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흥경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 무관으로 활약하였던 공민왕의 총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374(우왕 즉위년)
본관
언양(彦陽)
주요 관직
좌우위 상호군|좌승선|밀직대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김흥경은 고려 후기 무관으로 활약하였던 공민왕의 총신(寵臣)이다. 수려한 용모로 인해 공민왕의 특별한 총애를 받았으며, 자제위(子弟衛)를 총괄하게 되었는데, 홍륜 등의 공민왕 살해 음모를 알고도 고하지 않았다고 하는 상소가 받아들여져 사형에 처해졌다.

정의
고려 후기 무관으로 활약하였던 공민왕의 총신.
가계 및 인적 사항

본관은 언양(彦陽)이다. 고종, 원종대 문하시중 김취려(金就礪)의 증손자이다. 어머니는 적선옹주(積善翁主) 유씨(柳氏)이다.

주요 활동

김흥경은 공민왕 때 우달적(于達赤), 내속고적(內速古赤)에 임명되었다. 뛰어난 용모로 일찍부터 공민왕의 총애를 받았으며, 항상 침전에서 국왕을 모셨다. 이 때문에 수개월만에 삼사좌윤을 거쳐, 좌우위 상호군에 임명되었다.

김흥경은 공민왕의 총애를 바탕으로 자제위(子弟衛)를 총괄하였다. 자제위는 홍륜(洪倫) · 한안(韓安) · 권진(權瑨) · 홍관(洪寬) · 노선(盧瑄) 등 용모가 뛰어난 이들에게 공민왕을 시중들게 하고, 호위하게 하였던 기관이었다. 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가 사망한 이후 공민왕은 자제위를 동원하여 후비를 강제로 통간(通姦)하게 하였는데, 김흥경도 이에 적극 가담하였다.

김흥경은 공민왕의 총애를 믿고 관리를 함부로 구타하거나 대신을 모욕하는 등 오만방자하게 굴었다. 그에게 구타를 당한 이들로는 내시(內侍) 송양철(宋良哲), 모욕을 당한 이들로는 전법총랑(典法摠郞) 양윤발(楊允發), 판사(判事) 장해(張海), 규정(糾正) 강은(姜隱) 등이 있었다. 특히 체복사(體覆使) 이걸생(李傑生)은 왜구에 패한 하을지(河乙沚)를 가볍게 처벌하였다는 죄로 억울하게 처형을 당하였다. 세간에는 이를 두고 김흥경이 강직한 이걸생의 성격을 꺼려 죽게 한 것이라고 하였다.

또한 그는 기생 소근장(小斤莊)을 사랑하여 최인철(崔仁哲)로 하여금 항상 엿보게 하였는데, 이성림(李成林)이 몰래 소근장과 동침한 것을 알게 되었다. 이 때문에 이성림은 양광도 도순문사(楊廣道都巡問使)로 나가게 되었는데, 때마침 왜구에 참패하였다. 이에 최영(崔瑩)이 김흥경에 아부하려고 이성림을 죽이자고 하였는데, 이부제(異父弟) 염흥방(廉興邦)의 구원으로 겨우 목숨을 건졌다.

김흥경은 공민왕에게 청하여 어머니 적선옹주(積善翁主) 유씨(柳氏)를 교주도(交州道) · 강릉도(江陵道) · 양광도(楊廣道) 3도(道)의 기은사(祈恩使)로 삼게 하였으며, 이어서 진한국대부인(辰韓國大夫人)에 책봉되게 하였다.

공민왕이 홍륜에게 피살되고 우왕(禑王)이 즉위하자 우사의(右司議) 안종원(安宗源)과 문하사인(門下舍人) 김도(金濤) 등이 상소를 올려, 김흥경이 홍륜 등의 공민왕 살해 계획을 알고도 묵과하였다는 죄로 사형에 처해졌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논문

이형우, 「공민왕대 후반의 국정 운영과 주도 세력」(『한국중세사연구』 62, 한국중세사학회, 2020)
이정신, 「공민왕의 죽음과 국내외정세」(『한국사학보』 67, 고려사학회, 201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