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격신 ()

목차
관련 정보
국사당 무신도 중 최영장군
국사당 무신도 중 최영장군
민간신앙
개념
초인간적 존재이면서도 인간의 의식이나 형태를 가지는 신(神).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초인간적 존재이면서도 인간의 의식이나 형태를 가지는 신(神).
내용

역사적인 실존인물이 신격화되어 신으로 간주되거나 자연사물이 의인화되어 신으로 간주되는 것이 있을 수 있는데, 후자를 의인신이라고 하기도 한다. 살아 있는 동안 신격화되는 경우는 특수한 경우이고, 대체로 인격신은 죽은 뒤에 신격화된다.

우리나라에서 오래된 인격신은 천신으로 관념화되어 있는 상고대의 건국시조들이다. 신라의 신조인 박혁거세(朴赫居世)는 죽은 뒤 묘(廟)에 모셔져서 남해왕의 누이인 아로(阿老)가 제주(祭主)가 될 정도로 숭앙을 받았거니와, 지증왕 때에 이르러서는 시조 강탄(降誕)의 자리에 신궁(神宮)을 지어 제사를 드렸다.

고구려에는 신묘가 둘이 있었는데, 한쪽은 부여신이라는 여신상을 모시고 다른 한쪽은 고등신(高登神)이라는 이름의 남신상을 모시고 있었다. 그런데 이 두 남녀의 신상은 동명왕과 그 어머니인 유화(柳花)였던 것이다. 또한, 탈해왕은 죽은 뒤에 그 시체의 뼈를 빚어서 만든 신상으로 모셔져 토함산신으로 숭앙을 받았다.

박혁거세 · 동명왕 그리고 탈해왕은 한결같이 신화적 인물이다. 이들이 죽은 뒤에 신으로 모셔진 배후에는 그들의 신화가 작용하였으며, 대체로 조상령(祖上靈)으로서 신봉되었다. 왕조의 창건시조 및 조상들을 신격화한 사례는 고려왕조에 이어졌고 그 자취는 조선왕조에도 존재하였다.

상고대의 시조들이 역사와 신화가 만난 자리에서 신격화가 이루어졌다면 고려왕조의 시조들은 역사가 신화에 기대어 신격화된 것이다. 상고대 창건시조에서 볼 수 있는 인격신이라는 관념은 넓게는 민속신앙의 성격을 띠고 있고 좁게는 무속신앙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신라 박제상(朴堤上)의 아내가 죽은 뒤에 치술령신모(鵄述嶺神母)가 되었다고 할 때, 사령(死靈)이 산신 또는 산신령으로 믿어진 점은 탈해왕의 경우와 비슷하다. 한편, 무속신앙에서는 천지 · 일월성신 등 자연신을 모시고 있을 뿐만 아니라, 수많은 인격신 특히 사령신도 모시고 있었다.

무속신앙에서의 사령신은 원령신(寃靈神)의 성격이 강한데, 전쟁터에서 죽은 무명병사의 사령신으로부터 위로는 공민왕이나 단종, 사도세자(思悼世子)의 사령신에 이르기까지 계층별로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다. 최영(崔瑩) 장군 · 임경업(林慶業) 장군 이외에 일찍 죽은 과부나 처녀 · 총각의 사령도 이들에 포함된다.

원령이 아닌데도 인격신이 숭앙된 신앙은 최근까지 남아 있는데, 증산교(甑山敎)의 교조인 강일순(姜一淳)은 죽은 뒤에 미륵신으로 신격화되어 증산교 교도들에 의하여 내세의 구원자로 숭앙을 받고 있는 것이 그 예이다.

참고문헌

「종교와 한국의 민속신앙」(송계정,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연구』 11, 1973)
「고구려의 민족과 신앙」(김태곤, 『한국사상총서』 1, 1973)
「한국인의 토착신앙」(김태곤, 『월간중앙』, 1974.1.)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