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해도 해주목과 백령진에서 나는 매 중에서 재주가 뛰어나고 청색인 매를 해동청이라 한다. 우리나라는 일찍부터 매사냥을 즐겼던 듯 『삼국사기』 김후직조(金后稷條)에는 진평왕이 사냥하기를 즐겨 매나 개를 놓아 돼지 · 꿩 · 토끼를 잡으러 다녔다는 기록이 보이고, 『일본서기(日本書紀)』에는 일본의 닌토쿠왕(仁德王) 때 백제 사람을 통하여 매사냥을 배우고 또 매를 기르기도 하였다는 기록이 보이고 있다. 고려시대에는 매사냥의 기관으로 응방(鷹坊)을 전국적으로 설치하기도 하였다.
또, 몽고인들은 고려에서 해동청과 같은 좋은 매가 산출되는 것을 알게 되어 고종 이래로 매를 자주 공납하게 하였다. 이 해동청을 『재물보(才物譜)』에서는 ‘숑골매’라 하고 요동(遼東)에서 나며 청색이라 하였고, 『물보(物譜)』에서는 해청(海靑)을 ‘거문나치’라 설명하였다.
『오주연문장전산고』에 들어 있는 지조응전종류변증설(鷙鳥鷹鸇種類辨證說)에 “우리나라의 서쪽에 있는 해주목(海州牧)과 백령진(白翎鎭)에는 매가 매우 많이 나서 전국에서 제일이다. 고려 때에는 응방을 두어 원나라에 매를 세공하였다. 그래서 중국 또한 이 매를 해동청 · 보라응(甫羅鷹)이라 하였다. ……(중략)…… 매가 그 해에 나서 길들여진 것을 보라매라 하는데, 보라라는 것은 방언으로 담홍이며 그 털빛이 얕음을 말한다. 산에 있으면서 여러 해 된 것을 산진(山陳)이라 한다. 집에 있으면서 여러 해 된 것은 수진(手陳)이라 하는데 매 중에서 가장 재주가 뛰어나며, 흰 것을 송골(松鶻), 청색인 것을 해동청이라 한다.”고 설명하면서 그 종류를 상세하게 분류하였다.
『조선어사전』에서는 해동청을 “매의 일종으로 조선의 동북지방에서 나며, 8, 9월경에 남쪽에 온다(속칭 보라매).”라 하였다. 이상에서 해동청은 보라매의 한 종류임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예로부터 사용해 온 대표적인 꿩사냥 매는 오늘날의 참매이고, 매도 오래 전부터 꿩사냥에 사용하여 왔으므로 해동청은 이 둘 중의 하나에 속하거나 두 가지 모두에 속하리라고 여겨지는데 어느 것이 옳은지 확언하기 어렵다.
참매는 수리목 수리과에 속하고, 매는 매목 매과에 속하며 두 가지 모두 뾰족하고 날카로운 부리와 발톱을 가지고 있다. 참매는 날개길이 300∼365㎜ 정도이고, 등면은 회갈색이고 뚜렷한 백색 눈썹선이 있고 아랫면은 백색 바탕에 회갈색 세로무늬가 촘촘히 있어 얼룩져 보인다.
참매는 구북구(舊北區)의 북부에 널리 분포한다. 매는 날개길이가 암컷의 경우 348∼378㎜ 정도이고, 수컷은 이보다 작다. 등면은 청회색이고 가슴에는 굵은 세로무늬가 있다. 뺨에는 길쭉한 흑색 무늬가 있다. 매는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