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왕연대력 ()

고대사
문헌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학자 최치원이 저술한 역사서. 연표.
내용 요약

제왕연대력은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학자 최치원이 저술한 연표적 성격의 역사서이다. 이 책은 남아 있지 않고 일부 내용이 『삼국사기』에 인용되어 있다. 신라의 연대기를 정리·편찬한 것으로 추정되며, 거서간·차차웅·이사금·마립간 등 신라 고유의 왕호를 모두 왕이라 호칭했다고 한다. 신라 고유의 왕호들을 뭉뚱그려 왕이라 지칭한 것은 최치원이 중국적 가치관과 역사개념으로 신라의 역사를 해석한 결과로 보기도 한다. 고려시대 『삼국유사』 왕력과 이승휴가 지은 『제왕운기』에 영향을 주었다.

정의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학자 최치원이 저술한 역사서. 연표.
개설

통일신라시대 말 당나라 유학을 다녀 온 최치원이 당에서 배운 역사지식을 가지고 신라의 역사를 자기 나름대로 해석하여 편찬한 역사서이다. 『제왕연대력』이란 책 제목으로 보아 연표적 성격이 짙을 것으로 생각된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책 이름이 전할 뿐이다. 일부 내용이 『삼국사기』에 인용되어 있다. 고려시대 『삼국유사(三國遺事)』 왕력과 『제왕운기(帝王韻紀)』에 영향을 주었다.

편찬/발간 경위

신라 말의 최치원은 국왕 중심의 개혁 정치에 밀착해 보려는 육두품 출신이었다. 오랜 기간 중국에 있다가 귀국한 그의 사상적 경향은 신라의 전통을 고수하기 보다는 오히려 중국 문화의 절대적인 우위를 인정하는 입장이었다고 할 수 있다. 최치원은 889년(진성여왕 3)에 터진 전국적인 농민반란이 수습될 기미가 보이지 않자 관직을 버리고 해인사로 숨어 들어가 각지를 돌아다녔는데, 그가 역사를 쓴 것도 바로 이 시절이었다고 짐작된다.

서지적 사항

『제왕연대력』이란 책이름으로 보아 신라의 연대기를 정리 · 편찬한 것으로 보기도 한다.

내용

최치원의 저서에는 『계원필경』을 비록하여 시문집이 몇 종류 더 있어 고려초에 문집 30권으로 집대성되었는데, 오늘날 『계원필경집』과 4개의 승려 · 사찰 비문을 제외하고는 모두 전해지지 않는다. 최치원이 지은 역사서인 『제왕연대력』 역시 남아 있지 않다. 그러나 이 책은 『삼국사기』 편찬 당시에는 세상에 전해져서 김부식도 신라본기 지증마립간 원년(500) 조에서 이 책의 일부 내용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언급하기도 했다. "논왈, 신라왕으로서 거서간이라 칭한 이가 한 사람, 차차웅이라 칭한 이가 한 사람, 이사금이라 칭한 이가 열여섯 사람, 마립간이라 칭한 이가 네 사람이었다. 신라말의 이름난 유학자 최치원이 지은 『제왕연대력』에서는 모두를 아무 왕이라 칭하고 거서간 등의 칭호는 쓰지 않았다. 이는 혹시 그 말이 촌스러워 칭할 만한 것이 못된다고 여겨서일까? 『좌전』과 『한서』는 중국의 역사책인데도 오히려 초나라 말인 곡오도, 흉노 말인 탱리고도 등을 그대로 남겨두었다. 따라서 지금 신라의 사실을 기록함에 그 방언을 그대로 쓰는 것이 또한 마땅하다".

김부식의 불평에 의하면 최치원은 『제왕연대력』에서 왕이란 칭호가 생기기 이전의 거서간 · 차차웅 · 이사금 · 마립간 등 신라 고유의 왕호를 한결같이 왕이라 호칭했다는 것이다. 이것이 현재 우리가 이 책의 내용에 대해서 알고 있는 지식의 전부이다.

최치원이 신라 고유의 왕호들을 뭉뚱그려 왕이라 지칭한 것은 그가 중국적인 지식을 갖고, 즉 당에서 배운 새로운 개념을 갖고서 신라의 역사를 자기 나름대로 해석한 결과로 보기도 한다. 김대문의 저술이 전통문화에 기반을 두었다면 최치원은 동시대 신라인 누구보다도 중국을 잘 이해했기 때문에 중국적 가치관과 역사개념을 보편적인 것으로 생각하여 이에 집착했다고 보기도 한다.

한편 당나라 승려 영실이 지은 책의 이름과 똑같은 『제왕연대력』은 어쩌면 연표류가 아닐까 생각된다. 종전부터 있어왔던 신라의 연대기를 정리 · 편찬한 것으로 우리나라 고유한 것에 바탕을 둔 연대사가의 계통이라는 것이다. 책이름에 '제왕'이 붙어 있는데 아마도 이는 중국의 제와 신라의 왕을 함께 가리키는 것으로 훗날 『삼국유사』 왕력편이나 이승휴가 지은 『제왕운기』와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다고도 한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역주삼국사기』(정구복 외,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2)
『우리 역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이기백 외, 삼성문화문고, 1976)
「고대의 역사인식」(이기동, 『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상)』, 창작과비평사, 1994)
집필자
조경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