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여의동 유적 ( )

선사문화
유적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움무덤. 토광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움무덤. 토광묘.
개설

1985년에 주민이 식목하기 위해 구덩이를 파던 중 움무덤의 뚜껑돌[蓋石]이 드러나면서 알려졌고 이에 대한 수습과 함께 1988년 전주대학교박물관에 의해 추가 조사되었다. 이 유적에서 집자리[住居址] 1기, 돌뚜껑움무덤[石蓋土壙墓] 3기, 유물포함층이 발굴되었다. 그 밖에 백제시대의 돌방무덤도 일부 확인되었다.

내용

움무덤은 모두 3기가 조사되었다. 1호는 해발 50.1m의 구릉 정상부에 위치하고 있다. 매장주체부(埋葬主體部)는 2단의 움을 파고 축조하였는데, 길이 295㎝, 너비 255㎝의 말각장방형 움을 파 내려간 다음 이와는 대각선이 되도록 다시 동서방향으로 길이 287㎝, 너비 115㎝의 내광을 약 40㎝까지 굴착하여 무덤구덩을 설치하였다. 무덤방[墓室]은 길이 218㎝, 너비 47㎝, 깊이 40㎝의 크기이고 말각장방형을 띤다. 덮개돌[蓋石]은 외광의 윤곽에 맞추어 내광을 덮고 있는데, 모두 2매로 구성되어 있다.

신고된 유물은 여러꼭지거친무늬거울[多瞿粗文鏡] 2점, 청동도끼[銅斧] 1점, 청동끌[銅鑿] 1점이며, 추가 조사시에 검은간토기[黑色磨硏土器] 1점이 출토되었다. 여러꼭지거울 1점은 전체길이 15.3㎝로 주연(周緣)은 다소 정연하지 않은 반원형 단면을 이룬다. 문양은 2구(二區)로 나누어 장식하였다. 외구(外區)는 폭 1.5㎝의 방사상거치문대(放射狀鋸齒文帶)를 두르고, 내구(內區)는 3조의 종선(縱線)으로 5열 종구(縱區)로 나누고 각각 톱니무늬[鋸齒文]를 새겼는데, 내외구 각각 삼각톱니무늬를 기본단위로 한다. 다른 거울 1점은 보다 소형으로 지름 13.2㎝이며, 주연부는 사다리꼴 단면을 이룬다. 문양은 이른바 별모양무늬거울[星形文鏡]로 중심에 5각형 내구를 설정하고, 외구에는 각변을 따라서 삼각형을 방사상으로 그려 별모양을 만들었다. 그리고 외구와 내구 사이를 평행집선문으로 메웠다. 청동도끼는 흑색 광택이 뚜렷한 소형 부채모양도끼[扇形銅斧]로 길이가 5.8㎝ 정도이며 자루구멍부분[柄部]은 2조의 돌대를 두르고, 한쪽 면 한가운데에 구멍이 있다. 환부는 부채모양으로 외반을 이룬다. 청동끌은 세장형으로 자루구멍부분에 2중 돌대가 있고 날 끝 부분이 결실되었으며 근부(根部)에 공구(尻口)가 뚫려 있다. 현재길이는 6.8㎝이다.

2호는 1호에서 서북쪽으로 42m 떨어진 능선상에 위치한다. 표토층에서 70㎝ 정도의 아래에서 자연판돌[自然板石]5매를 이용한 뚜껑돌이 노출되었다. 장축이 서남 240˚ 방향이며 동서 양측의 단벽을 둥글게 굴착하였다. 바닥면의 크기는 길이 170㎝, 너비 840㎝, 높이 60㎝이다. 현 지면으로부터의 바닥까지의 깊이는 95㎝이며, 무덤구덩 바닥면의 폭은 70㎝로 넓게 조성되었다. 바닥에는 민무늬토기편을 깔았으며 내부에서 간돌검[磨製石劍]1점이 출토되었다.

