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주집 ()

현주집
현주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이소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74년에 간행한 시문집.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이소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74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674년(숙종 즉위년) 이소한의 조카 이일상(李一相)이 편집·간행하였다. 저자의 저술은 방대했으나 전화에 많이 일실되었다고 한다. 일반적인 문집의 편차와는 달리 권두에 아들 이은상(李殷相)의 선부군문집발(先府君文集跋)이 있고, 이어 부록으로 송시열(宋時烈)이 찬한 신도비명이 실려 있다.

서지적 사항

7권 2책. 활자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내용

권1∼5에 시 450여 수, 권6에 응제록(應製錄)으로 교서 6편, 권7에 차(箚) 5편, 계사(啓辭) 5편, 소(疏) 3편, 소지(小誌) 1편, 청서(請書) 2편, 상서(上書)·의전(擬箋)·의표(擬表)·발(跋)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동사록(東槎錄)」·「교산록(喬山錄)」·「진양록(晉陽錄)」·「교우록(僑寓錄)」·「만음록(謾吟錄)」·「심관록(瀋館錄)」·「방축록(放逐錄)」·「습유록(拾遺錄)」 등으로 나누어 수록하였다. 「동사록」은 원접사(遠接使) 김류(金瑬) 등과 함께 명나라 사신을 맞을 때 지은 시다. 김류·정홍명(鄭弘溟)·정백창(鄭百昌), 명사 강광(姜廣)·왕몽윤(王夢尹)의 원운시(原韻詩)와 차운시(次韻詩)가 모두 들어 있다. 서른이 덜 된 나이에 당대의 일류 명사들과 수창했음에도 모두들 그의 시에 미치지 못했다고 한다.

「교산록」은 윤신지(尹新之)·김신국(金藎國)·최명길(崔鳴吉) 등과의 수창시가 주를 이루고 있다. 「진양록」은 진주에서 벼슬할 때 동료들과 유람하면서 지은 시이며, 「교우록」은 진주에서 돌아와 전주에서 한가로이 지낼 때의 작품이다. 「만음록」은 만사가 중심이며, 「심관록」은 심양(瀋陽)에 가는 도중에 지은 시로 구성되었다.

「방축록」은 충원현감(忠原縣監)으로 좌천되었을 때의 시로, 신익성(申翊聖)·윤신지·정양필(鄭良弼) 등과 편지로 주고받은 것이다. 「습유록」은 그 밖의 시 77여 수로 되어 있다. 시는 대부분 수창이나 차운한 것이며, 만사도 많다. 시의 골격이 강경하면서도 어운이 부드럽다는 평에 걸맞게 그의 강직한 성품이 자주 드러난다.

교서는 급히 쓴 것이나 사리(辭理)가 함께 아름다워 인구에 회자되었다고 한다. 차자는 1627년(인조 5) 화의를 반대하는 내용과, 천인교감설(天人交感說)에 의거해 한재(旱災)에 임금의 수덕(修德)을 강조한 내용을 담고 있다. 계사에는 태학의 유생들이 공관(空館)한 사건에 대한 글이 두 편 있어 흥미롭다. 소지와 청서, 상서는 노년의 작품으로 구술하고 대필시킨 것들이다.

그밖에 인헌왕후(仁獻王后)의 성복일기(成服日期)에 관한 「논계운궁상례차(論啓運宮喪禮箚)」는 당시의 예론을 짐작하게 한다. 「청환수장유출보나주차(請還收張維出補羅州箚)」는 1629년 장유(張維)가 나만갑(羅萬甲)을 신구(伸救)하다가 나주목사로 좌천된 것을 다루고 있다. 그의 이러한 문장들은 전아하다는 평을 받기도 하였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종묵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