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송집 ()

유교
문헌
1744년에, 조선 전기 학자 조임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간행한 시문집.
문헌/고서
편찬 시기
조선 후기
간행 시기
1744(영조 20)
저자
조임도(趙任道)
편자
조홍엽(趙弘燁)
권책수
8권 4책
권수제
간송선생문집(澗松先生文集)
판본
목판본
표제
간송집(澗松集)
소장처
고려대 도서관, 성균관대 도서관 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간송집』은 조선 전기, 학자 조임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44년에 간행한 시문집이다. 자호의 연원을 밝힌 「재송간변」을 비롯하여 시사를 논한 상소 「사사속소」, 출처를 논한 「우언」, 불교의 허탄함을 변론하여 반박한 「기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의
1744년에, 조선 전기 학자 조임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간행한 시문집.
서지사항

『간송집』은 세계도 · 연보 1권, 본집 5권, 별집 2권, 합 8권 4책으로 되어 있고, 목판본이다. 고려대학교 도서관,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편찬 및 간행 경위

『간송집』은 1744년(영조 20) 이광정(李光庭)의 편집을 거쳐 그의 주1 홍엽(弘燁)이 간행하였다. 이후 장복추(張福樞)와 노상직(盧相稷)이 본집에서 누락된 시문들을 편집하여, 1930년에 5권 2책으로 된 속집을 간행하였다.

구성과 내용

권1·2에 시 268수, 권3∼5에 소 1편, 서(書) 29편, 잡저 11편, 서(序) 5편, 기 2편, 제발(題跋) 15편, 잠 · 명 5편, 제문 16편, 축문 4편, 비 · 지(誌) 3편, 행장 4편이 수록되어 있다. 별집의 권1은 취정록(就正錄), 권2는 부록으로 묘갈명 · 만장 · 제문 · 소 · 계(啓) · 봉안문 · 상량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는 오언고시, 오언절구, 오언율시, 칠언고시, 칠언절구, 칠언율시, 칠언배율이 시체별(詩體別) · 연대별로 실려 있다. 그중에 「재송간변(栽松澗邊)」은 간송(澗松)이라는 자호를 짓고 쓴 시로서 저자의 기개를 살필 수 있는 작품이다. 「삼강구절구(三綱九絶句)」는 함안의 충신, 효자, 절부 각 3인을 드러내어 기리는 시이다.

「사사속소(謝賜粟疏)」는 1662년(현종 3) 임금으로부터 곡식을 받은 데 대한 사례와 아울러 엄궁금(嚴宮禁) · 친유신(親儒臣) · 흥교학(興敎學) · 수무비(修武備) 등 시무 14조, 명분 · 기강 · 사치 등 주2 4조를 열거하고, 시행책과 개혁책을 촉구한 주3이다. 서(書)는 장현광(張顯光) · 유진(柳袗) · 정온(鄭蘊) · 조평(趙平) · 윤순거(尹舜擧) 등과 주로 경전 · 예설에 관해 논술한 것이다.

잡저 중 「우언(寓言)」에서는 난세를 당했을 때 선비의 주4문제를 논하였다. 「잡설(雜說)」은 현자라고 해서 반드시 명성을 남기는 것이 아님을 밝힌 글로서 은연중에 자신을 비유하였다. 「저익설(沮溺說)」에서는 옛날 은자인 장저(長沮)와 걸익(桀溺)의 고사를 예로 들어 처세하는 방법을 문답식으로 설파하고 있다.

「기이(記異)」에서는 불교의 허탄함을 변론하여 반박했고, 「관규쇄설(管窺瑣說)」에는 존성(存誠) · 거경(居敬) · 궁리(窮理) 등 학문하는 방법과 붕당에 관한 논리 등 참고가 되는 기사가 많다. 「봉선초의(奉先抄儀)」에는 제례의식으로 시제(時祭) · 기제(忌祭) · 묘제(墓祭) 등 10개 조항의 의식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제시했는데, 많은 사림들의 모범이 되었다.

속집은 5권으로, 권1에 시 200여 수, 권2~4에 소 3편, 서(書) 38편, 서(序) 1편, 축문 10편, 제문 5편, 묘갈 6편, 전 1편, 권5에 부록이 수록되어 있다.

현황

한국고전번역원에서 『간송집』의 원문과 원문 이미지 · 번역문 · 교감표점문 · 해제를 제공하고 있다.

참고문헌

원전

『여헌집(旅軒集)』
『눌은집(訥隱集)』

인터넷 자료

한국고전종합db(https://db.itkc.or.kr)
주석
주1

증손자의 아들. 또는 손자의 손자. 우리말샘

주2

그 시대의 잘못된 폐단. 우리말샘

주3

임금에게 올리던 글. 주로 간관(諫官)이나 삼관(三館)의 관원이 임금에게 정사(政事)를 간하기 위하여 올렸다. 우리말샘

주4

인연을 끊고 헤어진 아내.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