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암사소장불서(僧巖寺所藏佛書)는 전주역사박물관에 있는 조선 전기에 간행한 목판본 불서이다. 『묘법연화경』 2책과 『금강반야바라밀경 오가해』 1책 등 3책이다. 『묘법연화경』 권4~7은 1443년(세종 25) 화암사에서 태종의 명복을 빌며 효령대군과 영흥대군 등 왕실 종친의 시주에 의해 간행된 것으로 1456년 이후의 후쇄본이다. 『묘법연화경』 권2~3은 담양 용천사에서 간행한 1575년본으로 추정된다. 『금강반야바라밀경 오가해』 권상은 1558년 황해도 귀진사에서 판각된 것으로 추정되는 희귀본이다.
후진(後秦)의 구마라집(鳩摩羅什, 344~414)이 한역(漢譯)하였다.
『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권4~7은 4권 1책이다. 사주단변(四周單邊)이고, 경계선이 없으며, 반엽(半葉) 체제는 10행 20자이다. 어미(魚尾)가 없다. 후쇄(後刷)한 간기(刊記)에는 “정통계해화암사개판(正統癸亥花岩寺開板)”이라 적혀 있다.
『묘법연화경』 권2~3은 3권 1책이다. 사주단변이고, 경계선이 없으며, 반엽 체제는 10행 20자이다. 상하내향흑어미(上下內向黑魚尾)가 있다. 『 금강반야바라밀경 오가해(金剛般若波羅蜜經 五家解)』 권상은 1권 1책이다.
『묘법연화경』 권4~7은 효령대군(孝寧大君), 영흥대군(永興大君), 함령군(諴寧君), 온령군(溫寧君), 해평군(海平君), 영평군(鈴平君), 유천군(柔川君) 등 대군(大君)과 군(君)의 시주에 따라, 세종대왕의 수만세(壽萬歲)를 기원하고 1422년(세종 4)에 승하한 태종의 명복을 빌며, 성달생(成達生)이 쓴 정서본을 바탕으로 1443년(세종 25) 전라도 고산(高山 : 현,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화암사(花巖寺)에서 개판(開版)한 것을 후쇄한 판본이다.
『묘법연화경』 권2~3은 간기에 판각 연대는 남아 있지 않지만 판본의 서체나 형식 등으로 보아 담양 용천사(龍泉寺)에서 1575년(선조 8)에 간행한 판본으로 추정된다. 『금강반야바라밀경 오가해』 권상은 판본의 형식과 서체 등으로 볼 때 1558년(명종 13)에 황해도 귀진사(歸進寺)에서 간행한 판본으로 추정되는 희귀한 판본이다.
『묘법연화경』은 우리나라 불교계 근본 경전의 하나로서 우리나라에서는 구마라집이 번역한 7권본이 널리 유통되었으며, 28품으로 되어 있다.
『묘법연화경』 권4~7은 표지가 결실되었다. 제4, 5, 7권의 끝에 시주질이 있으며, 간기는 7권 끝에 있다. 1443년(세종 25)에 화암사에서 판각된 목판에서 1456년(세조 2) 이후에 후쇄한 판본으로 보인다. 묵서로 시주자가 많이 쓰여져 있다.
『묘법연화경』 권2~3은 3권 뒤에 붙어 있는 간기에 대시주 설잠(雪岑) 비구, 영원(玲元) 비구를 비롯한 많은 시주자들이 동참, 발원한 내용이 있다.
『금강반야바라밀경 오가해』는 「오가해서설(五家解序說)」과 『금강경(金剛經)』 권상(卷上)으로 이루어져 있다. 『금강반야바라밀경』은 『금강경』이라고도 하는데 반야(般若) 계통의 경전들 가운데 『 반야바라밀다심경(般若波羅蜜多心經)』과 함께 가장 널리 읽혀지는 경전 가운데 하나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역대에 걸쳐 종파에 관계없이 가장 많이 독송된 경전이며, 특히 선종에서 중요시되었다. 승암사 도서 『금강반야바라밀경 오가해』는 간기에 기록된 시주자가 승려와 신도 150여 명에 이른다.
『묘법연화경』 권47은 조선시대에 대표적인 불서 간행 사찰이었던 화암사에서 1443년 왕실 종친의 시주에 의해 간행된 것으로서, 1456년 이후의 후쇄본이지만 가치가 크다. 『묘법연화경』 권23은 16세기의 대표적 판본이며, 『금강반야바라밀경 오가해』는 현존하는 판본이 매우 희귀하여 자료적 가치가 크다.
2006년 6월 16일 전라북도 유형문화재(현,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으며, 현재는 전주역사박물관에서 승암사의 기증을 받아 보관하고 있다.