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인애국단 ()

목차
관련 정보
근대사
단체
1931년 중국 상하이에서 조직된 독립운동단체.
단체
설립 시기
1931년
설립자
김구
설립지
중국 상하이
상위 단체
대한민국임시정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한인애국단(韓人愛國團)은 1931년 중국 상하이에서 조직된 독립운동단체이다. 대한민국임시정부는 대외적, 대내적인 혼란을 타개하고자 특무활동을 위한 기구로 한인애국단을 조직하였다. 이봉창과 윤봉길의 의거를 계획하고 실행하였다.

목차
정의
1931년 중국 상하이에서 조직된 독립운동단체.
변천 및 현황

대한민국임시정부는 1923년 국민대표회의(國民代表會議)의 결렬과 1925년 이승만(李承晩) 탄핵, 유일당운동(唯一黨運動)의 결렬로 내부적으로 혼란하였다. 또한, 1931년 만보산사건(萬寶山事件)은 중국인들의 반한 감정을 고조시키며 임시정부의 상황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고, 동년 9월 만주사변(滿洲事變)을 계기로 일제는 대륙 침략을 본격화하기 시작하였다.

이를 배경으로 임시정부는 특무활동을 통해 일제 침략세력을 응징하여 침체된 상황을 타개하고자 하였다. 임시정부 소속기관으로 특무대(特務隊)를 두고 책임자로 김구(金九)를 선임하였다. 재정 수입의 반액을 특무대 활동에 지원하며, 구체적인 특무 계획에 관한 사항은 김구에게 일임하였고, 거사 직전 사전에 보고하도록 하였다.

1931년 12월 13일 이봉창(李奉昌)의 선서식을 계기로 특무대의 명칭으로 한인애국단이 사용되었다.

간부는 단장인 김구를 비롯해 이유필(李裕弼), 이수봉(李秀峰), 김석(金皙), 안공근(安恭根) 등이며, 단원은 이봉창, 윤봉길(尹奉吉), 이덕주(李德柱), 유진만(兪鎭萬), 최흥식(崔興植), 유상근(柳相根) 등이었다. 평시 일정한 수의 단원이 편제된 것이 아니라, 특무활동 직전에 단원으로 가입하여 선서의 절차를 거쳐 거사에 착수하게 하였다.

1931년 말 일본 천황 암살을 계획하여 폭탄과 자금을 준비하고 이봉창을 도쿄[東京]로 밀파하였다. 1932년 1월 8일 이봉창은 경시청(警視廳) 정문 앞을 통과하는 일본 천황의 마차 행렬을 향해 폭탄을 던지고 체포되어 사형에 처해졌다.

그 후 4월 29일 윤봉길이 상하이[上海] 훙커우[虹口]공원에서 거행된 천장절(天長節) 축하장(祝賀場)에 폭탄을 던져 시라카와[白川義則] 군사령관, 우에다[植田謙吉] 육군대장, 노무라[野村吉三郎] 해군중장, 시게미쓰[重光葵] 공사 등 7명을 살상하고 체포되어 사형에 처해졌다.

윤봉길 의거 이후 중국 국민당 정부의 지원으로 중국 육군군관학교 낙양분교(洛陽分校) 내에 '한인특별반'이 설치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조동걸, 『한국사』 21 (국사편찬위원회, 1978)

논문

한시준, 「백범 김구와 한인애국단」(『백범과 민족운동연구』 10, 백범학술원, 2013)
한시준, 「李奉昌 義士의 日王狙擊義擧」(『한국근현대사연구』 17, 한국근현대사학회, 2001)
한상도, 「金九의 抗日特務組織과 活動(1934~1935): 中國中央陸軍軍官學校 입교생 모집활동을 중심으로」(『한국민족운동사연구』 4, 한국민족운동사연구회, 1989)
집필자
윤상원(전북대학교 역사학과)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