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세열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때, 항일단체인 구국동지회에 가입하였고, 수원의 독립만세시위에 참여했다가 고주리 학살사건에 의해 사망한 천도교인 · 독립운동가.
인물/근현대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75년 10월 3일
사망 연도
1919년 4월 15일
출생지
경기도 수원
대표 상훈
대통령표창|건국훈장 애국장
내용 요약

김세열은 일제강점기, 경기도 수원군 향남면 발안에서 일어난 독립만세운동에 참가한 독립운동가이다. 수원군 팔탄면 고주리에서 태어났으며, 향남면 발안장터 만세운동을 주도한 김성열의 동생으로 발안 장터 만세운동에 참여하였다. 1919년 4월 15일 제암리 학살사건을 저지른 일본 수비대에 의해 고주리에서 김세열을 포함한 일가족 6명은 무참하게 살해되어 순국하였다.

정의
일제강점기 때, 항일단체인 구국동지회에 가입하였고, 수원의 독립만세시위에 참여했다가 고주리 학살사건에 의해 사망한 천도교인 · 독립운동가.
인적 사항

1875년 10월 3일 경기도 주1 팔탄면 고주리에서 태어났다. 동학이 전래된 1884년경에 입교하여 온가족이 천도교인이 되었다. 향남면 발안 장터 만세운동을 주도한 김성열(金聖烈)이 형이다.

대한제국기 충청 지역에서 의병운동을 전개하다가 홍원식(洪元植)이 1914년 제암리로 이사와서 제암교회 권사로서 구국동지회(救國同志會)를 조직하자 회원으로 참여하는 등 주민들 항일의식을 고취시켰다.

주요 활동

형 김성열은 안종후(安鍾厚) 등과 서울의 만세운동에 참가한 후 돌아와 장안면 수촌리의 백낙렬(白樂烈), 주2 제암리의 안종후 등과 만세운동을 준비하였다. 3월 하순부터 시작된 화성 지역 만세운동은 일본인 경찰 2명을 처단할 만큼 격렬한 양상이었다.

향남면 발안 장터에서 일어난 만세시위는 면사무소와 발안주재소를 습격하여 일제 경찰과 투석전을 전개하였다. 김세열은 형과 함께 발안 장터 만세운동에 참여하였다. 당황한 일제는 경찰과 군대를 증파하여 이 일대 촌락 방화와 아울러 한국인에 대한 체포, 고문 등 대대적인 보복에 나섰다.

4월 15일 오후 2시경에 일본군 아리타 도시오[有田俊夫] 중위가 인솔한 10여 명의 군경이 제암리에 도착하였다. 주민들에게 전달할 사항이 있다고 속이고 주민들을 제암리교회에 모이게 하였다. 주민들이 교회 안으로 들어가자 아리타는 출입문과 창문을 모두 잠그고 집중사격을 명령하는 동시에 불을 놓아 교회를 태워버렸다. 이때 주민들 23명이 교회 안에서 무고하게 학살, 희생되었으나 유해는 군경의 방해로 가족조차 접근할 수 없었다.

이어 고주리로 이동한 일제 군경은 김세열 일가 6명을 검거하여 학살한 후 시신마저 불태웠다. 선교사 스코필드(F. W. Schofield)는 시신을 수습하여 공동묘지에 안장하였다. 특히 이 사건의 참혹한 현장을 사진과 기록으로 남겨 일제의 야만적인 탄압의 실상을 온 천하에 폭로함으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상훈과 추모

1968년 대통령표창,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박환 · 조규태 · 황민호, 『화성출신 독립운동가』(화성시 · 수원대학교동고문화연구소, 2006)
박환 · 조규태, 『화성지역 3 · 1운동 유적지 실태조사 보고서』(화성시 · 수원대학교박물관, 2003)
김선진, 『일제의 학살만행을 고발한다』(미래문화사, 1983)
전동례 구술 · 김원식 편집, 『두렁바위에 흐르는 눈물』(뿌리 깊은 나무, 1981)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 2(국가보훈처, 1971)

논문

이덕주, 「3 · 1운동과 제암리사건」(『한국기독교와 역사』 7, 한국기독교연구소, 1997)
주석
주1

예전에, 지금의 수원시와 화성시, 오산시를 아울렀던 군. 대한민국 수립 이후 수원읍이 시로 승격하여 분리되면서, 화성군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우리말샘

주2

지금의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집필자
김형목((사)선인역사문화연구소 연구이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