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운해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조선노농총동맹과 조선공산당에서 활동한 사회주의운동가이자 노동운동가.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93년(고종 30)
사망 연도
1945년
출생지
대구
주요 경력
건국동맹 경북지부 책임자|경북 관선 도(道) 고문
대표 상훈
건국훈장 애국장(2005)
내용 요약

정운해는 일제강점기 사회주의운동가이자 노동운동가이다. 조선노동공제회 내에 ‘마르크스주의 크루조크’를 결성하였고, 남선노농동맹과 조선노농총동맹 등에서 노농운동을 전개하였다. 북풍파로, 조선공산당 중앙집행위원이자 노농부 책임자로 활동하였다. 건국동맹 경북지부 책임자와 건국준비위원회 경북지부에서 활동하였다.

정의
일제강점기 조선노농총동맹과 조선공산당에서 활동한 사회주의운동가이자 노동운동가.
인적 사항

정운해(鄭雲海)는 1893년(고종 30) 대구 출생으로, 1913년 대구 협성학교를 졸업하였다.

주요 활동

한일 강제 병합 후 해외로 망명하여 주1와 만주에서 독립운동 단체에 참여하였다가 1920년 3월 귀국하였다. 그해 5월 김약수(金若水) · 정태신(鄭泰信) 등과 함께 마르크스주의를 연구, 선전할 목적으로 조선노동공제회 내에 ‘마르크스주의 주2(kruzhok)’를 결성하였다. 조선노동공제회의 평의원으로 같은 해 6월 조선노동공제회 대구지회 결성을 주도하였다. 1922년 대구지회 정기총회에서 총간사로 선출되었다. 1923년 2월 대구노동공제회 집행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24년 1월 진주에서 개최된 경남노농운동자간친회(慶南勞農運動者懇親會)를 주도하였으며, 3월에는 남선노농동맹(南鮮勞農同盟)의 결성을 주도하고 중앙집행위원이 되었다. 같은 해 4월 결성된 조선노농총동맹(朝鮮勞農總同盟) 창립대회에서 전형위원과 기초위원, 중앙집행위원으로 선출되는 등 노농운동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11월에는 재일(在日) 사회주의사상 단체인 북성회(北星會) 서울 본부로 북풍회(北風會)가 결성되자 집행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25년 2월 화요회와 북풍회가 주도한 전조선민중운동자대회(全朝鮮民衆運動者大會)의 준비위원으로 선출되었다. 그해 4월 17일 조선공산당 창당대회에 대구 지역 대표로 참석하여 중앙집행위원으로 선임되었고, 노농부를 담당하였다. 11월에는 북풍파의 종파 행위에 가담했다는 이유로 조선공산당으로부터 주3 처분을 받았다. 12월 제1차 조선공산당 검거사건을 피해 일본으로 건너간 후 조선공산당 일본연락부에서 활동하였다. 1926년 7월 일본 경찰에 검거되어 1928년 2월 경성지방법원에서 징역 3년 형을 선고받았다. 출옥 후 대구에서 신탄사업을 하였다.

1944년 건국동맹 경북지부 책임자로 활동하였다. 8 · 15광복 후 건국준비위원회 경북지부 결성에 참여하였으며, 그해 10월에는 경북 관선 도(道) 고문으로 활동하였다.

상훈과 추모

2005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전명혁, 『1920년대 한국사회주의운동연구』(선인, 2006)
임경석, 『한국사회주의의 기원』(역사비평사, 2003)
강만길·성대경 편, 『한국사회주의운동인명사전』(창작과비평사, 1996)
주석
주1

러시아의 동남쪽 끝에 있는 지방. 우리나라 동해에 접하여 있으며 두만강을 사이로 우리나라와 국경을 이루고 있다. 아연ㆍ석탄 따위의 지하자원이 많고 나무를 가공하는 산업이 발달하였다. 중심 도시는 블라디보스토크이다. 면적은 16만 5900㎢.    우리말샘

주2

같은 목적으로 조직되는 작은 집단이나 조직.    우리말샘

주3

권한 정지

집필자
박종린(한남대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