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담요람 ()

목차
관련 정보
고전산문
문헌
조선 후기에, 미상 편자가 한문 소설, 논변, 전기 소설 등을 채록하여 1650년경에 편찬한 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에, 미상 편자가 한문 소설, 논변, 전기 소설 등을 채록하여 1650년경에 편찬한 문집.
서지적 사항

1책. 한문필사본.

내용

이 책에 실린 <기와김공언행록서 棄窩金公言行錄序> 말미의 ‘숭정기원후(崇禎紀元後) 경인모춘(庚寅暮春)에 아림인(娥林人) 신사천(愼師天)은 삼가 쓴다.’라는 구절로 미루어, 이 책의 편찬 연대와 편찬자를 대략 추정할 수는 있다.

숭정기원후 경인년은 1650년이며 아림(娥林)은 거창(居昌)의 고호(古號)이기 때문에 이 책은 1650년 전후에 신사천에 의해 편찬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책의 성격이나 난필(亂筆)에 오탈자(誤脫字)도 적지 않은 점으로 미루어 볼 때, 편·저자나 연대를 확정적으로 추단할 수는 없다.

이 책에는 <위경천전 韋敬天傳>을 비롯하여 <운영전 雲英傳>·<영영전 英英傳>·<허생전 許生傳>과 같은 한문소설이 실려 있으며, <황석공소서 黃石公素書>나 <어제백행원 御製百行源>과 같은 논변류의 글도 섞여 있다.

뿐만 아니라 <부휴자담론 浮休子談論>의 일부도 실려 있고 <부고령진선생선거권유문 附古靈陳先生仙居勸諭文)>이나 <기와김공언행록서 棄窩金公言行錄序>·<효자김공정려비명 孝子金公旌閭碑銘>과 같은 서(序)와 비지(碑誌)도 수록되어 있다.

그런데 여기에 수록된 <허생전>은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의 <허생전>과는 무관한 한문소설이다. 또한 <위경천전>·<운영전>·<영영전> 등이 전기소설(傳奇小說)이라는 점에서 일견 이 책을 소설집으로도 볼 수 있으나, 그 외 잡다한 다른 글도 실려 있어 그야말로 ‘골동반’이라 해야 적당할 것이다.

특히 남녀간의 애정 문제를 다룬 <위경천전>은 문학적 성취도는 높지 않은 것으로 보이나, 전기소설사에서 일정한 위상을 점하고 있다. 16, 17세기 탄생한 전기소설로, 속류적 인생태도에 대한 투철한 저항정신으로 <주생전>이 가지지 못한 비극적 갈등을 살려내고 있어 <이생규장전>을 이은 작품 성과로 평가할 수 있다.

애정전기의 면모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으면서도 연애 주제를 표출하기 위해 정욕을 대담하게 긍정하고 있는 등 전대의 전기소설에 비해 진일보한 소설 수법을 구사하여 <이생규장전>이 제기한 주제사상을 보다 심화 발전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 작품은 작자 추정에 문제를 안고 있다. 이 책의 기록자가 <위경천전> 서두에 ‘권석주제(權石洲製)’라고 명기하여 마치 석주(石洲) 권필(權韠)의 작품인 것처럼 인식되고 있으나, 문장 구성이나 필치로 볼 때 권필의 작품으로 보기에는 의문의 여지가 없지 않다. 이 문제는 보다 정치한 검증을 요한다. 이 책은 국내의 다른 곳에서 그 이본을 확인할 수 없고, 임형택(林熒澤) 교수 소장본이 유일본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전기소설의 연애주제와 위경천전」(임형택, 『동양학』 제22집, 단국대학교동양학연구소, 1992)
「위경천전의 낭만적 비극성」(정민, 『한국학논집』 제24집, 한양대학교한국학연구소, 1994)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