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종영가집 ()

선종영가집
선종영가집
불교
문헌
문화재
당나라 승려 현각의 참선을 수행하는 방법론으로 1472년에 간행한 불교서.
정의
당나라 승려 현각의 참선을 수행하는 방법론으로 1472년에 간행한 불교서.
개설

1999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당나라 현각선사(647∼713)가 수행하는 방법을 10가지로 나누어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이 책은 1381년(고려 우왕 7) 봄에 새긴 목판으로 충주 청룡사에서 1472년(성종 3)에 후인한 판본이다.

편찬/발간 경위

현각의 찬술에다 송나라 행정(行靖)이 주를 달았다. 낭성군(琅城君) 이방직(李邦直, ?∼1384)의 발문에 따르면, “회암사의 나옹대화상(1320∼1376)이 을묘년(1375)에 자신에게 『선종영가집』을 보여주었는데 다시 보고자해도 얻을 수가 없었다. 마침 나옹의 제자인 훤선(昍禪) 등이 그 책을 가져와 중간하기를 요청하기에 간행”하였다고 한다. 이후 1472년(성종 3)에 인수대비가 세조, 예종, 의경왕의 명복을 빌고, 정희대왕대비, 주상전하와 왕비전하의 만수무강 등을 기원하기 위해 목판이 있는 곳에 가서 여러 불경을 인쇄할 때 이 책도 200부를 인쇄하였다.

서지적 사항

번각본이지만 담여(淡如), 각눌(覺訥) 등의 각수가 정교하게 새긴 판본이다. 권미에 는 김수온의 4장 분량의 발문을 갑인자 소자로 찍어 덧붙여 놓았다.

내용

모두 10문(門)으로 편성되어 있는데 여러 조사들의 저술 중에서도 백미로 인정된다. 10문은 삼계를 관찰하여 속세를 떠나야 한다는 것 등 14종의 법을 논설한 첫 번째의 모도지의(慕道志儀)에서부터 모든 중생이 고통을 벗어나 해탈을 이루고 마침내 정각을 성취하기를 바라는 열 번째의 발원문에 이르기까지 10편이다.

의의와 평가

고려 때 판각된 목판을 후인하면서 김수온의 당시 발문은 갑인소자로 인쇄하여 덧붙여 놓았다. 그래서 고려시대의 목판본과 조선시대의 금속활자본이 한 책에 수록되어 있으므로 불교사는 물론 출판인쇄사에 있어서도 귀중한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국가기록유산(www.memorykorea.go.kr)
문화재청(www.cha.go.kr)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오용섭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