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곡가 ()

율곡전서 / 고산구곡가
율곡전서 / 고산구곡가
고전시가
개념
조선시대 사대부들이 구곡원림을 경영하면서 그곳의 승경을 읊은 노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시대 사대부들이 구곡원림을 경영하면서 그곳의 승경을 읊은 노래.
개설

구곡가는 조선조 사대부들이 성리학을 기반으로 승경인 계곡에 구곡을 경영하면서 그 승경을 대상으로 문이재도(文以載道) 또는 인물기흥(因物起興)을 노래한 것으로, 그 형태로는 시조, 가사, 한시 등이 있다.

연원 및 변천

조선조 성리학자들은 주자(朱子)의 생활과 학문을 흠모하여 주자가 거처하던 무이산(武夷山)과 주자가 지은 뱃노래인 〈무이구곡가(武夷九曲歌)〉를 연상하면서 자신들이 직접 구곡을 경영하고 그 승경을 구곡가계 시가, 즉 한시, 시조, 가사 등의 형태로 지어 부르며 즐겼다.

15세기 중엽 이후 성리학자들의 시문학의 주된 흐름이 되었던 구곡가계 시가는 영남학파와 기호학파라는 학맥을 중심으로 구곡원림의 경영과 상호 방문을 통해 영향을 주고받았으나 이 두 계보 간의 영향 관계는 거의 찾아 볼 수가 없다.

영·정조 시대에 들어서 구곡가계 시가는 형태 면에서 어부가와 혼효되는 등 다양한 현상이 일어나 점차 쇠퇴해 갔다. 개화기 때에 〈아양구첩(峨洋九疊)〉, 〈구곡도가(九曲櫂歌)〉 등 다소 잔영을 남겼지만, 일제강점기를 전후하여 구곡가계 시가의 사상적 기반이던 성리학이 기울면서 함께 소멸해 갔다. 조선시대의 구곡원림은 오늘날 국립공원으로 편입되어 일부 보존되고 있다.

내용

김문기의 연구에 의하면, 조선에서 구곡원림(九曲園林)을 경영하면서 구곡가계 시가를 창작한 초기의 인물은 박구원(朴龜元)과 박하담(朴河淡)이다. 박구원은 밀양 고야산의 무이천에 구곡을 경영하면서 〈고야구곡가〉를 지었고, 박하담은 1536년에 경상북도 청도의 운문산을 비롯한 동창천(東倉川) 일대의 빼어난 승경을 구곡으로 경영하면서 〈운문구곡가〉를 지었다. 비슷한 시기에 이이(李珥)는 황해도 해주에서 고산구곡을 경영하면서 〈고산구곡가〉를 지었다.

조선조 성리학자들이 직접 경영하였던 구곡원림으로 유명한 것은 정구의 무흘구곡, 이중경의 오대구곡, 송시열의 화양구곡, 김수증의 운곡구곡, 권상하의 황강구곡, 이형상의 성고구곡, 정만양의 황계구곡, 권섭의 화지구곡, 채헌의 석문구곡, 홍양호의 우이동구곡, 오대익의 운암구곡, 이한응의 춘양구곡, 이도복의 이산구곡 등이 있다.

원림 구곡시는 국문 구곡가와 함께 주류를 이루었던 것으로, 조선조 성리학자들이 자신들의 구곡원림의 승경을 읊은 것인데, 대개 자신이 직접 읊었으나 화양구곡, 황강구곡의 승경을 노래로 지은 권섭처럼 때로는 다른 이들이 대신 지은 것들도 있다.

화운 구곡시는 수적으로 가장 많은데, 퇴계 이황의 〈한거독무이지차구곡도가운십수(閒居讀武夷志次九曲櫂歌韻十首)〉 등처럼 실경을 대상으로 하지 않고 주자의 〈무이도가〉나 『무이지(武夷志)』에 실린 글이나 그림을 보고 〈무이도가〉의 운을 써서 주자의 삶과 주자학적 세계를 관념적으로 표현해 놓은 것, 〈무이도가〉를 차운한 시에 화운한 것, 〈무이도가〉의 운을 써서 〈고산구곡가〉의 시세계를 표현한 것 등이 있다.

번역 구곡시는 송시열이 이이의 〈고산구곡가〉를 5언시로 번역한 〈고산구곡가번문(高山九曲歌飜文)〉처럼 국문으로 지어진 구곡가를 한문으로 번역한 것으로, 〈황강구곡가〉를 번역한 권섭의 〈황강구곡용무이도가운번소영가곡(黃江九曲用武夷櫂歌韻飜所詠歌曲)〉과 〈석문구곡가〉를 번역한 채헌의 〈석문구곡차무이도가운(石門九曲次武夷棹歌韻)〉 등이 있다.

국문 구곡가에는 이이의 〈고산구곡가〉, 이중경의 〈오대구곡〉, 권섭의 〈황강구곡가〉 등의 시조형 구곡가와 채헌의 〈석문구곡도가〉, 이도복의 〈이산구곡가〉 등의 가사형 구곡가가 있다.

의의와 평가

구곡가계 시가는 구곡원림의 경영, 구곡도의 제작 등과 연계되어 성리학을 사상적 기반으로 한 성리학자들에 의해 꾸준하게 창작되고 향유된 것으로, 특히 영남학파와 기호학파를 중심으로 학맥에 따라 자신들의 학문관, 가치관을 유지하면서 전통을 이어 나갔다. 곧 구곡가의 창작과 향유는 학문적, 사상적으로 뜻을 함께 하는 일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 구곡문화 연구의 현황과 과제」(이종호, 『안동학연구』 10, 2011)
「영남 선비들의 구곡 경영과 최남복의 백련서사」(이종호, 『영남학』 18, 2010)
「구곡 연원의 성과와 전망」(이종호, 『한국사상과 문화』 50, 2009)
「17∼18세기 구곡가 계열 시가문학의 전개양상」(조지형,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구곡가계 시가의 계보와 전개양상」(김문기, 『국어교육연구』 23, 1991)
「고산구곡가 연구─“정언묘선”과 관련하여」(김병국,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1)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