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물군자탕 ()

목차
관련 정보
의약학
개념
소음인의 울광이나 망양증의 말기 증세에 사용하는 처방.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소음인의 울광이나 망양증의 말기 증세에 사용하는 처방.
내용

1894년 이제마(李濟馬)가 지은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에 이 처방에 관한 내용이 있다. 울광이나 망양증은 소음인이 갖는 체질적 특성 때문에 표음(表陰)이 상승하지 못하고 울체(鬱滯)되어 신양곤열(腎陽困熱)로 인해 기운이 원활하게 소통되지 못하여 형성된 병증이다. 이러한 병 등이 오래되면 양명경병(陽明經病)의 위가실증(胃家實症)이나 비약증(脾約症)과 같이 영위(營衛)가 모두 허약해져 진액(津液)이 고갈된 상태가 되는데, 이 처방은 이 시기에 사용되어 회양생진(回陽生津)하고 승양익기(升陽益氣)시키는 작용을 하여 병증을 치료하는 약이다.

이 처방은 이러한 증세 이외에도 아주 폭넓게 응용되는 처방이다. 처방의 구성은 인삼 7.5g, 황기(黃芪) · 백출(白朮) · 백작약(白芍藥) · 당귀(當歸) · 천궁(川芎) · 진피(陳皮) · 감초(甘草) 각 3.75g, 생강 3쪽, 대추 2개로 되어 있다. 이 처방의 적응증으로는 소음인의 중풍(中風) · 탄탄(癱瘓) · 울광증 · 양명위가실증 · 주상(酒傷) · 허로(虛勞) · 상소(上消) · 하소(下消) · 단기(短氣) · 경계(驚悸) · 건망(健忘) · 교장(交腸) · 두통(頭痛) · 안병(眼病) · 이병(耳病) · 이농(耳聾) · 이명(耳鳴) · 정농(聤膿) · 비창(鼻瘡) · 유옹(乳癰) · 월경불순(月經不順) · 최산(催産) · 자현(子懸) · 산후허로(産後虛勞) · 감질(疳疾) · 구흉(龜胸) · 신전(䪿塡) 등 매우 광범위하다.

이 처방은 사물탕(四物湯)사군자탕(四君子湯)을 합한 처방으로, 사물탕은 일체의 혈병(血病)에 응용하는 약이고 사군자탕은 일체의 기병(氣病)에 응용하는 약이어서, 모든 기혈(氣血)의 부조화에서 오는 병증에 사용하여 인체내 생명력의 균형을 유지시켜줄 수있는 좋은 약이다. 군약(君藥)을 이루는 인삼은 폐의 원기를 도와주며 부족한 양기를 살아나게 하는 약이며, 백출은 보비조습(補脾燥濕)하는 약이고, 당귀는 화혈활혈(和血活血)하는 작용이 있으며, 천궁은 승양개울(升陽開鬱)시키는 약이다. 이러한 약들이 주를 이루면서 같이 작용하여 폭넓은 치료효과를 갖게 된다. 사물탕과 사군자탕을 합하면서 숙지황(熟地黃)과 복령(茯苓)을 뺀 것은 이 두 약물이 체질적인 특징을 감안할 때 소음인보다는 소양인(少陽人) 체질에 적당한 약물이기 때문이다.

이 처방에서 인삼을 빼고 백하수오(白何首烏)로 바꾸면 소음인이 목이 쉬고 얼굴이 찬 증세에 먹는 백하오군자탕(白何烏君子湯)이 되고, 또 인삼 · 황기를 각 3.75g으로 하고 백하수오 · 관계(官桂)를 각 3.75g 가하면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이 되며, 본방에 인삼 3.75g, 황기 3.75g을 첨가하면 독삼팔물탕(獨蔘八物湯)이 된다.

참고문헌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
『동의수세보원주석(東醫壽世保元註釋)』(한동석, 성리회출판사, 1967)
『사상의학원론(四象醫學原論)』(홍순용·이을호, 행림출판, 197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