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에는 국가적인 행사를 치를 때 이를 효율적으로 집행할 수 있도록 임시행정기구를 설치하였는데, 이 가운데 대표적인 기구가 도감(都監)이다. 도감은 고려시대부터 설치되었으며 조선시대로 계승되었다.
건설공사와 관련되어 설치된 경우는 고려시대에는 주로 창고 · 행랑 · 궁궐, 조선시대에는 주로 산릉(山陵) · 영건(營建) 등의 분야였다. 또 공사의 내용에 따라 설치된 도감도 다양하여 조선시대에는 조성 · 수축 · 수리 · 수개(修改) · 개수 · 증수(增修) · 중수(重修) · 중건 · 증건(增建) · 개건(改建) · 선수(繕修) · 영건 등의 이름이 붙여진 도감이 설치되었다.
한편, 공사의 규모가 작을 때에는 영건청(營建廳) · 중건청(重建廳) 등의 기구를 도감 대신 설치하였고, 때에 따라서는 주무관청인 선공감(繕工監)이나 호조 · 공조 등에서 직접 맡아서 공사를 진행하였다. 공사를 집행한 기구의 이름이 다양한 만큼 의궤의 명칭도 여러 가지이므로 영건도감에 의하여 집행된 공사를 정리, 기록한 책만을 『영건도감의궤』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넓은 의미에서 ‘영건’이라는 말은 조영(造營), 영조(營造) 등의 용어와 마찬가지로 건축과 관련된 공사를 대표하는 용어이므로, 건축 관련 공사보고서는 도감이나 청의 설치여부에 관계없이 모두 『영건의궤(營建儀軌)』 또는 『영건도감의궤』에 포함시킬 수 있다.
공사가 완료되면 곧 일정 장소에 의궤도감을 설치하고 여기에서 등록(謄錄)과 여러 문서들을 정리, 편집하여 의궤를 만든다. 이 때 어람용(御覽用) 1부를 비롯, 여러 부를 작성하여 사고(史庫) 및 관련 관청에 나누어 보관한다. 의궤의 내용은 대개 좌목(座目) · 시일(時日) · 도형(圖形) · 승부(承傅) · 이문(移文) · 내관(來關) · 품목(稟目) · 감결(甘結) · 실입(實入) · 상전(賞典) · 공장(工匠) · 의궤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영건 관련 의궤들은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파리국립도서관 등에 보관되어 있는데, 이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은 1633년(인조 11)에 편찬된 『창경궁수리도감의궤』이며, 최근의 것은 『경운궁중건도감의궤』(1906)이다. 조선시대에는 태조 이래 경성수축도감(京城修築都監) · 궁궐조성도감 · 문묘조성도감 등 국가적인 공사가 있을 때마다 여러 도감이 설치되었으나, 여기에서 의궤를 편찬하였는지는 알 수 없다.
또, 조선 후기에도 많은 영건 관계 의궤가 편찬되어 지금까지 전하지 있으나 광해군 때 벌어진 창경궁 · 창덕궁의 중건 및 경희궁(慶熙宮) · 인경궁(仁慶宮)의 창건에 대한 의궤는 전하지 않고 있으며, 조선 후기 최대의 건축공사인 경복궁의 중건에 대한 의궤 또한 전하여지지 않는다.
『영건도감의궤』는 건축사연구를 위한 1차사료임은 물론, 당시의 정치 · 경제 · 사회를 연구하는 데에도 기초적인 사료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