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연실전 ()

목차
관련 정보
현대문학
작품
김동인(金東仁)이 지은 단편소설.
목차
정의
김동인(金東仁)이 지은 단편소설.
내용

1939년 3월 『문장』 2집에는 ‘김연실전’, 5월에는 ‘선구녀(先驅女)’, 1941년 2월에는 ‘진주름’이라는 제목으로 같은 잡지에 3회에 걸쳐 발표되었다. 이 작품은 당시 신여성 문학인이었던 김명순(金明淳)을 모델로 하였다고 하여 물의를 빚기도 했다.

한 여인의 성장과정을 통해 개화의 물결과 자유연애의 이름 아래, 도덕적으로 타락해가는 사회와 가정과 인간의 모습을 그린 것이다. 김연실은 평양감영 이속이었던 김여찰의 소실 출생으로, 적모(嫡母)의 천덕꾸러기로 성장한다.

이러한 집안에서 벗어나기 위해 진명소학교에 입학하여 신학문을 배운다. 학교가 문을 닫자 일본어를 배워 동경유학길에 오르고자 한다. 이때 일본어 개인교사에게 처음으로 정조를 빼앗기지만, 남녀관계나 연애의 진정한 의미를 깨달은 것은 아니었다.

그 뒤 동경에 가서 예술과 문학에 눈을 뜨고 문학과 연애를 불가결한 관계로 파악한다. 그녀는 자의적으로 유학생들과 문란한 연애를 벌이며 선각자적인 의식에 사로잡힌다. 귀국 후에도 여류문사로 활동하면서 다시 여러 남자들과 무절제한 연애생활을 누리지만, 결국 정신적·육체적 몰락과 더불어 문학과 연애의 상실, 경제적인 궁핍에까지 이르고 만다.

이처럼 몰락한 연실은 어느날 셋방을 얻으러 갔다가 이제는 복덕방 영감이 된 옛날의 일본어교사를 만난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은 신여성의 참된 임무나 구실을 오해하고, 자유연애라는 잘못된 행태에만 빠져 타락하고 마는 연실의 삶을 반어적 양상으로 그린 것이다.

그와 더불어 가부장적 봉건가족제도에 얽힌 처첩의 문제, 반상계급의 이동, 적서의 문제 등을 통한 조선 말기 사회의 모습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초기 동경유학생들의 무절제한 연애생활, 초기의 조선문단 등이 사실적으로 그려지면서 풍자되고 있다.

이 작품은 이러한 환경의 영향 속에서 점진적으로 타락해가는 연실의 파멸을 추적하고 있다는 점에서, 「감자」와 같은 자연주의적 사실주의 계열의 작품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환경결정론적 사고 때문에 인물 자신의 갈등이나 상황과의 부단한 대결 모습이 결여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신여성에 대한 극단적인 야유와 희화화, 과도한 성 묘사 등으로 인해 작품의 진실성이 저해되고 있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참고문헌

『김동인연구』(김열규·신동욱, 새문사, 1982)
「김동인론: 성윤리를 중심으로」(한승옥, 『어문논집』17, 고려대학교, 1976)
「문학적 모랄리티의 출발: 동인작품의 성윤리」(정한모, 『세대』, 1965.2.)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신동욱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