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순 운주사 칠층석탑 ( )

화순 운주사 칠층석탑
화순 운주사 칠층석탑
건축
유적
문화재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운주사에 있는 고려시대 7층 석조 불탑. 시도유형문화재.
정의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운주사에 있는 고려시대 7층 석조 불탑. 시도유형문화재.
개설

고려시대의 칠층석탑 1기로, 2005년 7월 13일 전라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내용

1989년 전남대학교 박물관에서 2차 발굴 당시 석탑 주변을 개토하였을 때 이제까지 묻혀 있던 석괴형 기단(방형 지대석) 밑의 모습이 드러난 적이 있는데, 이때 모습을 보면, 방형 기단은 약 1m내외의 돌로 기단을 받치고, 그 위에 거대한 석괴형 기단을 올린 상태였다. 탑의 총높이는 9.6m이며, 기단 주변에는 납작한 돌로 탑구(塔區)를 돌리고 기단석과 탑구 사이에는 방형 판석을 깔았다. 석괴형 기단은 측면에도 잘 다듬었으며, 상면에는 원형 1단괴임을 조출하여 위층의 탑신을 받치고 있다. 초층 탑신은 4매의 판석인데, H자형 모양으로 결구되었고, 남쪽면의 1면석이 결실되어 내부의 적심석들이 노출되었으나 근년에 보수하면서 끼워 넣었다. 각 면 모서리에는 우주가 모각되었다. 2층 탑신도 4매 판석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남면과 북면에 우주가, 동서면에서는 남북면의 벽석이 우주로 대치되고 면석에 얇은 보조우주가 모각되었다. 3층 이상의 탑신은 모두 1석씩이며, 각 면에는 우주가 모각되었다. 옥개석은 각 층이 모두 같은 형태인데, 하면의 옥개받침은 1층과 2층이 5단이고, 3층은 6단이며, 4층과 5층은 5단, 6층과 7층은 4단으로 각출되었다. 각 층 옥개석은 추녀와 처마가 직선형이고, 특히 네 귀퉁이의 전각의 반전이 매우 약하게 표현되었다. 상륜부는 유실되었다.

현황

운주사 입구 첫 번째로 있는 구층석탑 옆에 위치해 있는데, 원래는 논 가운데에 있었으나 운주사에서 주변 논밭을 모두 매입하여 잔디를 심고 정비하였다.

의의와 평가

이 석탑은 비교적 단정하고 소박한 모습으로, 옥개석이 짧고 둔중하며 탑신이 높아 신라 전형양식을 계승한 모습이다. 이 탑은 석괴형 기단 위에 조성한 칠층석탑으로 운주사의 석탑 가운데에서는 수위급에 해당되어 고려시대의 석탑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참고문헌

『운주사』(전남대학교박물관, 1984)
「화순 운주사지 석탑 및 불상 조사보고」(성춘경·천득염·이영숙·최인선, 『지방문화재조사보고서: 문화재위원회 심의자료』, 전라남도, 2005.4.14)
「운주사종합학술조사」(전남대학교박물관·화순군, 1991)
집필자
김희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