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노(文努)의 이력은 분명하지 않지만, 655년(무열왕 2) 양산 조천성(助川城) 전투에서 전사한 낭당(郎幢) 대감(大監) 김흠운(金欽運)이 그의 낭도였다는 『 삼국사기』 김흠운 열전에서만 등장한다.
김흠운이 무열왕의 사위로서 전사한 시점을 기준으로 한다면, 문노가 화랑으로서 김흠운을 낭도(郎徒)로 거느렸던 때는 대체로 선덕여왕~ 진덕여왕 대 무렵으로 추정된다. 다만, 김흠운이 그의 화랑도에서 노닐면서 전사한 화랑도의 무훈담을 듣고 감격하였다는 것, 그리고 그의 동문승(同門僧)으로 전밀(轉密)이 있었다는 일화에서 당시 화랑도의 구성 등을 살필 수 있다.
곧 문노의 화랑도에는 수많은 낭도가 있었고, 그 가운데 승려 낭도로서 전밀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대체로 승려 낭도는 낭도들을 운도하는 역할을 하였던 것으로 여겨지며, 낭도들에게 전사한 화랑도들의 무훈담 등을 가악의 형태로 충의를 가르쳤던 것으로 여겨진다.
이에 대해 김부식은 『삼국사기』 사론에서, 많은 무리가 운집하여 도의로써 서로 연마하고, 노래와 음악으로써 서로 즐겨하며, 산수를 즐기며 멀리까지 가지 않은 곳이 없었다고 하였다. 이로써 보건대 김흠운은 화랑도로서 배웠던 충의를 조천성 아래 양산 전투에서 실천하였던 것이라 하겠다. 또한 『 속동문선』에 전하는 「 양산가(陽山歌)」에서 "씩씩할 손 화랑도 나라 위해 몸을 바쳐 딴 생각 없었네. … 슬프다, 네 장부여 … 천추의 귀웅(鬼雄)이 되어서 함께 제삿술을 마시는구나."라고 읊었듯이, 김흠운과 함께 전사한 대감(大監) 예파(穢破)와 소감(少監) 적득(狄得), 보기(步騎) 당주(幢主) 보용나(寶用那) 등도 문노 문하에서 노닐던 동문 낭도였을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