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의대부 ()

목차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시대 문하부(門下府)의 관직.
목차
정의
고려시대 문하부(門下府)의 관직.
내용

본래 목종(穆宗) 때에 좌우간의대부(左右諫議大夫)가 있었는데, 문종(文宗)이 각기 1인으로 하고 정4품으로 하였다. 1116년(예종 11)에 4품의 행두(行頭)로 세웠고, 뒤에 좌우사의대부(左右司議大夫)로 고쳤다.

1298년(충렬왕 24)에 충선왕(忠宣王)이 다시 좌우간의대부로 고치면서 종4품으로 낮추었는데, 뒤에 다시 좌우사의대부로 되었다.

1356년(공민왕 5)에 다시 좌우간의대부로 고쳐 종3품으로 올렸고, 1362년에 다시 좌우사의대부로 고쳤으며, 1369년에 다시 좌우간의대부로 고쳤다가, 1372년에 다시 좌우사의대부로 고쳤다.

주된 직능은 좌우산기상시(左右散騎常侍)·좌우보궐(左右補闕)·좌우습유(左右拾遺)와 함께 성랑(省郎)의 구성원으로서 간관(諫官)의 임무를 담당하였다. 따라서, 사의대부는 간관에게 부수되어 있는, 수직자(受職者)의 고신(告身)을 심사하고 동의하는 서경(署經)의 권한도 가지고 있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고려(高麗)의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에 대하여」(변태섭, 『역사교육(歷史敎育)』10, 1967)
집필자
김기덕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