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성 필암서원 하서선생문집 목판 ( )

장성 필암서원 하서선생문집 목판
장성 필암서원 하서선생문집 목판
출판
유물
문화재
전라남도 장성군 소재 필암서원에 소장되어 있는 하서 김인후의 문집 목판.
정의
전라남도 장성군 소재 필암서원에 소장되어 있는 하서 김인후의 문집 목판.
개설

김인후(金麟厚, 1510~1560)는 조선 중기의 학자로, 본관은 울산, 자는 후지(厚之), 호는 하서이다. 1540년(중종 35) 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 부정자를 시작으로 홍문관의 박사와 부수찬, 옥과현감 등의 벼슬을 지냈다. 시문에 뛰어나 10여권의 문집을 남겼고, 천문·지리·의약·산수에도 정통하였다. 동국18현의 1인으로서 문묘에 모셔졌고, 장성의 필암서원과 곡성 옥과의 영귀서원(詠歸書院) 등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문정이다. 이 서원에 소장되어 있는 목판은 총 650매로, 1999년 7월 5일 전라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장성군 황룡면 필암리 필암서원에 소장되어 있다.

편찬/발간 경위

1568년(선조 1)에 처음 판각된 후 1686년(숙종 12)에 재각하였으며, 1797(정조 21)~1802년(순조 2)간에 삼각 등 3회에 걸쳐 간행되었다.

서지적 사항

초각본은 변란이 사주단변인데 이후로 판각된 것이 사주쌍변인 점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반곽의 크기는 가로 18.5㎝, 세로 15㎝이며, 계선이 있고, 행자수는 11행 18자이다. 판심에는 임진왜란 이전 각본의 특징을 보이고 있는 흑구(黑口)가 상하에 있고, 어미는 3엽화문이다. 재각본 크기는 가로 53㎝, 세로 20.5㎝이다. 변란은 사주쌍변이며, 광곽의 크기는 가로 31㎝, 세로 20㎝이다. 판면에는 맨 앞에 ‘河西先生集卷之一(하서선생집권지일)’이라는 서명으로 시작되고 있으며, 반곽은 10행, 1행에 19자씩 새겨져 있고, 행 사이에 계선이 있다. 판심은 ‘河西集(하서집)’이라는 판심서명이 있고, 그 밑으로 권수와 장수를 표시하고 있으며, 어미는 상하내향으로 3엽화문 형식이다. 삼각본 목판의 전체 크기는 가로 51㎝, 세로 21㎝이고, 반곽의 크기는 가로 16㎝, 세로 23.5㎝이다. 행자수는 반엽 10행, 1행에 20자씩 배자되어 있다. 판심부에는 어미 위에 ‘河西先生全集(하서선생전집)라는 서명이 보이고, 그 아래로 권수와 편명, 장수가 차례로 있다.

내용

이 목판은 초각본 1판, 재각본 258판, 삼각본 391판 등 모두 650판이다. 삼각본인 『하서선생전집』은 처음에 어제사제문 2편, 사제문·문묘종사교서 및 반교문·문묘승배축문에 이어 조희문(趙希文)의 구서와 송시열(宋時烈)의 서문, 박세채(朴世采)의 구발(舊跋), 이직보(李直輔)의 발문이 있다. 본집은 모두 12권인데, 권1은 부 13편, 사(辭) 5편, 권2~10은 오언고시 170여수, 칠언고시 68수, 오언절구 260여수, 칠언절구 460여수, 오언율시 250여수, 칠언율시 200여수, 오언배율 25수, 칠언배율 6수, 권11은 차(箚) 1편, 서(書) 6편, 서(序) 2편, 기 1편, 발 2편, 권12는 찬 1편, 명 1편, 송 1편, 전 3편, 계(啓) 1편, 상량문 1편, 제문 4편, 묘지명 5편, 잡저 8편이다. 부록은 모두 4권으로, 권1은 가장·행장·신도비명·묘표·묘지명, 권2는 서술(敍述) 65조, 제문 3편, 시 39수, 상량문·발, 권3은 세계, 연보(상), 권4는 연보(하)로 편성되어 있다.

특징

1568년(선조 1)에 처음 판각된 후 1802년(순조 2)의 삼각 등 200여 년간의 기간 동안 3회에 걸친 판각 상황을 한눈에 볼 수 있어 특이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의의와 평가

조선 중기의 대학자 하서 김인후의 저술로 내용도 중요하고 판각연대가 올라가며 결판이 없어 가치가 크다.

참고문헌

『하서전집(河西全集)』
『전남권문집해제』 1·2(전남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1997)
『전남서원의 목판』(송일기 외, 전남대학교문헌정보연구소·전라남도, 1998)
「하서선생문집목판」(송일기, 『전남향토문화백과사전』, 전라남도·전남대학교호남문화연구소, 2002)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김희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