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완자티무르 (Timur)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 중국 원나라의 예부상서를 역임한 고려인 출신의 환관.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주요 관직
원나라 예부상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김완자티무르는 고려 후기 중국 원나라의 예부상서를 지낸 고려인 출신의 환관이다. 사신으로 여러 차례 고려에 파견되었으며, 환관이라는 지위를 이용하여 고려에서 상당한 위세를 떨쳤다. 원나라 순제(順帝)와도 매우 가까운 사이였던 것으로 보인다.

정의
고려 후기 중국 원나라의 예부상서를 역임한 고려인 출신의 환관.
가계 및 인적 사항

충혜왕 때 호종1등공신에 책록되었던 밀직부사 김석견(金石堅)의 서자이다.

주요 활동

김완자티무르〔金完子帖木兒〕는 중국 원나라에서 활동한 환관이다. 1328년(충숙왕 15) 원 문종(文宗)이 즉위하자, 그 이듬해 9월에 고려에 사신으로 파견되었다. 이때 충숙왕(忠肅王)이 병으로 황제의 조서를 직접 받을 수 없다고 하자, 그는 이를 힐책하고는 홀치〔忽赤〕 민자명(閔子明)을 보내 직접 조서를 받을 수 있도록 충숙왕을 타일렀다.

그는 순제 때 원의 예부상서(禮部尙書)에 임명되었다. 그가 환국하자 대소 신료들이 다투어 잔치를 열고자 하였다. 이때 재상 채하중(蔡河中)충혜왕(忠惠王)이 원에 압송된 이유를 묻자, 그는 충혜왕이 오로지 자신을 따르는 무리들만을 등용하여 어진 인재를 두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그는 1335년(충숙왕 복위 4) 엘 테무르〔燕鐵木兒〕의 아들 텡기스〔唐其勢〕가 반란을 일으켰을 때 바얀〔伯顔〕 및 고르기스 등과 함께 반란군에 붙잡혔다. 이는 그가 원 순제와 매우 가까운 환관이었다는 것을 잘 보여준다.

김완자티무르와 그의 집안은 고려에서 상당한 위세를 떨친 것으로 보인다. 그의 아버지 김석견은 밀직부사(密直副使)로서 조적(曹頔)의 난 때 직접 왕을 시종하여 토지와 노비를 하사받았으며, 이후 화평부원군(化平府院君)에 올랐다. 충혜왕이 원에 바칠 여종을 구하고자 관원을 보내 김석견의 노비를 탈취하려고 하였는데, 그는 아들 김완자티무르의 위세를 이용하여 오히려 왕에게 직접 노비를 바칠 수 없다고 하였다. 그러자 충혜왕은 김석견을 좋은 말로 타일렀다.

또한 1329년(충숙왕 16) 고려에 사행하였을 때 김완자티무르는 자신의 족당(族黨)에게 관직을 내려줄 것을 요구하는 등 인사문제에도 개입하였다. 이로 인해 관직을 얻지 못한 신시용(申時用)과 신정(申丁)이 노골적으로 불만을 표출하였으며, 이인길(李仁吉) 등이 비목을 마음대로 고쳐 흑책정사(黑冊政事)라는 이름을 얻었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원사(元史)』

논문

윤은숙, 「원대 중 · 후기 황권과 권신-톡 테무르와 토곤 테무르 시기를 중심으로」(『탐라문화』 60,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19)
이정신, 「원간섭기 환관의 행적」(『한국사학보』 57, 고려사학회, 2014)
권용철, 「대원제국 말기 권신 엘테무르의 쿠데타­‘케식’ 출신으로서의 정치적 명분에 대하여」(『사총』 80,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13)
김광철, 「고려 충혜왕대 측근정치의 운영과 성격」(『국사관논총』 71, 국사편찬위원회, 199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