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형상 ()

이형상 수고본 중 강도지
이형상 수고본 중 강도지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후기 경주부윤, 제주목사, 영광군수 등을 역임한 문신. 청백리.
이칭
중옥(仲玉)
병와(甁窩), 순옹(順翁)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53년(효종 4)
사망 연도
1733년(영조 9)
본관
전주(全州)
주요 관직
호조좌랑|성주목사|동래부사|제주목사|영광군수|경주부윤
관련 사건
이인좌의 난
내용 요약

이형상은 조선후기 경주부윤, 제주목사, 영광군수 등을 역임한 문신이다. 1653년(효종 4)에 태어나 1733년(영조 9)에 사망했다. 1677년 생원시에 입격하고 별시 문과에 급제하였다. 제주목사로 부임했을 때 동성혼인을 금지하고, 광정당(廣靜堂)을 비롯한 산당을 불태우고 나체로 잠수하는 해녀를 위해 해녀복을 제작하는 등 제주의 풍속을 유교의 방식으로 바꾸었다. 1818년(순조 18) 제주 유생들이 그의 유덕을 추모해 영혜사에 추향하였다. 142종 326책의 저술을 남겼는데 『탐라순력도』 및 『남환박물』은 제주도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정의
조선후기 경주부윤, 제주목사, 영광군수 등을 역임한 문신. 청백리.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중옥(仲玉), 호는 병와(甁窩) · 순옹(順翁). 효령대군(孝寧大君)의 10대손이며, 이사민(李師閔)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장형(李長馨)이고, 아버지는 진사 이주하(李柱厦)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77년(숙종 3) 사마시에 합격해 생원이 되고 1680년(숙종 6)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호조좌랑 재직시 주1에 바치는 주2포(歲幣布)가 병자호란 이후 바쳐온 보포(報布)보다 9척이나 긴 것을 알고, 이것이 앞으로 무궁한 폐단이 될 것을 우려해 주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끊어버리고 보내었다.

성주목사 때에는 교화에 힘써 20조의 훈첩(訓帖)을 반포하고 유생 150명을 선출해 관비로 교육시켰으며, 인조 때 의사 이사룡(李士龍)을 위해 충렬사(忠烈祠)를 지어 사적을 길이 남겼다. 한편 파괴된 채 방치되던 독용산성(禿用山城)을 민정(民丁)을 차출해 3일 만에 완축시켰다.

동래부사 때에는 이 지역이 일본과 접경된 관문으로서 국방상 요지임을 절감하고 방비에 더욱 힘쓰는 한편, 당시 많은 폐단을 일으키는 일본의 구송사(九送使)를 폐지시켰다. 1691년 양주목사로 부임하였으며, 주8에서 치적을 쌓아 공덕비가 세워졌다. 경주부윤 때에는 운주산(雲住山)의 토적 수천 명을 해산시켰다.

또한 향교서원주3해 학풍을 진작시키고, 향약 · 향음주례(鄕飮酒禮)를 강화해 향촌질서를 세우는 한편 충 · 효 · 열을 민간에 장려해 유교적 도덕정치를 실시하였다. 1702년(숙종 28) 제주목사로 부임해 제주의 풍속을 유교의 방식으로 바꾸어 나갔다. 즉, 주4를 행하던 삼읍(三邑)의 주5를 수리하고 이름 높은 선비들을 선생으로 정해 백성들에게 글을 가르치게 하였다.

그리고 고을나(高乙那) · 양을나(良乙那) · 부을나(夫乙那) 등 삼성의 사당을 세우고 동성혼인 등의 풍속을 금지하였다. 그리고 지방민들이 제주도 남부에 있는 한라호국신사(漢拏護國神祠)인 광정당(廣靜堂)에서 기도하던 풍습을 금지시키고, 이 밖에도 신당 129개를 모두 불태웠다. 또한 미신적으로 흐르는 불교를 배척해 두 사찰을 불태우고 유교를 권장하였다. 그리고 제주 해녀들이 나체로 잠수하는 것을 금지시키고 해녀복을 고안, 제작하여 착용시켰다.

이처럼 주6으로서 학문을 진흥시키고 문화재와 고적을 수리, 보존했으며, 미신적인 인습과 악습을 타파해 도민(島民)의 풍속 교화와 생활 개선에 힘썼다. 이에 당시 백성들은 이 목사의 공덕비(功德碑) 4기(基)를 세워 그의 주7을 칭송했다 한다.

그 뒤 영광군수로 부임했으나 사임하고, 영천(永川)의 호연정(浩然亭)에서 학문과 후학 양성에 정진하였다. 30여 년간 초야에 있다가 1728년(영조 4) 경상도소모사(慶尙道召募使)로 대구감영(大邱監營)에 부임, 그 해 소론 일파인 이인좌(李麟佐)의 난을 진압해 공을 세웠으나 노론의 탄핵을 받아 투옥되었다가 곧 풀려났다.

1733년(영조 9) 81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1735년 경상도 영천의 성남서원(城南書院)에 제향되었고, 1796년(정조 20) 청백리에 올랐다.

1818년(순조 18) 제주 유생들이 그의 유덕을 추모해 영혜사(永惠祠)에 추향(追享)하였다. 저서로는 문집 『병와집』 18권을 손자인 만송(晩松)이 간행하였다. 이 밖에도 『둔서록(遯筮錄)』 · 『악학편고(樂學便考)』 · 『강도지(江都志)』 · 『악학습령(樂學拾零)』 · 『선후천(先後天)』 등 142종 326책의 저술과 3,886수의 시가 있다.

목민관으로서 활동 중 제주도에 관한 기록서 『탐라순력도(耽羅巡歷圖)』『남환박물(南宦博物)』은 제주의 인호(人戶) · 인구(人口) · 전(田) · 국마(國馬) · 국우(國牛) 등 상세한 통계 자료를 담고 있어 제주도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유고 중 10종 15책은 1979년 보물로, 유품 12종 59점은 1982년 중요민속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숙종실록(肅宗實錄)』
『영조실록(英祖實錄)』
『정조실록(正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병와집(甁窩集)』
주석
주1

중국의 마지막 왕조(1616~1912). 여진족의 누르하치가 여러 부족을 통일하여 후금국을 세우고, 그 아들 태종이 국호를 이것으로 고쳤으나 신해혁명으로 멸망하였다. 우리말샘

주2

조선 시대에, 해마다 음력 10월에 중국에 보내던 공물. 우리말샘

주3

가르치고 타이름. 우리말샘

주4

음력 2월과 8월의 상정일(上丁日)에 문묘(文廟)에서 공자에게 지내는 제사. 우리말샘

주5

공자를 모신 사당. 원래 선사묘(先師廟)라고 하였다가 중국 명나라 성조 때 문묘(文廟) 또는 성묘로 불렸으며, 청나라 이후 공자묘(孔子廟)라 하였다. 중국 산둥성 취푸(曲阜)에 있는 것이 가장 크고 유명하다. 우리나라에는 성균관과 향교에 있는데 곳에 따라 사성(四聖), 공자의 제자, 역대의 거유(巨儒) 및 신라 이후의 우리나라의 큰선비들을 함께 모신 곳도 있다. 우리말샘

주6

백성을 다스려 기르는 벼슬아치라는 뜻으로, 고을의 원(員)이나 수령 등의 외직 문관을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7

청렴하고 고결한 덕행. 우리말샘

주8

임무를 받아 근무하는 곳. 우리말샘

집필자
원유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