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원사 ()

목차
관련 정보
양평 상원사 대웅전 정면
양평 상원사 대웅전 정면
불교
유적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용문산(龍門山)에 있는 조선후기 승려 조안선사가 중창한 사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용문산(龍門山)에 있는 조선후기 승려 조안선사가 중창한 사찰.
내용

대한불교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인 봉선사(奉先寺)의 말사이다. 창건연대는 미상이나 남아 있던 옛 유물로 추정할 때 고려시대에 창건된 것으로 보고 있다. 그 뒤 1398년(태조 7) 조안선사(祖安禪師)가 중창하였고, 무학대사(無學大師)가 왕사(王師)를 그만 둔 뒤에 잠시 머물렀다고 전한다.

1463년(세조 9) 8월 왕이 이곳에 들러 관음보살(觀音菩薩)의 현상(現相)을 친견하고 어명을 내려 크게 중수하게 하였는데, 최항(崔恒)에 의해 그 때의 모습을 기록한 「관음현상기(觀音現相記)」가 지금도 전해지고 있다. 그 뒤 이 절은 끊임없이 중수되어 면면히 이어오다가 1907년의 의병 봉기 때 왜병이 방화하여 겨우 법당(法堂)만 남게 되었다.

1918년 주지 최화송(崔華松)이 화주(化主) 차상원(車祥元)의 도움으로 대방(大房)을 재건하였고, 1934년 주지 최경언(崔璟彦)이 객실(客室)을 신축하였으나 6·25전쟁 때 용문산전투를 겪으면서 다시 회진되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전을 비롯하여 용화전(龍華殿) · 삼성각(三聖閣) · 청학당(淸鶴堂) 등이 있는데, 이들은 모두 비구니 경한(鏡漢)에 의해서 건립된 것이다.

현존하는 중요 문화유산은 없으나 원래 이 절에는 범종(梵鐘)과 석사자(石獅子) 1구, 팔각석탑등(八角石塔燈)이 있었다고 전한다. 또, 석사자와 팔각석등은 제작연대가 고려시대 중기로 추정되는 우수한 작품이었다 한다. 이 절의 위쪽에는 윤필암(潤筆庵)의 유지가 있고, 그 아래 미륵불을 모신 불당(佛堂)이 있다.

참고문헌

『명산고찰(名山古刹) 따라』(이고운·박설산, 신문출판사, 1987)
『한국사찰전서(韓國寺刹全書)』(권상로 편, 동국대학교출판부, 1979)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