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릉 ()

조선시대사
유적
조선 제20대 국왕인 경종의 왕비 단의왕후 청송심씨의 능.
유적/고인돌·고분·능묘
양식
건립 시기
조선 후기
관련 국가
조선
관련 인물
단의왕후
소재지
경기도 구리시
내용 요약

혜릉(惠陵)은 조선 제20대 국왕인 경종의 왕비 단의왕후 청송심씨의 능이다. 단의왕후는 1718년 세자빈 시절 사망하여 단의빈묘로 조성되었으며, 경종 즉위 후 단의왕후 혜릉으로 추봉되었다. 1722년에 무인석 등이 추가로 배설되어 왕릉의 모습을 갖추었다. 사적 ‘구리 동구릉’ 내에 있다.

정의
조선 제20대 국왕인 경종의 왕비 단의왕후 청송심씨의 능.
건립 경위

단의왕후는 1696년에 훗날 경종이 되는 세자의 세자빈으로 책봉되었으나, 1720년 승하해 묘소는 세자빈의 예(禮)로 건립되었다. 능지는 현재 구리 동구릉(九里 東九陵)숭릉(崇陵)휘릉(徽陵) 사이의 주1이었다.

단의빈묘 조성 시 주2 수량은 순회세자묘(順懷世子墓), 소현세자묘(昭顯世子墓)를 따르고, 석물의 크기는 정종(定宗, 1357~1419, 재위 1398~1400) 후릉(厚陵)인헌왕후(仁獻王后, 1578~1626) 명릉(明陵)을 따르게 하였다. 그래서 단의빈묘는 주3이 없으며, 석물의 규모도 작게 건립되었다.

경종이 즉위 후 단의왕후 혜릉으로 추봉되었으며, 2년이 지난 1722년에서야 석물 추배설(追排設)이 되었다. 이때는 봉분 주변에 난간석(欄干石)을 두르고, 무석인 1쌍, 주4 1쌍, 망주석 1쌍을 새로 건립하였으며, 주5주6도 1쌍씩 추가로 제작하였다. 그러므로 현재 혜릉 석물들은 1718년의 작품과 1722년의 작품이 혼재되어 있다.

형태와 특징

혜릉의 능상에는 봉분에 난간석을 두르고, 주변에 양석, 호석, 망주석, 혼유석, 주7, 무석인, 석마가 설치되어 있다. 장명등은 건립되었으나 6 · 25전쟁으로 파괴되어 현재 기단의 흔적이 능상에 있으며, 정자각 서쪽 언덕에 장명등의 뚜껑돌과 몸돌이 묻혀 있던 것을 발굴해 놓았다.

능강 아래에는 정자각과 비각(碑閣), 홍살문이 있는데, 정자각은 6 · 25전쟁으로 소실된 것을 1995년 중건하였다.

금석문

비각 안에는 1747년에 건립한 표석이 있으며, 이 표석의 앞면 전서(篆書)는 유척기(兪拓基), 뒷면의 음기(陰記)는 여선군(驪善君) 이학(李壆)이 썼다.

의의 및 평가

단의왕후 혜릉은 세자 혹은 세자빈으로 묘역이 조성된 뒤 추봉 된 조선왕릉 중 처음으로 무석인 등 왕릉에 맞게 석물이 추배설된 사례이다. 더불어 가장 먼저 세자빈묘로 조성되어 석물의 크기는 작지만, 무석인의 갑옷과 투구, 망주석의 호랑이문양 등의 섬세한 조각이 돋보이는 곳이다. 더불어 세자빈묘로 조성된 1718년, 혜릉으로 추배설된 1722년, 1747년 표석 건립의 정황이나 작품이 자세히 남아 있는 중요한 유적이다.

참고문헌

원전

『단의빈묘소도감의궤』(1718)
『〔단의왕후〕혜릉석물추배설도감의궤』(1722)

단행본

『조선왕릉 종합학술조사보고서 Ⅶ』(국립문화재연구소, 2014)
주석
주1

묏자리나 집터 따위가 유방(酉方)을 등지고 묘방(卯方)을 바라보는 방향. 서쪽에서 동쪽을 바라보는 방향이다.    우리말샘

주2

무덤 앞에 세우는, 돌로 만들어 놓은 여러 가지 물건. 석인(石人), 석수(石獸), 석주, 석등, 상석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3

능(陵) 앞에 세우는 무관(武官) 형상으로 만든 돌. 능 앞 셋째 줄의 왼쪽과 오른쪽에 각각 하나씩 세운다.    우리말샘

주4

왕릉 따위의 앞에 돌로 만들어 세워 놓은 말.    우리말샘

주5

왕릉이나 무덤 앞에 세워 놓은, 돌로 만든 양 모양의 조각물.    우리말샘

주6

왕릉이나 큰 무덤 주위에 돌로 만들어 세운 호랑이.    우리말샘

주7

능(陵) 앞에 세우는 문관(文官)의 형상으로 깎아 만든 돌. 도포를 입고 머리에는 복두(幞頭)나 금관을 쓰며 손에는 홀(笏)을 든 공복(公服) 차림을 하고 있다.    우리말샘

집필자
김민규(동국대 강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