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임하동 십이지 삼층석탑 ( )

목차
관련 정보
안동 임하동 십이지삼층석탑
안동 임하동 십이지삼층석탑
건축
유적
문화재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시기의 석조 불탑. 석탑. 시도유형문화재.
목차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시기의 석조 불탑. 석탑. 시도유형문화재.
내용

높이 2.7m. 1979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지면에는 잡석으로 방형의 석단(石壇)을 구성하고 있는데, 주변에는 석등의 간주석(竿柱石)으로 추정되는 팔각형의 돌기둥과 복발형(覆鉢形) 탑재 1기가 흩어져 있다. 지대석은 여러 매의 석재를 조립하여 구성하였다.

하층기단은 12매의 석재를 조립하여 구성하였는데, 각 면에는 양 우주(隅柱 : 모서리기둥)와 2개의 탱주(撑柱 : 받침기둥)가 새겨져 있고, 2개의 탱주로 분할된 각 3면에는 십이지상(十二支像)이 1구씩 새겨져 있다. 하층기단의 갑석은 여러 매의 판석으로 조립하였는데, 상면에는 호각형(弧角形) 2단의 상층기단 받침이 조출되어 있다.

상층기단은 8매의 판석으로 조립하였는데, 한쪽 면의 부재는 결실되었다. 기단의 각 면에는 양 우주와 1개의 탱주가 새겨져 있으며, 탱주로 분할된 8면에는 팔부신중(八部神衆)이 1구씩 새겨져 있다.

상층기단 갑석의 상면은 경사지게 처리하여 네 모퉁이에 낮은 합각선이 돌출되어 있다. 갑석의 하면에는 각형 1단의 부연이 있고, 상면에는 각형 2단의 초층탑신 받침을 조출하고 있다.

탑신석과 옥개석은 각각 하나의 석재로 구성되었는데, 현재는 2층까지만 남아 있으나, 전체적인 모습을 볼 때 본래는 3층석탑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탑신석에는 양 우주가 새겨졌는데, 1층이 2층탑신에 비해 약 3배 높게 조성되어 있다.

옥개석의 하면에는 층마다 각형 4단의 옥개받침이 조출되었고, 상면에는 각형 2단의 탑신받침이 각출되어 있다. 낙수면의 경사가 완만하고, 추녀는 수평을 이루다가 전각(轉角)에 이르러 경쾌한 반전(反轉)을 보이고 있다.

이 석탑에서는 1965년의 해체수리 때 1층탑신 상면에 마련된 둥근 사리공(舍利孔)에서 유리제사리병과 유리구슬을 비롯한 사리장치(舍利藏置)가 출토되었다고 하며, 이곳에서 약 100m 떨어진 밭 가운데에서 금동여래입상 1구가 출토되어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이관되었다고 한다.

기단에 새겨진 탱주의 수와 십이지와 팔부신중의 조식, 옥개석의 수법 등 전체적인 양식을 고려할 때 통일신라 말기인 9세기 전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문화유적총람』 중(문화재관리국, 1977)
『경상북도문화재도록』(동해문화사, 1985)
『통일신라석조미술연구』(학연문화사, 1994)
中原文化圈文化遺蹟地表調査報告-安東市·安東郡-(嶺南大學校博物館, 1987)
집필자
박경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