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상일 ()

청대문집(권5) / 사장령소
청대문집(권5) / 사장령소
유교
인물
조선 후기에, 대사간, 홍문관부제학, 대사헌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태중(台仲)
청대(淸臺)
시호
희정(僖靖)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79년(숙종 5)
사망 연도
1759년(영조 35)
본관
안동(安東)
출생지
경상북도 상주시
주요 관직
대사간|홍문관부제학|대사헌
관련 사건
이인좌의 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대사간, 홍문관부제학, 대사헌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태중(台仲), 호는 청대(淸臺). 상주의 근암리(近菴里)에서 출생했다. 아버지는 증이조판서 권심(權深)이며, 어머니는 경주이씨로 부사 이달의(李達意)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학문을 일찍 깨우쳐 20세에 옛 사람들의 독서하는 법과 수신하는 방법을 모아 「학지록(學知錄)」을 저술하였다. 1710년(숙종 36)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승문원 부정자가 되었으며, 1715년 저작 · 전적 · 직강 등을 역임하고, 1720년 예조 좌랑을 지냈다.

1722년(경종 2) 병조좌랑을 지내고, 1727년(영조 3)에는 만경현령이 되어 이듬해 일어난 이인좌(李麟佐)의 난을 사전에 탐지해 영문에 보고하고, 난을 토벌해 공을 세웠다. 1731년 영암군수와 사헌부 장령을 지내고, 1733년 양산군수 · 군자감 에 임명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같은 해 『퇴계언행록(退溪言行錄)』을 교열해 간행하고, 이듬해 상소해 민폐 근절책과 관기숙정 방안을 건의했다. 홍문관의 계청에 의해 경연에 참석해 소신을 진술했다. 그 해 울산부사가 되어 춘추관 편수관을 겸임하고, 구강서원(鷗江書院)을 창립해 학문을 진흥시켰으며, 공씨에게 군역을 면제하는 등 선치를 하였다.

1741년 시강원 필선에 임명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고, 1745년 봉상시정, 이듬해 사헌부 헌납 · 사간원 사성 · 사헌부 집의 · 동부승지 · 형조 참의 등을 역임하고, 1748년 우부승지로 물러났다.

뒤에 대사간 · 판결사(判決事) · 홍문관 부제학 · 한성 좌윤 · 지중추부사 · 대사헌 등을 역임하고 기로소에 들어갔다. 이황(李滉)을 사숙해 「사칠설(四七說)」을 지어 이(理)와 기(氣)를 완전히 둘로 분리하고, 이는 본연의 성이며 기는 기질의 성이라고 주장했다.

저서로는 『청대집(淸臺集)』 18권, 『초학지남(初學指南)』 · 『관서근사록집해(觀書近思錄集解)』 · 『소대비고(昭代備考)』 · 『가범(家範)』 · 『역대사초상목(歷代史抄常目)』과 『일기(日記)』 30여 권이 있다. 시호는 희정(僖靖)이다. 죽림정사(竹林精舍) · 근암서원(近菴書院)에 향사되었다.

참고문헌

『국조방목(國朝榜目)』
『영조실록(英祖實錄)』
『청대집(淸臺集)』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권오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