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임하동 오층석탑 ( )

목차
관련 정보
안동 임하동 오층석탑
안동 임하동 오층석탑
건축
유적
문화재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에 있는 고려시대 5층 석조 불탑. 석탑. 시도유형문화재.
목차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에 있는 고려시대 5층 석조 불탑. 석탑. 시도유형문화재.
내용

높이 5.2m. 1984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현재 초층탑신 아래가 잡석과 흙으로 쌓은 방형 축대에 매몰되어 있어 기단(基壇)의 양식은 알 수 없는데, 북서쪽으로 약 15˚ 기울어져 있다. 석탑의 하면에는 각형 3단의 초층탑신 받침이 각출된 판석이 있는데, 기단의 갑석으로 추정된다.

탑신석과 옥개석은 각각 하나의 석재로 구성되어 있다. 초층탑신에는 양 우주(隅柱 : 모서리기둥)가, 중앙에는 방형의 문비형(門扉形)이 새겨져 있다. 2층에서 5층에 이르는 탑신석에는 양 우주와 하나의 탱주(撑柱 : 받침기둥)가 정연히 새겨졌는데, 각층의 체감비(遞減比)가 일정한 비례를 보이고 있다.

옥개석 하면에는 층마다 각형 4단의 탑신받침이 조출되어 있고, 전각(轉角)의 하면에는 풍경공(風磬孔)이 개설되어 있다. 낙수면의 경사가 급하고 짧게 조성되었는데, 추녀는 수평을 이루고 있다. 5개층의 옥개석이 모두 전각부에서 심하게 파손되어 정확한 형상을 파악하기 어렵지만, 대체로 둔중한 반전이 이루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석탑의 남쪽 논에 주춧돌로 추정되는 석재가 흩어져 있어 이곳이 법당터임을 추정할 수 있는데, 마을에서는 원림사지(院林寺址)라 전하고 있다. 초층탑신에 새겨진 문비와 2층 이상의 탑신석에 새겨진 탱주에서 인근에 위치한 삼층석탑과 양식적 친연성(親緣性)을 볼 수 있다.

탑신의 체감비가 일정하고, 전체 높이에 비해 옥개석의 폭이 좁은 느낌이 드는데, 여러 양식적 특징을 고려할 때 고려시대 중반을 하한(下限)으로 하는 석탑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중원문화권문화유적지표조사보고(中原文化圈文化遺蹟地表調査報告) -안동시(安東市)·안동군(安東郡)-』(영남대학교박물관, 1987)
『경상북도문화재도록(慶尙北道文化財圖錄)』(동해문화사, 1985)
『문화유적총람(文化遺蹟總覽) 중(中)』(문화재관리국, 1977)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박경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