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우론 ()

목차
관련 정보
천주교
문헌
조선시대 중국에서 활동하던 예수회 선교사 리치가 교우 관계에 대해 서술한 교리서. 천주교교리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중국에서 활동하던 예수회 선교사 리치가 교우 관계에 대해 서술한 교리서. 천주교교리서.
내용

1582년에 마카오에 도착한 리치는 1583년 9월에 광동성(廣東省) 조경(肇慶)에 가서 활동하다가 1589년 여름에 조경에서 추방되자 소주(韶州)로 가서 정착하였다. 이곳에서 그는 구태소(瞿太素)에게 천주교의 교리와 서양의 수학·기하학 등을 가르쳐 입교시키고, 자신은 그에게서 유교의 사서오경(四書五經)을 배웠다. 또한 구태소의 제안에 따라 1594년부터는 승복을 벗고 유학자의 복장을 하였고, 이름을 ‘이마두’라고 하고 유학자들의 관습에 따라 호를 ‘서태(西太)’라 지은 뒤 서방에서 온 학자[西士]로 행세하였다. 이어 1595년에는 남경(南京)으로 갔으나 곧 쫓겨나 남창(南昌)으로 가서 약 3년 동안 지내게 되었는데, 이 기간에 수학과 기예 등의 학문을 바탕으로 지식인들과 교유하면서 『교우론』을 저술하였다.

리치는 1595년 봄에 남포(南浦)에서 건안왕(建安王)을 만났는데, 이때 서양의 우정에 대해 질문을 받자 이를 계기로 평소에 들었던 아리스토텔레스와 키케로 등의 우정론을 바탕으로 교우 관계에 대해 서술하여 한 권의 책으로 만들었다. 이 책이 바로 『교우론』이다. 1595년에 풍응경(馮應京)과 구여기(瞿汝夔)의 서문을 붙여 남창에서 1권 1책으로 간행되었다. 이후 이 책은 벗을 중시하는 유교적 전통의 지식인들에게 큰 호응과 반향을 일으켜 1603년 북경에서 재판되는 등 중국의 여러 지역에서 여러 차례 중간되었다. 그리고 1629년 이지조(李之藻)가 편찬한 『천학초함(天學初函)』과 청나라 때 편찬된 『사고전서(四庫全書)』에도 수록되었다.

이 책의 본문은 장절 구분 없이 모두 100조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가운데 중요한 조목을 소개하면, 제1조목에 “나의 벗은 타인이 아니라 바로 나의 반쪽이니, 비로 제2의 나이다.”라고 하였고, 제2조목에 “벗과 나는 두 개의 몸이지만 두 몸 안의 마음은 하나이다.”라고 하였으며, 제66조목에 “좋은 벗과 사귀는 맛은 잃은 뒤에 더욱 깨닫게 된다.”라고 하였고, 제79조목에는 “세상에 벗이 없는 것은 하늘에 해가 없는 것과 같고, 몸에 눈이 없는 것과 같다.”라고 하였다.

이 책은 17세기 이래 조선에 전해져 지식인들 사이에서 널리 읽혔다. 이수광(李晬光)이 『지봉유설(芝峯類說)』에서 이 책을 소개하였고, 유몽인(柳夢寅)도 『어우야담(於于野談)』에서 이 책을 언급하였다. 또한 이익(李瀷)도 1754년에 정항령(鄭恒齡)에게 보낸 편지에서 『교우론』을 두고 모두가 뼈에 사무치는 말이라 하였고, 1784년(정조 8) 이승훈(李承薰)이 북경에서 돌아오면서 들여온 『천학초함』에도 이 책이 들어 있었다. 아울러 박지원(朴趾源)도 『연암집(燕巖集 )』에서 벗을 ‘제2의 나’라고 언급하였으며, 이규경(李圭景)도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에서도 『교우론』의 구절을 가져와 문장을 완성하였다.

참고문헌

『교우론(交友論·)스물다섯 마디 잠언[二十五言]·기인십편(畸人十篇): 연구와 번역』(이영백 역주,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조선후기 천주교의 수용과 마테오 리치의 『교우론』」(노용필, 『길현익교수정년김념사학논총』, 간행위원회, 1996)
「조선후기 우정론과 마테오 리치의『교우론』」(이홍식, 『한국실학연구』20, 2010)
집필자
서종태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