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원용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때, 미국에서 하와이 대한인국민회 기관지의 주필, 주미 외교위원부 외교위원장 등으로 활동하며 민족운동을 전개하였고 해방 이후, 한인재단 총무 등을 역임하며 한인사회의 발전에 기여한 언론인 · 정치인 · 독립운동가.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96년(건양 1) 12월 26일
사망 연도
1976년 추정
출생지
서울
정의
일제강점기 때, 미국에서 하와이 대한인국민회 기관지의 주필, 주미 외교위원부 외교위원장 등으로 활동하며 민족운동을 전개하였고 해방 이후, 한인재단 총무 등을 역임하며 한인사회의 발전에 기여한 언론인 · 정치인 · 독립운동가.
개설

서울 출신. 미국으로 건너가 대한인국민회·대한인교민단·재미한족연합위원회에 참여하여 신문을 간행하고 독립운동을 벌였고, 주미외교위원부의 외교위원장으로 활약하였다. 해방 후 귀국해 남조선과도입법의원의 의원으로 활동하다가 미국으로 돌아가 북미 대한인국민회 중앙집행위원장을 맡고 『재미한인50년사(在美韓人五十年史)』를 탈고하는 등 미주 한인사회의 발전에 기여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1917년 5월 중국 망명 중 유학을 목적으로 미국으로 건너가 콜로라도주 중남부에 위치한 프에블로(Pueblo)의 탄광에서 일하였다. 임금이 높았던 탄광에 한인 노동자들이 몰려들자, 1918년 4월 김호 등과 함께 대한인국민회 프에블로지방회를 설립하고 재무를 맡았다. 이때 만난 김호와는 평생의 동지가 되었다. 1920년 학생총회결성발기자회에 오하이오주 학생대표로 참석하여 각지의 한인 학생과 학생회를 통합하였고, 중서부와 동부지방에서 독립운동을 후원하기 위한 지방조직을 결성하였다.

1930년 하와이로 이주하여 대한인교민단에 입단하였고, 미포(美布)대표대회의 미주대표로 분열된 한인단체를 부흥시키고 민족운동을 강화하는 데 힘썼으나 동지회와 마찰로 실패하였다. 1931년 하와이 대한인교민단의 기관지 「국민보(國民報)」의 편집인이 되었으며, 교회재산과 교민단 회관을 매각해 동지회의 재정을 충당하려는 이승만에 반대하는 투쟁을 벌였다. 1932년에는 하와이 대한인국민회를 복설시키고 1933년 총무가 되어 한인단체의 통합과 한인사회의 부흥에 앞장섰다. 1932년 김구의 한인애국단을 비밀리에 후원하는 하와이애국단에 가입하고, 1936년 하와이 대한인국민회의 기관지 「국민보」주필이 되었다.

1941년 호놀룰루(Honolulu)에서 개최된 해외한족대회에 참석하여 독립전선 통일과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봉대 등이 담긴 대회의 선언문과 해외 한족대회 결의안을 작성하였다. 이어 조직된 재미한족연합위원회 의사부의 비서 겸 행정위원이 되었다.

1944년 임시정부의 지시로 동지회 계열의 단체를 제외하고 개최된 13개 한인단체 대표회에서 주미외교위원부의 외교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1945년 연합국회의에 파견될 임시정부의 대표로 선임되었으나 미국의 허락을 받지 못하였다. 그 해 4월 재미한족연합위원회 의사부 위원장을 맡았다.

해방 후 10월 조국의 재건을 후원하기 위해 구성된 재미한족국내파견대표단의 부단장으로 28년여 만에 귀국하였다. 1946년 12월 남조선과도입법의원의 의원으로 선출되어 법제·사법분과위원회 부위원장으로 1년 간 활동하면서 조국의 건설에 이바지하였다. 1948년 미국으로 돌아가 1951년 북미대한국민회 중앙집행위원장, 1957년 한인재단의 총무 겸 재무 등으로 한인사회의 발전에 기여하였으며, 1959년 『재미한인50년사』를 발간하였다.

상훈과 추모

건국에 이바지한 공로로 1995년에 건국훈장 애국장이 수여되었다. 현재 『재미한인50년사』를 저술하도록 거처를 제공하고 발간해준 리들리시 김호 저택 부근에 기념비 건립이 추진되고 있다.

참고문헌

『김호-재미한인 독립운동의 표상』(홍선표, 역사공간, 2012)
『대한민국 독립유공자 공훈록 12』(국가보훈처, 1996)
『재미한인 50년사』(김원용, 1959)
집필자
한철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