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릉 ()

조선시대사
유적
조선 제21대 국왕인 영조의 왕비 정성왕후 달성서씨의 능.
유적/고인돌·고분·능묘
양식
건립 시기
조선 후기
관련 국가
조선
관련 인물
정성왕후
소재지
경기도 고양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홍릉(弘陵)은 조선 제21대 국왕인 영조의 왕비 정성왕후 달성서씨의 능이다. 홍릉 조성 시 영조는 자신의 수릉으로 오른쪽을 비워 두었으나 이곳에 합장되지 못해 현재도 왕후릉 오른쪽은 빈터로 남아 있다. 홍릉은 18세기 조선왕릉 석물 중에서 가장 아름다운 곳으로 꼽힌다. 사적 '고양 서오릉(高陽 西五陵)'에 있다.

정의
조선 제21대 국왕인 영조의 왕비 정성왕후 달성서씨의 능.
건립 경위

정성왕후는 1757년 승하하였으며, 능지는 창릉(昌陵) 왼쪽 언덕 을좌신향(乙坐辛向)으로 이곳은 숙종 명릉(明陵) 주산(主山)과 함께 창릉의 주맥(主脈)이 떨어지는 곳이었다. 영조는 다른 곳보다 부왕인 숙종의 곁에 자신과 왕후의 능을 조성하려고 했던 것으로 보인다. 숭릉(崇陵)과 명릉의 허우지지(虛右之誌: 오른쪽을 비워 두고 지석을 묻음)를 따랐다. 홍릉 석물(石物)은 경종 의릉(懿陵)의 예를 따르게 하였는데, 이에 의릉을 봉심(奉審)하여 석물의 크기 등을 반영하였다.

형태와 특징

정성왕후 홍릉은 곡담 안에 영조의 자리가 비어 있으며, 정성왕후의 봉분만 있다. 이 앞에 혼유석장명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양석(羊石), 호석(虎石), 망주석, 문석인(文石人), 무석인(武石人), 석마(石馬)는 쌍릉의 형식에 맞추어 건립되어 있다. 홍릉 능강 아래에는 정자각과 비각(碑閣)이 있으며, 비각에는 표석이 건립되어 있다.

금석문

홍릉 표석은 1757년에 처음 건립되었는데 이때 앞면에 ‘조선국 정성왕후 홍릉(朝鮮國 貞聖王后 弘陵)’이라고 월성위(月城尉) 김한신(金漢藎)이 썼으며, 음기는 새기지 않았다. 홍릉 표석의 음기는 1786년 정조가 써서 새기게 하였다.

의의 및 평가

정성왕후 홍릉의 석물은 조선 후기 왕릉 석물 중 손에 꼽히는 수작으로 장명등은 넓은 뚜껑돌과 안정적인 비례로 제작되었다. 문석인과 무석인은 전체적 비례와 얼굴, 복식 등의 표현이 매우 현실적이라고 평가되고 있다.

특히 홍릉 무석인의 갑주(甲胄) 형태는 고려 공민왕릉에서 유래한 것으로, 1752년 최천약(崔天若)이 공민왕릉 무석인을 모방해 조현명(趙顯命) 묘 무석인을 제작하였다. 이후 이 도상은 1756년 박문수(朴文秀) 묘 무석인으로 계승되고, 1757년 정성왕후 홍릉과 인원왕후 명릉 무석인으로 전래되었다.

이 능묘 무석인의 갑주가 14~15세기 갑주 형태로 제작된 것은 최천약과 함께 활동하였던 별간역인 김하정(金夏鼎), 변이진(卞爾珍) 등이 홍릉과 명릉 별간역에 참여하였기 때문에 가능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정성왕후〕국장도감의궤』(1757)
『〔정성왕후〕홍릉산릉도감의궤』(1757)

단행본

『조선왕릉 종합학술조사보고서 Ⅶ』(국립문화재연구소, 2014)

논문

김민규, 「조선 18세기 조각가 최천약 연구」(『문화재』 46권 1호, 국립문화재연구소, 201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