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광 내산서원 강감회요 목판 ( )

목차
관련 정보
영광 내산서원 강감회요 목판
영광 내산서원 강감회요 목판
출판
유물
문화재
전라남도 영광군 불갑면 쌍운리 내산서원에 소장되어 있는 『강감회요』의 목판.
정의
전라남도 영광군 불갑면 쌍운리 내산서원에 소장되어 있는 『강감회요』의 목판.
개설

『강감회요』는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강항(姜沆, 1567∼1618)이 중국의 역사서인 『자치통감(資治通鑑)』과 『통감강목(通鑑綱目)』 등을 보완하여 정리한 사서(史書)이다. 강항은 1593년(선조 26) 문과에 급제하여 교서관 정자, 공조와 형조의 좌랑 등을 지냈다. 정유재란 때 왜적의 포로가 되어 일본으로 끌려갔다가 일본에 성리학을 전파하고, 귀국 후 은거하며 학문에 전념하였다. 사후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이 목판은 총 642판으로, 1702년(숙종 28)에 판각된 것으로 보인다. 1999년 7월 5일 전라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내산서원에 소장되어 있다. 처음에는 영암군 도갑사(道岬寺)에서 판각하여 읍내의 녹동서원(鹿洞書院)으로 이관하였는데, 이 서원이 훼철되자 덕진면 영보리 장판각에 보관하다가 1979년 내산서원으로 옮겼다. 내산서원은 1635년(인조 13) 용계사(龍溪祠)라는 이름으로 사액된 서원으로,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 때 훼철되었다가 1974년 현위치에 복원한 서원이다. 주위에 강항의 묘소와 동상이 있다.

내용

『강감회요』는 모두 17권으로 각 권마다 상·하 2권으로 나누어져 있다. 주요 내용은 강목(綱目)과 같이 주(周)·한(漢)·진(晉)·남북조(南北朝)·수(隋)·당(唐)·오대사(五代史)로 편성되어 있다. 첫머리에 강항의 제자 윤순거(尹舜擧)가 1667년(현종 8)에 쓴 서문이 있다.

목판의 전체 크기는 가로 50.5㎝, 세로 22㎝이다. 변란은 사주단변이며, 반곽의 크기는 가로 16㎝, 세로 20.2㎝이다. 판면은 계선이 보이고 있고, 반면은 12행으로 1행에는 22자가 배자되어 있다. 판심부에 서명은 보이지 않고 권수와 장수만 표시되어 있으며, 어미는 상하내향에 2엽화문이다. 판면의 상단부[天頭]에 두주(頭注)가 판각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이 목판은 연대가 오래되고, 특이한 이력을 겪은 강항의 행적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판각 후 서원의 폐지 등 여러 이유로 이관이 빈번하였으나 보존이 잘되고 있으며, 인본(印本)도 국립중앙도서관에 1권밖에 없어 희소성이 큰 자료이다.

참고문헌

『수은집(睡隱集)』
『강감회요(綱鑑會要)』
『전남서원의 목판』(송일기 외, 전남대학교문헌정보연구소·전라남도, 1998)
『전남권문집해제』(전남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1997)
「강감회요목판」(송일기, 『전남향토문화백과사전』, 전라남도·전남대학교호남문화연구소, 2002)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김희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