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관대요 ()

조선시대사
문헌
조선 후기 지방 수령이 목민관으로 가져야 할 태도와 마음가짐을 비롯하여 행정 업무에 대한 구체적인 지식을 교훈 형식으로 수록한 목민서.
문헌/고서
편찬 시기
조선 후기
권책수
1책
표제
거관대요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국립중앙도서관
내용 요약

거관대요는 조선 후기 지방 수령이 목민관으로 가져야 할 태도와 마음가짐을 비롯하여 행정 업무에 대한 구체적인 지식을 교훈 형식으로 수록한 목민서이다. 지방 수령이 통치하는 데 꼭 알아두어야 할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지식을 수령칠사(守令七事)의 큰 틀에서 민소(民訴), 전령(傳令), 부첩(簿牒), 농상(農桑), 호적(戶籍), 학교(學校), 전정(田政), 분조(分糶), 봉적(捧糴), 군정(軍政), 군기(軍器), 잡조(雜條), 진정(賑政) 등 더 세분화된 항목으로 나누어 전달하고 있다.

정의
조선 후기 지방 수령이 목민관으로 가져야 할 태도와 마음가짐을 비롯하여 행정 업무에 대한 구체적인 지식을 교훈 형식으로 수록한 목민서.
저자

저자가 누구인지 알려져 있지 않으며, 지방 수령을 역임하였던 지식인으로 추정된다.

서지사항

현재 거관대요를 주1로 하는 책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현존본들은 모두 권차를 두지 않은 1책 형태의 필사본이다.

장서각본과 규장각본은 표제가 모두 '거관대요'이고 내용은 동일하지만, 장서각본에는 「거관대요」 외에도 「거관잡록(례)」이 더 수록되어 있다. 한편 국립중앙도서관본은 표제와 내용에서 차이를 보이며, 그 밖의 다른 목민서(牧民書)가 부록되어 있어 별도의 책으로 보아야 한다.

장서각본을 기준으로 볼 때 본문은 계선(界線)과 주2이 없는 백지에 필사하였으며, 한 면은 10행 20자로 되어 있고, 주석은 쌍행(雙行)으로 기재하고 있다.

구성과 내용

책의 첫머리에 목차로 제시한 주3, 전령, 주4, 주5, 호적, 학교, 전정, 주6, 주7, 군정, 주8, 잡조, 주9 등 13개 항목으로 구분하였다. 하지만 본문은 민소 항목 이전에 수령의 부임 과정에서 주의해야 할 점을 포함하여 향리를 다루는 문제 등 통치 과정에서 전반적으로 유의해야 할 점 등을 먼저 기술하였다.

민소에서는 형식적이지 않고 매우 구체적인 관행을 예로 제시하여 판결문을 작성하는 방식 등 각종 소송을 처리하기 위한 실무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전령에서는 백성들에 대해 직접 명령하는 방식을 논의하고 있는데, 되도록 자율성을 인정하는 방식으로 최소한의 간섭만을 충고하고자 하였다.

부첩에서는 각종 문서 작성과 상급 관청에 보고하는 요령 등이 정리되어 있다.

농상은 농사를 지을 때 필요한 이앙(移秧), 관개(灌漑), 주10의 방책을 다루었다.

전정에서는 주11에 따른 주12 수정과 간평(看坪) 때의 폐단을 방지하는 방법이 실려 있다.

분조와 봉적에서는 환곡(還穀) 업무를, 군정에서는 군역(軍役)에 대한 제반 사항을 기록하였다.

잡조에서는 주13, 주14, 주15, 죄인 등에 대한 것이 설명되어 있다.

의의 및 평가

통치의 측면에서는 조선 후기 이후 증대되어 가는 지방 수령의 자율적인 역할을 엿볼 수 있으며, 사회상의 측면에서는 매우 구체적인 관행을 이해할 수 있다. 무엇보다 지식 유통 면에서는 수령 생활에서 얻은 구체적인 지식들이 수령학 혹은 목민학으로 체계화되고 있다는 것을 엿볼 수 있게 해준다.

참고문헌

논문

정호훈, 「18세기 목민서(牧民書)의 발달 양상과 『목민심서(牧民心書)』」( 『다산학』 28, 재단법인 다산학술문화재단, 2016)
송낙선, 고동원, 「조선 후기 목민서 거관대요: 지방재정의 관리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사학지』 28, 한국행정사학회, 2011)
주석
주1

책의 이름을 속표지나 본문의 첫머리 따위에 적음. 또는 그런 제목.    우리말샘

주2

서책 책장의 사주(四周)를 둘러싸고 있는 검은 선. 사주 단변(四周單邊), 사주 쌍변(四周雙邊), 좌우 쌍변(左右雙邊)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3

억울한 사정에 대한 백성들의 호소.    우리말샘

주4

관아의 장부와 문서.    우리말샘

주5

농업과 양잠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6

환곡(還穀)을 나누어 꾸어줌.

주7

물건을 거두어 받아들이고 곡식을 사들이는 일.

주8

전쟁에 쓰는 도구나 기구.    우리말샘

주9

흉년을 당해 가난한 백성을 도와줌.

주10

발전(發電), 수리(水利) 따위의 목적으로 강이나 바닷물을 막아 두기 위하여 쌓은 둑.    우리말샘

주11

논밭을 측량함.    우리말샘

주12

조선 시대에, 조세 부과를 목적으로 논밭을 측량하여 만든 토지 대장. 농민층의 토지 소유 상황, 농가 소득 정도, 계층 분화의 정도 따위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로서 논밭의 소재지, 자호(字號), 위치, 등급, 형상, 면적, 사표(四標), 소유주 따위가 기록되어 있다.    우리말샘

주13

사무를 인계할 때에 전하는 문서나 장부.    우리말샘

주14

전례(前例)를 적은 기록.    우리말샘

주15

제사에 쓰는 음식물.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김혁(경희대 강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