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준승 ()

근대사
인물
3·1운동 당시 천도교를 대표하는 민족 대표로서 「3·1독립선언서」에 서명한 독립운동가.
이칭
자암(泚菴)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65년
사망 연도
1927년
본관
밀양(密陽)
출생지
전라북도 임실군
주요 경력
전라남도 장성군 천도교 대교구장
대표 상훈
건국훈장 대통령장(1962)
관련 사건
3·1운동
내용 요약

박준승은 3 · 1운동 당시 천도교를 대표하는 민족 대표로서 「3 · 1독립선언서」에 서명한 독립운동가이다. 동학 교인으로서 동학운동에 참여하고, 천도교 창건 이후 천도교 임실 교구를 이끌며 원로로 활동하였다. 1919년 3 · 1운동 당시 천도교를 대표하는 민족 대표로서 「3 · 1독립선언서」에 서명하고 체포되어 2년 간 서대문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렀다.

정의
3·1운동 당시 천도교를 대표하는 민족 대표로서 「3·1독립선언서」에 서명한 독립운동가.
인적사항

박준승(朴準承, 1865~1927)은 전라북도 임실군 출신으로, 호는 자암(泚菴)이다.

주요 활동

서당에서 한문을 수학한 후 15세 때부터 2년간 김영원에게 주1을 배웠다. 24세가 되던 1890년 4월 동학주2하였다. 1894년 동학운동에서 동학농민군으로 가담하였다. 동학운동 이후 동학 교단을 재건하는 일에 나섰다.

1904년 동학 교단에서 문명개화운동을 위해 진보회를 조직하자, 임실 지회를 결성해 활동하였다. 1906년 동학 3대 교주인 손병희천도교를 창건한 후 천도교 임실 교구를 설립하였다. 1912년에는 전라남도 장성군 천도교 대교구장에 올랐다.

1919년 2월 24일 상경하여 다음 날 손병희와 권동진을 만나 독립선언식 준비 소식을 듣고 민족 대표로서 참여하는 데 동의하였다. 3월 1일 오후 2시 태화관에 거행된 독립선언식에 29명의 민족 대표 중 한 사람으로 참석하여 「3 · 1독립선언서」에 서명하고 경찰에 체포되었다.

1920년 10월 30일 경성복심법원에서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2년 형을 선고받고 서대문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렀다. 1921년 11월 4일 만기 출옥하였다. 1925년 천도교단이 신파와 구파로 나뉠 때 구파에 가담하여 활동하다가 1927년 3월 세상을 떠났다.

상훈과 추모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주3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정인, 『천도교근대민족운동연구』(한울, 2009)
오재식, 『민족대표33인전』(동방문화사, 1959)
주석
주1

중국의 공자를 시조(始祖)로 하는 전통적인 학문. 요(堯), 순(舜)으로부터 주공(周公)에 이르는 성인(聖人)을 이상으로 하고 인(仁)과 예(禮)를 근본 개념으로 하여, 수신(修身)에서 비롯하여 치국평천하(治國平天下)에 이르는 실천을 그 중심 과제로 한다. ≪역경≫, ≪서경≫ 따위의 경전이 있다.    우리말샘

주2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기 위한 수행을 시작함.    우리말샘

주3

죽은 뒤에 관등을 올리거나 훈장 따위를 줌. 우리나라의 경우 긴급 상황에서 살신성인의 정신을 실천하다가 사망하거나 위급한 상황에서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자신을 희생하여 사회 전체의 본받을 만한 모범이 된 사람, 생전에 큰 공을 세워 국민의 존경을 받으며 덕망을 갖춘 사람에게 준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김정인(춘천교대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