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필사본. 소설집 앞머리의 “약거기개 시천계육(略擧其槪 時天啓六)”이라는 기록으로 보아, 천계 6년(1626년) 이후 17세기 전반에 편집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소설집에는 「주생전(周生傳)」·「운영전(雲英傳)」·「영영전(英英傳)」·「동선전(洞仙傳)」·「몽유달천록(夢遊㺚川錄)」·「원생몽유록(元生夢遊錄)」·「피생명몽록(皮生冥夢錄)」·「금화영회(金華靈會)」·「강로전(姜虜傳)」 등 9편의 한문 중편소설들이 수록되어 있다.
이 가운데 「동선전」은 「동선기(洞仙記)」이고, 「몽유달천록」은 윤계선(尹繼善)의 「달천몽유록(㺚川夢遊錄)」이며, 「금화영회」는 「금화사몽유록(金華寺夢遊錄)」이다. 「강로전」은 『화몽집』에서 처음 소개되었으며, 이후 우리 학계에서도 이본 발굴과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 소설집은 『신독재수택본전기집(愼獨齋手擇本傳奇集)』과 함께, 시기적으로 거의 비슷한 무렵에 출현하였다. 이 소설집들은 당시에 이미 집(集)의 형태로 묶일 수 있을 만큼 소설의 물량이 축적되었음을 보여 주는 우리 소설사상 매우 중요한 문헌이다.
또 창작 연대가 비교적 불분명했던 「동선기」·「금화사몽유록」도 『화몽집』의 필사 연대를 근거로 17세기 소설로 자리매김할 수 있게 되었다.
『화몽집』에 실려 있는 작품들은 17세기 우리나라 중편소설의 발전과정을 잘 보여준다. 이전 시기의 소설에 비해 작품의 이야기 길이가 길러졌고, 구성방식이 복잡해졌으며, 등장인물의 성격도 훨씬 다양해졌다. 즉 주제가 다양해졌을 뿐만 아니라, 인간과 생활의 묘사에서 사실주의적 경향이 강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작품의 갈래에 있어서도 전기소설(傳奇小說)의 틀을 넘어 장편소설로 발전하려는 움직임을 읽을 수 있다. 몽유록이 중편양식의 특성에 맞게 변용되었다는 점도 이 시기 소설의 특성 가운데 하나이다. 북한 김일성대학에 소장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