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재집 ()

간재집
간재집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학자, 이덕홍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66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의 학자, 이덕홍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66년에 간행한 시문집.
서지적 사항

본집과 속집은 목판본으로 1666년(현종 7) 이덕홍의 외종손 김만휴(金萬烋)가 간행하였으며, 그 뒤 1754년과 1766년에 중간되었다. 권두에는 이광정(李光庭)과 정언충(鄭彦忠)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는 권상일(權相一)의 발문이 있다.

본집 7권 4책, 속집 5권 3책, 필사본 9책, 합 12권 16책. 목판본 · 필사본. 규장각 도서 · 국립중앙도서관 · 안동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내용

본집은 권1에 부 2편, 시 112수, 권2에 시 50수, 소 2편, 권3 · 4에 문목(問目)으로 서(書) 29편, 권5 · 6에 「계산기선록(溪山記善錄)」, 권7에 잡저 19편, 명 7편, 도(圖) 10편, 말미에 연보 · 천목(薦目) · 만사 · 제문 · 봉안문 · 축문 · 묘갈명, 행장 2편이 수록되어 있다. 속집은 권1에 「사서질의(四書質疑)」, 권2에 「주역질의부범수횡도방도(周易質疑附範數橫圖方圖)」 · 「기삼백주토(朞三百註吐)」 · 「선기옥형주토(璿璣玉衡註吐)」, 권3에 「심경질의(心經質疑)」, 권4에 「고문질의(古文質疑)」, 권5에 「가례주해(家禮註解)」 등이 수록되어 있다. 필사본은 1책에 「계산기선록(溪山記善錄)」, 2책에 「사서질의(四書質疑)」, 3책에 「주역질의(周易質疑)」, 4책에 「주서절요강록(朱書節要講錄)」, 5 · 6책에 「주서절요기의(朱書節要記疑)」, 7책에 「심경강록(心經講錄)」, 8책에 「심경표제(心經標題)」, 9책에 부록이 수록되어 있다.

본집의 부(賦)는 음양이 상호 근원이 되는 원리를 읊은 것이고, 시 · 서는 모두 심오한 철학을 지닌 학술적인 내용이 많다. 소 가운데 「상왕세자서(上王世子書)」는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났던 해에 세자가 있던 용강산성에 가서 왜적에 대한 방어책을 건의한 글이다. 이 글에서 그는 민심의 수습 및 애국심을 고취시킬 것과 구체적인 전술로서 바다에서는 거북선[龜甲船]을 사용하고, 육지에서는 귀갑거(龜甲車)의 활용과 학익진(鶴翼陣)을 응용할 것을 제시하고 있다. 「상행재소(上行在疏)」는 1593년 선조에게 올린 것으로서, 왜적의 보급로를 차단하는 방법을 논술하였다.

서의 문목(問目)은 모두 이황(李滉)에게 올린 것으로서 사서삼경, 『심경(心經)』 · 『근사록(近思錄)』 등의 저서에 대한 질의와 유학 전반에 걸친 갖가지 문제들을 깊이 있게 논의한 글이다. 「계산기선록」은 스승 이황의 언행과 가르침 가운데 핵심들을 16항목으로 나누어 기술한 것으로, 이황의 학문과 수양은 물론이고, 그의 스승에 대한 진지한 태도 또한 잘 나타나 있다.

잡저는 학문의 정도와 윤리적인 생활태도의 근본에 대한 그의 신념을 논리정연하게 서술한 글들이다. 그 가운데 「진청란학부통변심도설변(陳淸瀾學蔀通辨心圖說辨)」은 진청란의 심도(心圖)가 나흠순(羅欽順)의 『곤지기(困知記)』의 영향을 받아 도심(道心)을 체(體), 인심(人心)을 용(用)이라 한 것에 대하여 주자 및 여러 선유들의 학설을 빌어 논박을 가한 것으로, 그의 해박한 지식과 학문적 깊이를 잘 보여주는 글이다.

「지행변(知行辨)」에서는 지(知)와 행(行)의 동질성과 상이성에 대하여 정연한 논리를 전개하고 있으며, 「혈구변(絜矩辨)」은 선유들의 학설 가운데 틀린 점과 불분명한 점들을 바로 잡은 글이다. 「여조월천사경변미발이발(與趙月川士敬辨未發已發)」은 체(體)는 미발(未發)이고, 용(用)은 이발(已發)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체용호근지묘(體用互根之妙)로써 상호 보완적인 기능을 한다고 명석하게 설명한 글로서, 심성론(心性論)에 대한 그의 깊은 조예가 엿보인다.

「심경질의」는 그의 저술 가운데 가장 유명한 것의 하나인데, 그 뛰어난 해설과 정연한 논지로 인해 후인들이 다투어 필사했으며, 경연의 강의 제목으로 선택되었다. 필사본들은 독립된 저작의 형태를 취하고 있어 본집과 속집에 들어 있는 글과 같은 제목의 글도 많이 있다. 그러나 원저작이기 때문에 분량도 많고, 요약이 안 되어 있으며, 주가 더욱 상세하고, 간혹 한글 토와 한글 번역들이 있어 고어연구에 도움이 된다.

참고문헌

『효종실록(孝宗實錄)』
『겸암집(謙庵集)』
『눌옹집(訥翁集)』
『갈암집(葛庵集)』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