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환록 ()

조선시대사
문헌
조선후기 문신 박영원이 후손들에게 처세술과 생활의 지혜를 전해주기 위하여 저술한 교훈서. 잡록집.
정의
조선후기 문신 박영원이 후손들에게 처세술과 생활의 지혜를 전해주기 위하여 저술한 교훈서. 잡록집.
서지적 사항

불분권 1책. 필사본.

저자는 1813년(순조 13)에 진사가 되었고 1816년 식년문과에 합격하였다. 이후 순조, 헌종, 철종의 3조에 걸쳐 벼슬살이를 하였다. 문과에 합격한 직후 승정원의 가주서(假注書)에 보임되었다.

이후 승지나 한림 등 왕의 시종관직에 오래도록 근무하면서 국왕의 측근으로 활약했다. 철종 2년(1851)에는 우의정에 올라 정승의 반열에 참여했고 동왕 3년에 좌의정이 되었다가 같은 해 4월 26일에 사직했다. 좌의정에서 사직한 2년 후인 철종 5년(1854)에 사망하였다.

이 책은 저자가 사망하던 해인 1854년에 지나간 관직생활을 회상하면서 썼으며 만필(漫筆), 만록(漫錄) 1, 만록 2로 구성되었다. 서문과 발문 및 목차가 없어서 집필 동기나 집필 일자를 정확하게 알 수는 없다.

그러나 책의 내용을 통해 보면 저자가 후손들에게 관직 생활, 가정생활 등에 필요한 처세술과 훈계 등을 알려주고 자신의 관직 생활을 정리하고자 한 의도에서 집필했음을 알 수 있다.

내용

만필은 일을 처리하는 요령, 세상사에 임하는 마음가짐과 처세법을 위시해 점복과 사치를 경계하는 등의 훈계 내용이 주이다.

이외에 불길한 사람을 판별하는 관상법, 음식과 여색을 경계하는 훈계문, 임신에 관련해 조심해야 할 점 및 노복들을 다스리는 법 등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요컨대 만필은 저자가 자신의 삶에서 몸으로 터득한 처세술과 생활 지혜를 후손들에게 전해 주는 내용이다.

만록은 저자의 과거응시부터 시작해 철종 3년 좌의정으로 치사할 때까지의 사실을 편년체 형식으로 서술한 것이다. 16세에 아버지를 따라 증광감시에 응시한 것을 필두로 저자가 문과시험에 최종합격하기까지의 기나긴 과정이 자세하게 서술되어 19세기 당시의 과거제 실정을 잘 보여준다.

저자는 순조의 치세와 익종의 대리청정기에 승지나 한림 등의 시종직을 장기간 역임하였다. 이에 따라 저자는 순조에 대해 남다른 애모의 정을 나타내고 있으며 만록 중간 중간에 저자와 순조 사이에 얽힌 일화를 소개하고 있다.

이 밖에 만록에는 저자가 함경도, 전라도, 강화도 등에서 외직을 역임할 때 이룩한 치적들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종환록은 19세기에 성공적인 관료생활을 보낸 한 벼슬아치의 처세술과 삶의 지혜를 보여준다. 여기에 덧붙여 당시의 과거제와 관료제 등에 대한 실상을 보여주는 자료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종환록(從宦錄)』
『순조실록(純祖實錄)』
『헌종실록(憲宗實錄)』
『철종실록(哲宗實錄)』
『경산집(經山集)』
집필자
신명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