통을 계승한 데 있다. 정시한은 이현일이 「수주관규록(愁州管窺錄)」(1695)을 통해 이이(李珥)의 성리설을 비판함으로써 퇴계학파의 형성에 선구적 역할을 한 것을 계승하여 「사칠변증(四七辨證)」을 통해 이이의 성리설을 41조에 걸쳐 조목별로 비판함으로써 퇴계학파의 형성에 중요한 기여를 하였다.

정시한은 이이의 성리설이 혼륜에 집착한 기일원론임을 지적하고, 특히 인심(人心) · 도심(道心)이 서로 시작과 끝이 되어 연결된다는 이이의 주장은 명나라 나흠순(羅欽順)의 입장과 일치하고 주희와는 상반되는 것이라며 거부하였다. 또한 이황의 이발설(理發說)은 이기구발(理氣俱發)을 의미하는 것이라며 이이의 기발일도설(氣發一途說)을 비판하였고, 이에도 통(通) · 국(局)이 있고, 기에도 통 · 국이 있다고 하여, “이는 소통하고 기는 국한한다(理通氣局).”는 이이의 주장을 반박하였다.

정시한은 1700년부터 3년 동안 문인 이식(李栻)과 인성(人性) · 물성(物性)의 동이문제(同異問題)에 관한 논변을 벌이면서 인물성상이론(人物性相異論)의 입장을 전개하였다. 이 논변은 한원진(韓元震)이간(李柬) 사이의 인물성론인 호락논쟁(湖洛論爭)에 선행한 것이었다.

정시한의 문하에서는 이식 · 황수일(黃壽一) · 이만부(李萬敷) · 권두경(權斗經) 등 많은 학자들이 배출되었다. 저서로는 문집인 『우담집(愚潭集)』을 비롯하여 「임오록(壬午錄)」 · 「만록(漫錄)」 · 「산중일기(山中日記)」 · 「관규록(管窺錄)」 · 「사칠이기변(四七理氣辨)」 · 「변무록(辨誣錄)」 등이 있다.

이익(李瀷)은 묘갈명에서 정시한의 학문적 공적을 “학문의 정맥에 거슬러 올라가 이어감으로써 「사칠변증」을 저술하니 크게 빛나서 밝았다.”라고 평가하였으며, 정약용(丁若鏞)은 「방친유사(傍親遺事)」에서 정시한의 학덕을 존숭하여 “ 정구(鄭逑) · 장현광(張顯光) 이후로 진정하고 순수한 유학자는 오직 선생 한 분뿐이다.”라고 강조하였다.

상훈과 추모

원주의 광암사(廣巖祠)에 제향되었다.

참고문헌

『우담집(愚潭集)』
「우담정시한연구」(유명종, 『한국유학연구』, 이문출판사, 1988)
「우담정시한의 이주기보설과 인물성동이논변」(유명종, 『한국유학연구』, 이문출판사, 1988)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금장태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