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방열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 판사천국사 · 판태사국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271년(원종 12)
주요 관직
판사천국사, 판태사국사
관련 사건
삼랑성 가궐 수축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안방열은 고려 후기에 판사천국사, 판태사국사 등을 역임한 문신이다. 고려 후기 천문과 지리, 점과 관련한 직책을 주로 맡았던 관료이다. 백승현이 삼랑성에 임시 궁궐을 짓는 것의 가부를 결정짓는 일에 동원되었으며, 개경 환도 시에도 점을 쳤다. 결국 삼별초를 따라 진도로 가서 참언으로 도와주다가 정부군에 의해 살해되었다.

정의
고려 후기, 판사천국사 · 판태사국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가계 및 인적사항

안방열의 가계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알려진 바가 없다.

주요 활동

1255년(고종 42) 판사천국사(判司天局事)로서 몽골군에게 파괴 당한 지릉(智陵)을 수축하였다. 1259년(고종 46) 술사(術士) 백승현(白勝賢)강화 삼랑성(江華三郎城)주1을 지으면 주2을 연장할 수 있다고 말하였다. 왕이 교서랑(校書郎) 경유(景瑜) 등과 함께 그 이로움과 해로움을 논하게 하였으나 그 주장을 꺾을 수 없었다. 이에 검증에 같이 동원된 경유 등이 “백승현의 말은 믿을 수는 없으나 한번 시험해 보는 것도 좋겠습니다.”라고 하여 삼랑성에 가궐을 짓도록 결정하였다.

1270년(원종 11) 왕이 강화에서 개경(開京)으로 주3 할 때 판태사국사(判太史局事)의 지위로 봉은사(奉恩寺)에 있는 태조(太祖) 주4에 환도에 대한 길흉을 점쳤다. 그 결과 ‘반은 살고 반은 죽는다.’라는 점괘를 얻는다. 안방열은 이 점괘를 개성으로 가는 자는 죽고 삼별초(三別抄)를 따라 바다로 들어가는 자는 산다고 해석하였다. 그 결과 반란을 일으킨 삼별초를 따라 진도(珍島)로 남하하였다.

이때 또 “용(龍)의 자손은 12대에서 끝나서 남쪽으로 향해 가서 도읍을 건설한다[龍孫十二盡向南作帝京]라는 참언(讖言)이 여기에서 증험되었다.”라고 하면서 드디어 주5가 되었다. 1271년(원종 12) 행영중군병마원수(行營中軍兵馬元帥) 김방경(金方慶)과 몽골군에 의해 진도가 함락되면서 김방경을 만나려 시도하다가 정부군에게 살해 당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단행본

윤용혁, 『고려 삼별초의 대몽항쟁』 (일지사, 2000)
주석
주1

임시로 지은 궁궐. 우리말샘

주2

임금이 나라를 다스리는 대업. 또는 그런 업적. 우리말샘

주4

임금의 화상(畫像)이나 사진. 우리말샘

주5

일을 주장하여 꾀하는 사람. 우리말샘

주3

전쟁 따위의 국난으로 인하여 정부가 한때 수도를 버리고 다른 곳으로 옮겼다가 다시 옛 수도로 돌아오다.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