3호는 2호에서 북쪽으로 4m의 간격을 두고 위치한다. 상부가 대부분 유실되었으며 무덤구덩은 생토층을 굴착하고 조성되어 있는데, 장축 서남 230° 방향이며 크기는 길이 173㎝, 너비 60㎝, 깊이 20㎝이다. 바닥에는 편평한 잡석을 깔았다. 유물은 출토되지 않았다. 이들 움무덤 중 1호와 2호는 이단돌뚜껑움무덤[二段石蓋土壙墓], 3호는 일단돌뚜껑움무덤으로 구분하여 부르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유물포함층에서는 붉은간토기[丹塗磨硏土器]와 민무늬토기가 다량 출토되었으며, 간돌검, 돌화살촉[石鏃], 대팻날도끼[扁平偏刃石斧], 돌끌[石鑿], 삼각형돌칼[三角形石刀]등 송국리형문화와 밀접한 다양한 석기류가 출토되었다. 또한 다양한 뗀석기[打製石器]가 다수 확인되었는데, 주로 밭농사 연모의 조합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가래모양 석기(石嵩形石器) 3점, 갈판[碾石] 3점, 갈돌[耉石棒] 1점, 긁개[搔器] 4점, 숫돌[砥石] 2점 등이다.

집자리는 1호 움무덤에서 동북쪽으로 200m 떨어진 지점인 해발 50.1m의 동남향한 대지상에서 확인되었다. 평면 타원형이며 크기는 길이 680㎝, 너비 637㎝, 깊이 26㎝이다. 내부 중앙에 타원형구덩이[娥圓形竪穴]와 그 바깥쪽에 4개의 기둥구멍[柱穴]이 거의 정방형으로 배치된 송국리형(松菊里型)이다. 동남벽 벽선에서 약 60㎝ 안으로 작은 4개의 기둥구멍이 확인되었고, 일부 벽면에는 길이가 약 300㎝에 이르는 벽도랑[壁溝]이 있다. 바닥은 불다짐처리 하였다. 유물은 민무늬토기[無文土器]편과 갈판[碾石] 1점, 자귀[手斧] 1점 등이 출토되었다.

의의와 평가

움무덤은 구조나 유물의 성격에 있어서 대전 괴정동 유적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 첫째, 움무덤을 비교해 보면 지표 하에 먼저 타원형 움을 파고 다시 장방형 무덤구덩을 설치한 점, 무덤구덩 벽면에 깬돌[割石]을 축석하지 않고 때려붙이는 이른바 ‘장착(張着)’수법을 쓴 점, 그리고 규모가 비슷한 점 등 여러 측면에서 유사한 성격을 띠고 있다. 둘째로 주목되는 유물은 검은간토기이다. 이 토기는 괴정동 뿐만 아니라 청원 비하리, 아산 남성리, 부여 구봉리 등에서 출토된 바 있다. 셋째, 두 유적이 모두 거친무늬거울의 범주에 속하는 여러꼭지거울 2면씩이 공반하고 있는 점도 동일한데, 등면 문양에 있어서도 같은 계열에 속한다. 마지막으로 소형 부채모양동도끼와 청동끌은 괴정동에서는 볼 수 없었으나 아산 남성리, 예산 동서리, 부여 구봉리 등에서 같은 형태의 청동도끼가 나왔고, 청동끌도 부여 구봉리, 대전 탄방동 등 금강유역권에서 볼 수 있는 유형이다. 이와 달리 2호에서는 부여 송국리 유적의 돌널무덤[石棺墓]에서 출토된 간돌검과 민무늬토기를 포함하고 있어 동일지역에서 서로 대조적인 성격을 보이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고고학사전』(이민석, 국립문화재연구소, 2002)
『전주 여의동 유적』(전북대학교박물관, 1992)
『전주여의동선사유적발굴조사보고서』(전영래, 전주대학교박물관, 199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